가족복지 서비스사업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지지적 아동복지사업

지지적 아동복지서비스(Supportive Service)란 부모와 아동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갈등상황을 처리할 수 있도록, 그들 각자의 책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가족의 능력을 지원하고 강화시켜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지 지적 서비스는 다른 서비스와는 달리 아동이 자신의 가정에 머물러 생활하면서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며, 서비스의 기능은 부모나 아동의 역할을 대신해 주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구조를 침해하지 않고 외부에서 가족 내부의 역할기능이 제대로 수행될 수 있도록 원조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지지적 아동복지사업에는 가족복지사업, 학교사회사업, 근로아동복지사업 상담사업, 빈곤아동, 미혼부모복지사업 등 다양하게 있으나 본 장에서는 가족복지사업, 아동상담, 학교사회사업, 미혼 부모 복지사업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제 1절 가족복지사업

가족은 사회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제도이며, 건전한 가족생활을 보장하는 것이 바로 사회의 중요한 의무로 되어가고 있다.

특 히 도시가족의 급격한 핵가족화, 맞벌이 가족증가, 농촌지역의 해체현상, 여성 취업인구의 증가 등 산업화 과정에서 가족은 여러 가지로 많은 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Kamerman과 kahn1)은 현대의 여러 가지 가족병리현상 예를 들면 가족해체, 아동의 인권침해, 한 부모가족의 급증, 사생아의 증가 등 지금까지는 그렇게 많이 볼 수 없었던 사회병리현상의 급증에 직면하여 가족이라는 것을 재발견하기 위해서는 가족에 대하여 일관된 사회적 중요성을 갖춘 사회복지 대응에 관한 국민의 합의와, 가족에 대해보다 통합되고 체계화된 사회복지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가족 및 양육을 위해 어떤 접근이 이루어져야하고, 어떻게 적용하고, 사회보장제도와 어떻게 관련지어 가면 좋은가 등에 대해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 접근은 아동에게만 초점을 둔 사회복지정책도 필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더욱 넓은 범위에 관점을 둔 ‘가족에 대한’, ‘가족을 위한’ 사회적 시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2)

아동복지는 가족복지를 강화함으로써 아동문제를 예방할 수 있고 아동복지의 실천적인 측면에서는 요보호아동이나 문제를 가진 아동을 위한 치료적인 서비스 보다는 전체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아동복지사업을 전개해야 한다.

아동과 가족은 따로떼어 생각할 수 없는 관계이므로 가족의 정상적인 복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족복지를 실천하는 것이 아동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접근이다.

1. 가족복지사업의 개념

가족복지의 개념은 문화적 양상에 따라 다양하게 의미를 가질 수 있으나 여러학자들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eldman 과 Scherz(1968)는 가족복지란 전체로서의 가족은 물론 그 구성원들의 사회적 기능수행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킴으로써 가족구성원들 모두에게 행복을 도모하도록 하기 위한 사회복지의 한 분야라고 하였으며3), 김만두(1982)는 가족복지란 가족의 집단성을 확립하도록 하고, 개개 가족구성원의 인격의 성장과 발달을 원조하며, 항상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하여 적극적인 적응능력을 가질 수 있는 가족, 즉 대사회적으로 적응하는 가족으로서의 확립이라고 하는 세 가지 목표를 가지고 전개하는 활동이라고 했다.4) 또한 김상규 외(1983)는 가족복지란 한마디로 가족의 행복을 유지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국민의 생활권의 기본이념에 입각하여 가족생활을 보장하는 사회적 제반 노력(제도적․정책적․기술적 서비스)을 총칭하는 것이라 했고5) 전준우(1988)는 가족복지란 가족이 안고있는 여러 가지 문제상황에서 가족을 통합시키고 적응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회적 집단의 노력으로 수행되는 조직적 활동을 의미한다고 했다.6)

가족복지(family welfare)는 한마디로 가족의 행복을 유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진다는 헌법(제32조)의 기본이념에 입각하여 자조생활을 보장하는 사회적 제 노력(제도적, 정책적, 기술적 서비스)을 총칭하는 말이다.

가족복지의 개념을 협의로 해석할 때에는 보통 가족복지사업(family social work, family social welfare, family welfare, family service)이라고 하는데 현실적으로 가족이 처한 생활상의 곤란, 즉 빈곤, 질병, 실업, 가족관계의 붕괴 등으로 가족원 개개의 존엄성이 상실되고 가족생활이 중대한 위기에 직면한데 대해서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고 가족 생활을 강화시키기 위한 사회적 조직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족복지사업이 다른 사회복지 분야와의 차이점은 아동복지, 노인복지, 부녀복지 등은 그 대상으로 특정인을 취급하는데 비하여 가족복지는 “가족을 전체(family as a whole)"로서 취급하는 것이다.

블 랙붐(Blackburm, 사회사업사전, 1965)에 의하면 가족복지란 가족생활을 보호․강화하며 가족원으로 하여금 사회인으로서의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활동을 말한다. 또 위트너(Witner)는 가족복지에 대해 가족들이 생활해 나가는데 있어서의 어려운 문제(역할수행 능력)를 취급한다고 하였다. 즉, 일시적 빈곤의 압력이나 자원의 결핍 및 가족 내의 인간관계의 결합을 도와주는 활동을 말한다.

미국 사회사업가협회(사회사업 사전)에서 정의한 가족복지의 주된 목적은 가족 구성원의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고 가정생활의 적극적인 가치를 더욱 살려 가족원 각자가 건전한 인품을 형성․발달시키고 나아가서 사회적 기능을 만족스럽게 성취하도록 기여함에 있다고 한다.7)

결론적으로 가족복지란 가족생활의 강화와 가족관계의 조화를 성취시키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8)

즉 가족복지란 가족의 전 생애에 걸쳐서 행복하고, 안정된 바람직한 삶을 추구하는 사회구성원 전체의 집단적 노력이며, 가족해체, 가족붕괴, 가족구성원의 사회적 역기능 수행 등의 문제를 의도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의미한다.9)

2. 가족복지사업의 기능

가족복지 사업의 기능을 학자에 따라 다르게 보고 있으나 몇몇 학자의 견해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장 인협은 가족복지사업의 기능을 ① 사회적 조건의 개선이나 향상을 위한 정책이나 제도 수립에 적극 참여하고, ② 가족의 분열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지역사회보호(community care)나 거택보호를 개발하는 것, ③ 핵가족에 수반되는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가족생활교육(family life education)을 수행하는 것이라 하였다.10)

김덕준 외는 ① 가정을 위한 서비스의 제공, ② 교육적 활동에 참가, ③ 전문교육을 위한 참여 및 공헌, ④ 사회조사에 참가, ⑤ 사회환경의 개선을 가족복지사업의 기능으로 보고 있다.11)

그 리고 미국의 펠드만(Feldman)과 쉐르츠(Scherz)의 견해를 보면 ① 가족원이 가진 잠재력을 극대화하여 그들의 생활주기에 닥칠 위험과 건강에 잘 대처하기 위한 예방적 기능, ② 발생한 문제를 최초의 형태와 영향으로 바꾸는 기능, ③ 관련된 가족을 빨리 회복시키는 효과적 치료기능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있다.

또한 야마자키(1976)는 가족복지의 기능을 거시적인 가족복지 기능, 미시적인 가족복지 기능, 거시적․미시적 가족복지 기능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12)

1) 거시적인 가족복지의 기능

개인이나 가족의 책임이라기보다 사회구조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외생적 가족문제에 대해 정책적, 제도적 대책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경제적 대책 : 아동수당, 면세나 감세제, 각종 복지연금, 모자복지자금, 자립지원 대부금, 노후의 소득보장, 실업보험 등의 사회보험

․직업대책 : 조산시설, 고용안정기관, 직업훈련기관, 기타 노동복지대책의 이용. 특히 여성노동대책 등

․주택대책 : 가족의 생활기능에 대처할 수 있는 공영주택, 주택자금 대부금의 활용, 구호시설, 숙소제공 시책, 구호시설의 활용 등

2) 미시적인 가족복지 기능

가족의 내적 문제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방법이다.

․가족 내 관계의 부조정․긴장관계 : 가족개별사회사업, 결혼상담, 가사심판제도

․가정기능 수행상의 문제 : 가족개별사회사업, 가족생활 교육, 복지시설 보호나 지도 기능

․가족성원의 결손 : 복지시설에 입소, 자원, 제도의 이용. 가족개별사회사업

․가족성원의 심신장애 : 장애인 복지기관, 장애인복지시설

3) 거시적․미시적인 가족복지 기능

다문제 가족에 대한 대책

․서비스의 조정

․현실적이고 긴급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구체적 서비스의 제공

야 마자키의 분류는 구체적이지만 이것이 어떻게 가족복지의 방법으로 연계되는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가족복지의 기능과 방법이 가족에 초점을 둔, 가족을 위한 제도와 행정과 서비스를 의미하고, 이러한 방법들이 통합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데 합의가 된다면 이러한 방향을 추구할 수 있는 가족복지의 기능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공세권(1997)은 우리나라 가족정책 접근을 위한 조직체계속에서 가족복지센터를 제안하면서 그 기능을 다음의 4가지로 제안하고 있다.

① 가족개발 기능 : 건전 가정 육성을 위한 가족교육, 역할개발, 생활개선과 가족보건

② 가족복지 기능 : 가족결손 예방과 치료를 위한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역할지원, 재활 지원

③ 가족보호 기능 : 독립적 사생활이 어려운 가족의 생활보호, 건강보호와 시설보호

④ 자원개발 기능 : 지역사회 내의 복지 여건 조성을 위한 기금조성, 조직개발, 인력 활용

이러한 방법의 모색은 가족복지를 대상별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기능별로 접근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가족을 한 단위로 하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가족복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여건이 될 수 있을 것이다.13)

3. 가족문제의 유형과 아동

가정은 그 자체가 하나의 체계인 동시에 전체 사회체계의 한 하위체계를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사회체계의 구조적 변화는 가족체계의 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 족은 개인들의 육체적 복지와 함께 가장 깊은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며 자녀들의 사회화를 위한 생활교육과 훈련, 그리고 가계의 공동운영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을 해왔다.14) 그러나 현대가족은 산업화, 도시화 및 가치관의 변화로 가족구조 및 가족형태의 변화를 가져왔다. 핵가족화는 전통사회의 확대가족의 많은 의무로부터 해방시켜 주었으나 동시에 확대가족의 경제적 보장과 사회적 지원을 상실하게 하였다.15) 따라서 전통가족의 가족간의 상부상조하는 복지적 기능의 상실로 일어나는 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서 가족복지 정책이 제기된다.

가족복지는 과거 가족이 수행하였던 전통적 기능을 유지․보완․대치하기 위한 노력이다. 부모교육과 상담은 부모의 역할의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자기의 능력을 강화시키는 노력이고 보육과 가사조력 서비스는 어머니가 수행한 자녀양육과 가정관리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며, 가족정책(예컨대, 구미에서 볼 수 있는 분만비, 아동수당, 소득지원, 가족수당, 보육시설 등)은 가족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문제가족의 유형과 아동과의 관계를 성영혜는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16)

1) 저소득 가족

빈 곤가정을 정의하는 기준은 빈곤선이다. 빈곤선이란 인간다운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생계비를 말한다. 빈곤가정이 아동양육의 측면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최저 생계비 미만의 저소득으로 인하여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영양, 보건, 교육 등의 기회가 결핍된다는 점이다.

빈곤한 가정의 아동들은 가정에서의 보건, 교육, 복리문제 등에서 소흘히 다루어지며 가정에서 유기, 이탈되거나 비행 또는 범죄에 이르는 근본원인이 된다.

이 러한 빈곤아동을 위한 대책으로 미국에서는 1960년대 저소득 가정의 아동을 위한 Head Start 운동, Home Start 운동 등은 문화실조아동(Culturally deprived children)을 위한 보상교육을 실시하였다.17)

2) 결손가족

결 손가족이란 이혼 또는 사망으로 인하여 부모의 한쪽 또는 양쪽이 없는 가정을 말하며 부제가족이란 해외취업 또는 교도소 복역 등으로 인하여 부모 중 한쪽이 장기간 동거하지 않는 가정을 말한다. 이러한 경우의 유형을 좀더 구체적으로 나누어 보면 부모와 사별한 아동, 부모가 생사불명인 아동, 부모로부터 유기된 아동, 부모가 장기 구금된 아동, 부모가 장기간 질병으로 요양 중인 아동 등으로 이러한 아동들은 가정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욕구불만과 정서적 불안에 빠지기 쉬우며, 편부모의 지나친 애정 또는 무관심으로 비뚤어진 성격을 형성하게 되기도 한다.

결손 가족에서 문제되는 가족으로는 모자가족, 부자가족, 아동가족, 고령가족을 들 수 있다.

(1) 모자가족

배우자의 사별, 이별, 행방불명 등의 이유로 동거하지 않는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여자와 18세 미만의 자녀만으로 구성된 가족을 말한다.

모 친이 생업에 종사할 경우가 많으며, 수입은 적고, 취업은 불안정하며, 노동조건도 좋지 않아 낮은 생활수준이다. 더욱이 부친의 결손, 모친 부재는 가족의 교육기능을 저해하고 아동들의 사회화 기능이 저하되어 부랑, 비행 등에 빠지기 쉽다.

(2) 부자가족

부자가족의 경우는 경제적 곤란이 모자가족보다 적지만, 가족원의 정서적 안정의 기둥인 모친이 없으므로 아동의 정서적 불안정은 보다 심하다.

(3) 아동가족

18세 미만의 자만으로 구성되는 가구를 말하는데 이들 형태의 가구 아동들에게는 극심한 빈곤이나 정서 불안정이 수반된다.

(4) 고령가족

의 학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평균수명이 점점 연장되고 있다. 노령 인구율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변화가 빠른 현대사회 속에서 노령층은 그들의 역할과 지위를 상실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핵가족 제도에서 오는 생활변화로 소외당하여 가고 있다.

3) 이주가족

많 은 농촌인구가 도시지역으로 이주하고 있는데 이들은 숙련된 기술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적절한 직업을 구하기 힘들다. 따라서 빈곤하게 되고 빈민지역에 정착할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이러한 빈민지역 가정에서는 노동을 심하게 하고 영양을 제대로 섭취하지 못하여 전염병이나 질병에 걸리기 쉽다.

4) 다자녀 가족

다자녀 가족은 비경제 활동 연령층에 속하면서 부양자의 부양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서 경제적 압박 요인이 된다. 더욱이 자녀들의 성장과정에서 갈등과 욕구불만, 부모로부터의 애정결핍 등의 ans제가 생기기 쉽다.

5) 다문제 가족

다 문제 가족은 항상 사회적, 개인적, 경제적 문제를 복합적으로 지니지만 그렇다고 복합적인 문제를 가진 가족이 반드시 문제가족은 아니다. 문제가족의생활은 외면적으로는 빈곤, 불결, 무질서, 무계획 등이지만 중요한 것은 이들의 외부 환경적 조건과 내면적인 생활태도가 같이 관련되어 있는 점이다.

4. 가족치료

가 족치료는 가족문제에 대한 임상적 접근으로 서로 다른 이론적 배경을 가진 다양한 개입모델을 포함한다. 가족치료의 초점은 점차 개인으로부터 가족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가정(assumption)은 가족의 개념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서 기인되었다. 즉, 가족은 단순한 개인들의 집합체가 아니라, 그 자체의 생명, 구조, 그리고 규제를 가지는 하나의 역동적인 실체(an dynamic entity)로 이해하게 된 것이다. 가족내의 어느 한 구성원의 행동은 다른 전체의 구성원들에게 영향 혹은 행동장애를 일으키기 쉬워서 가족의 항상상(family homeostasis)에 변화를 가져오게 한다는 개념을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18)

오늘날 가족은 높은 이혼율, 맞벌이 부부 증가, 핵가족화, 편부모가족 증가 등으로 다양한 가족 형태가 발생하여 종전에 일반가족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다양한 문제를 안고있어 이에 대한 새로운 형태의 치료적 접근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가족치료의 개념과 가족치료의 목적, 가족치료 모델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본다.
1) 가족치료의 개념과 목적

종 래의 대가족제도가 핵가족 중심으로 변하고 이에 다시 이혼으로 인한 결손가족이나 재구성가족(reconstituted family ; 이혼한 사람끼리 자녀를 데리고 재혼함으로써 형성되는 가족)이 증가함에 따라 가족이 갖는 또는 직면하는 문화적 가치의 갈등도 다양해지는 사회로 변하고 있다. 이에 환경으로서의 가족의 중요성이 점차로 부각됨에 따라 가족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즉 가족을 하나의 전체로 보는 체계 접근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족 내의 소위 문제아의 문제해결과 복지는 가족원 전체의 문제해결 및 복지와 불가분의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가족에 대한 가족복지적인 원조방법인 가족치료의 개념을 살펴보면 성영혜는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19)

“가 족치료란 계획된 개입과정을 말하며, 그것은 가족원으로서의 개인 및 단위로서의 가족에 대해 사회사업가가 얻은 지식을 기본으로한 치료”라는 정의에서도 알수가 있듯이 가족치료는 가족의 역기능(dysfunctioning)영역에서의 계획적 개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어서 개인에게의 초점보다 가족 전체에 놓여지고 있다.

즉, 가족치료란 아동을 따로 떼어 관찰하고 치료하는 대신 문제아동을 가족의 관계속에서, 그리고 그 가족을 지역사회의 관계 속에서 보는 것이며, 아동이 현재 지닌 문제가 가족 간의 의사소통과 관련되어 있고 가족고유의 상호 교류체계 속에서 작용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가족체계에 초점을 맞출 뿐만 아니라 그 체제 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가족의 상호작용 유형을 변화시켜 문제행동을 해결하려는 치료방법이라 할 수 있다.

개인이 나타내는 문제의 행동(역기능적 행동)은 바로 그 가정의 그릇된 체계-두 사람(예 ; 어머니와 아동), 또는 세 사람(예 ; 아버지, 어머니, 아동)의 관계에서 비롯된 역기능적 행동-가 반영된 것이라는 점이다. 더욱이 인간이 어떤 행동을 하고 그 행동의 동기가 무엇이며 치료적으로 그 행동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개인을 통해서보다는 그가 기능하고 있는 보다 넓은 맥락(그가 속한 가정의 불안정한 가족체계)을 통해서 볼 때 더 잘 알 수 있음을 말한다. 즉, 개인의 행동과 성격적 특성 및 증상은 그의 가족생활을 바탕으로 해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족치료의 목적은 가족치료의 결과로써 가족이 좀 더 만족스럽게 가족전체와 각자의 기능 및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며, 각 가족구성원들이 가족치료의 긍정적인 경험과 결과를 통해서 성장하는 것이다.
2) 가족치료의 모델

(1) 구조적 가족치료(Structural Family Therapy)는 1970년대에 가장 인기 있고 영향력 있는 가족 치료 모델 중의 하나로 주요학자는 Minuchin이다.

이 모델의 특징은 치료의 목적으로 가족내의 구조적 변화를 강조하는 데 있다. 그것은 개인변화, 가족체계, 가족역동성을 탁월하게 이해한 가족치료자로 하여금 가족의 재구조화를 행하는 능동적인 대행자가 되도록 한다.

Minuchin 은 빈곤가족의 복합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실연(enactment ; 문제성이 있는 결과들을 치료로 끌여들여-가족원들이 면담과정에서 직접 행하도록 하여-치료자가 관찰하고 변화시키는 기법)이었다.

구조적 가족치료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첫째는 구조(Structure), 둘째는 하위체계(Subsystems), 셋째는 경계선(boundaries)이다.

구조적 가족치료는 가족 내 상호작용의 형태에 초점을 둔다.

Minuchin 에게 있어서 구조란 보이지 않는 일련의 기능적 요구이다. 이것은 가족원끼리의 상호작용법과 연속성, 반복, 예측되는 가족행동 등을 조직하여 가족이 나름대로 고유한 구조를 갖고있다고 생각 할 수 있게한다. 구조적 가족치료는 배우자 하위체계, 부모하위체계, 형제하위체계 등의 세 가지 하위체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하위체계간의 규칙은 위계질서이다.

경계선은 직접보이지는 않으나 개인과 하위체계간에 그리고 구성원과 가족간에 허용할 수 있는 접촉의 양과 종류는 이 경계선으로 구분된다.

Minuchin 에 의하면, 경계선이란 개념은 규칙과 하위체계 간에 선호되는 관계이다. 하위체계간의 상호역동성은 이 경계선이 명확한지, 밀착되어 있는지, 분리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다르다. 하위체계간의 이상적인 배열은 명확한 경계선이다.

명확한 경게선(Clear boundaries)은 명확하면서도 융통성이 있으며, 하위체계간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며 변화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협상과 타협을 계속한다. 그리하여 가족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경 직된 경계선 (rigid boundaries)은 체계간의 강하게 분리된 상태를 말한다. 경직된 경게선의 상황에서 아동은 스스로 삶의 현장에서 혼자 싸우는 것을 배우고 부모의 관심이나 원조없이 협상하며 스스로를 보호하는 것을 터득한다. 부모는 부모대로 아동은 아동대로 서로간의 타협, 협상할 여지가 거의 없으며 하위체계간의 경계도 너무 엄격하다. 혼돈된 경계선(diffused boundaries)은 가족의 밀착된 관계에 기인한다.

이 경계선은 경직된 경계선과 대조가 된다. 이 경우 모든 사람은 모든 사람의 일에 관여하며,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도 지지하는 등 극도의 혼란스러운 상태이다. 부모는 너무 허용적이며, 하위체계간의 필요한 구분과 경계는 이미 실종되었다. 혼돈된 경계선을 가진 가족은 너무 많이 타협하고 적응한다. 그리고 아동과 부모, 양측은 모두 자립과 자율이 상실되었다.

배우자 체계는 거의 부모체계의 기능에만 헌신적이고, 부모는 그들의 시간과 정력을 아동에게만 모두 바치고 있다. 결과적으로 아이들은 부모에게 너무 의존적이며 그들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지 못한다.

그 들은 어떤 감정이 자기들의 것이고, 어느것이 타인의 것이지 구분하지 못한다. 아동들은 스스로 안정되고 편안하지 않으며, 가족외의 타인과는 문제있는 관계를 맺는다. 이런 사람이 결혼해서 새 가정을 꾸미면, 새 배우자와의 협상과 타협에 문제가 생긴다. 자신의 출신 원가족에 밀착되어서, 만일 새 배우자가 원가족에서처럼 지지와 양육을 제공해주지 못한다면 결혼 후에도 원가족에게 계속적인 지지와 양육을 요구하고 의존한다.20)

구조적 가족치료의 기법에는 합류, 실연형성, 가족의 의사소통 규칙에 도전, 재구성, 재명명, 가족구조의 변화, 과제수립, 가족오찬으로 이루어진다.

① 합류(joining) : 그 가족의 분위기를 파악하여 동조하는 것이다.

만약 그 가족이 우울해 한다면, 치료자도 매우 슬픈기색을 보이고 자신의 우울을 표현함으로써, 가족들의 분위기에 동조하는 것이다.

② 실연형성(enactive formulation) : 실연형성은 주로 면담초기 십분안에 이루어지며, 치료자는 가족이 하는 것처럼 같은 행동, 말씨로 한다.

③ 가족의 의사소통 규칙에 도전(challenging the communication rules of the family) : 치료자는 면접중에 의사소통을 위한 새로운 규칙을 세운다. 각 가족원은 그들이 말할 대상을 지정해야 하고, 다음에는 그 사람의 반응을 요구한다.

④ 재구성(reframing) : 재구성이란 부정적인 행동에도 긍정적인 암시를 부여하는 것이다.

⑤ 재명명(relabelling) : 치료과정 중 부정적인 형용사를 긍정적으로 재명명한다.

⑥ 가족구조의 변화(challenging the structure of the family) : 치료자는 가족의 기존 상호작용의 통로에 순응할지 또는 역행할 지를 선택해야 한다. 또는 통로자체를 제거할 수도 있다.

⑦ 과제수립(task setting) : 예전에 균형이 깨진 후에 재구조화된 가족원들에게 치료자는 치료과정 중 재구조화된 상호작용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과제를 준다.

⑧ 가족오찬(the family lunch) : 거식증 증세의 가족들과 점심을 함께 함으로써 부모들로 하여금 먹는 것을 실연하도록 한다.21)

(2) 행동주의적 가족치료 모델

행 동주의는 보통 실험에서의 조건반사(classical conditioning) 실험에 의한 Pavlov의 공헌에 의한 것으로 그의 실험은 동물에 대한 것이었으나 후에는 비정상적 행동을 하는 인간에 대한 실험도 보고되었다. 그의 노력은 Watson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의 문제적 행동에 대한 수정에 임상적으로 적용되었다. 1960년대는 가정내의 문제아동에 대한 접근이 시작되었고, 여전히 가족을 포함시키기보다는 개인에 초점을 두었으나 가족구성원 모두가 문제아동에 대한 일차적 환경으로써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되었다. 학습이론의 관점에서 학자들은 가족이 자극과 반응의 가장 중요한 자원이라는 것, 다른 가족구성원의 강화를 통한 자극과 반응이 아동의 행동을 만들어 내고 이끌어냄을 주목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문제적 성격의 수정에는 가족구성원 모두의 참여가 유도되었고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부모 혹은 부부간의 훈련이 시도되었다.22)

행 동주의적 부모훈련에서 행동주의 이론에 따르면 자녀의 문제행동은 부모의 비효과적인 강화조건부(contingencies of reinforcement)에 의해 지속되며, 체계론적 관점을 적용한 행동주의 이론가들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 상호강화(reciprocal reinforc ement) 유형을 제시한다. 즉 부모의 행동이 자녀의 문제행동을 유발하고 유지하는데 기여함과 동시에 자녀의 문제행동도 부모의 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부모훈련에서 주로 사용하는 행동수정기법으로는 조성(Shaping), 토큰경제(Token economies), 타임아웃(Time out)등을 들 수 있다.23)

행 동주의 치료자의 역할은 라포(rapport)의 성립, 부모나 가족 중 변화가 요구되는 행동에 대한 분석, 행동변화 접근방식의 설계, 그리고 실제에 적용하는데 부모들이 이를 추진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그들의 행동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행동주의적 치료모델의 가장 큰 공헌은 이 치료가 연구와 조사에 크게 중점을 두었다는 점과 치료자들이 치료적 모델을 개발하면서 그 개입의 치료순서를 발달시킨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이 치료방법의 한계는 치료방법이 마치 일직선상에 늘어선 것이나 다름없다는 것과 문제의 재발이 거의 일년 후에 나타난다는 것이다.

행동주의적 가족치료가 하나의 일직선상에 늘어선 것과 같은 기본개념은 가졌다고 보여지나 여전히 많은 관심과 실제에의 적용이 시도되는 것은 이 모델이 갖고 있는 효과성 때문이라고 보고있다.24)

(3) 정신분석학적 가족치료

Freud 는 임상적인 연구방법들을 개발해 가면서 클라이언트와 일대일 관계(one-to- one basis)에서 개별적인 치료형태를 기본으로 하였다. 또한 그는 개인의 역동을 이해하는 도구로써 초기 가족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그 강조는 가족 그 자체가 아니라 가족 환경이 어떻게 본능적 표현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있었다. 또한 그는 가족내의 실제적 상호작용보다는 치료자에 대한 전이관계에서 일어나는 비합리적인 환상적 투사를 강조하였다.

Little Hans 같은 증상적 아동을 치료하면서도 그 아동의 가족을 다루는 것보다는 무의식적 oedipus complex를 분석하는데에 더 관심을 기울였다. 또한 아동발달 심리를 연구할 때에도 가족 역동 그 자체보다는 개인의 성격발달에 미치는 가족의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Nathan Ackerman은 정신분석학적 가족치료자들 중의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소아정신과 의사로서 처음에 그는 아동만을 다루고, 어머니는 사회사업가에게 담당하였으나 1940년대 이후부터 어머니와 아동을 함께 면담하고 더 나아가 전 가족을 면담하는 실험을 시작했다. 이 실험을 통해 그는 전 가족을 보는 것에서 파생되는 효력을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가족을 가장 적절한 진단 및 치료의 단위로 보게 되었다. 그는 인간은 혼자 살 수 없으므로 그들을 교립해서 다루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하고, 무의식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의식적 경험의 맥락과 가족의 현실, 사회적 상호작용내의 역동성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고 보았다. 그는 가족역기능을 가족원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역할보완성의 실패이자 지속적으로 해결되지 않고 있는 갈등의 산물로 본다. 그의 치료목적은 서로 얽혀있는 병리들을 풀어나가는데 둔다.

정통 Freud 학파의 학자들은 무의식의 분석을 주 기법으로 하고, 꿈과 환상을 무의식으로 가는 왕도라고 생각하므로 실제 가족환경에 대한 것들에 주목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그 러나 Ackerman은 가족환경이 거의 안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독립적이지도 않으며, 예측할 수도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따라서 가족환경을 무시하지 않고, 가족적인 맥락에서 사람을 다루는 것이 더 나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25)

정신분석적 가족치료의 목표는 가족원에게 성숙한 방어기제의 사용을 증가시키는 것과 각 가족원들이 개별화를 이루도록 해주는 것이다.

정신분석학적 가족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가족원들이 과거의 무의식적 이미지보다는 현재의 현실에 기본을 둔 전인적인 건전한 인간으로 서로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가족원들의 성격을 변화시키는데 있다.

정신분석적 가족치료 기법에는 자유연상(무의식적 재료들을 표면으로 끌어올리는 것), 면담(가족원들에게 현재의 경험, 생각, 느낌들을 토론하게 함으로써 시작한다)이 있다.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