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공공(공간) 디자인 언어

The Language for Public Space Design

참고문헌

- 공간디자인의 언어(The Language For Space Design),  권영걸 외 40인 저 , 도서출판 날마다, 2011.03

- 삶이 있는 도시디자인(Life Between Buildings), 얀 겔(Jan Gehl) 저, 출판사 푸른솔, 2003.01

-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지자체)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1. 공공디자인이란?

공공디자인의 의미

 최근 도시생활 속에서 공공-공간(public space)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갈수록 고밀화 되는 현대도시에서 공공공간은 도시생활의 스트레스를 벗어버리고 심리적, 물리적 해방감을 느낄 수 있는 장소로 이해되고 있기 때문이다.

 공공공간은 도시 생활자뿐만 아니라 도시를 방문한 사람들에게도 좋은 인상을 주고, 좋은 도시로서 기억하게 한다. 즉 공공공간 디자인은 좋은 도시로서의 이미지와 도시 경쟁력 강화에도 중요한 공간적 자원이다.

 공공디자인은 유행이나 트랜드에 맞추기 보다는 시민의 안녕과 행복과 같은 사회문화적 가치를 추구하여야 한다. 따라서 공공시설 물을 설치하거나 공공 공간의 개발, 공공시각 매체의 제정에 있어 그 도시의 환경적 특성과 지역 문화적 요소를 반영해 이용자의 공감대를 이끌어내고 공중의 삶의 질을 높여나가려는 창의적 노력으로 풀이된다.

공공디자인의 속성

 건축가 '얀 겔(Gehl,J)은 ‘공공공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곳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행위가 매우 중요한 요소다.' 라고 했다.

 따라서 공공공간의 질은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공공시설을 개선하는 것으로만 성취할 수 없으며, 근본적으로 공공공간의 속성에  따라 사람들이인식하고, 기능하고, 사회화 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인간의 도시적 활동(행위)의 분류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출처 : 얀겔(Jan Gehl), 삶이 있는 도시디자인(Life Between Buildings), 푸른솔, 2003>

공공디자인 가이드 라인

[문제점 : 공공디자인 가이드 라인은 저급한 자본주의적 도시경관의 진행을 다소나마 억제할 수 있을 진 몰라도, 전체 조화를 넘어선 창의성과 예술성을 막는 닫힌 행정 기획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

 서울시는 2008년 5월 공공건축물, 공공시설물, 공공공간, 공공시각매체, 옥외광고물 5개 분야에 대한 도시디자인 기준을 마련하는 ‘디자인 서울 가이드라인’을 제정·발표했다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은 관내 보행로·도로·광장 등 공공 공간을 보행자 위주로 조성 하고 벤치·가로등 육교와 같은 공공시설물을 이용자 중심으로 디자인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디자인서울의 4대 기본전략인 ‘비우는’ 디자인서울, ‘통합하는’ 디자인 서울, ‘더불어하는’ 디자인서울, ‘지속가능한’ 디자인서울의 실천 기틀이 마련됐다.

 ‘서울' 공공시설물 가이드라인의 10대 원칙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행정중심 복합도시' 공공디자인 가이드 라인 / 공공시설물의 연출 전략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지구 국제업무단지 경관계획 / 경관기본방향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2. 공공(공간) 디자인의 언어(주제별)

인간중심 공간디자인 [Human centered Space Design]

Affordance: 뇌.몸.공간의 상호성  

Phenomenal Space: 현상으로서의(현상학적) 공간

Narrative: 이야기하는 공간  

Healing: 치유의 공간

Public Good: 공익과 소통의 디자인  

Inclusive: 포용적 디자인

Wayfinding: 길찾기 디자인

Walkability: 보행과 도시공간  

Urban Resilience: 회복력 있는 도시

문화지향 공간디자인 [Culture oriented Space Design]

National Status: 국격의 디자인

• Identity: 공간의 정체성

Glocalization : 세계지역화 시대의 공간

Urbanism: 문화기반의 도시디자인

Regeneration: 지역과 장소의 재생

Heritage: 문화유산과 공간

Intermediate: 공간 중개자로서의 예술

Festivity: 축제와 공간

Lightscape: 빛의 형상성

Space Branding : 문화공간의 브랜딩

Space & Style: 공간, 표현, 스타일

Space Production: 프로덕션 디자인

Color Geography: 색채의 인문지리학

Color Aesthetics: 색채, 환경, 조화

Materiality: 물성, 맥락, 경험

디지털주도 공간디자인 [Digital driven Space Design]

Morphogenesis: 공간의 생성과 조형

Digital Media: 미디어 기반의 공간

UI & UX: 인터페이스와 경험

Interactive: 공간의 상호 작용성

Hybridization: 혼성공간

Fractals: 자연의 알고리즘

Space Grammar: 공간의 형태문법

Scenography: 공간 시노그래피

Data Fabrication: 데이터의 물질형식

생태기반 공간디자인 [Ecology  based  Space Design]

Biomimicry: 생태모방디자인

Contextual: 인지제의(因地制宜) 정신

Eco-feminism: 여성성과 공간디자인

Recycling: 사물과 공간의 순환

Urban Greenway: 생태도시 그린웨이

De-urbanization: 도시의 생태적 회귀

Water Friendly: 인간, 물, 공간

Feng shui: (풍수)장풍득수, 조화와 균형의 지혜

Slow City: 느림의 미학, 슬로우 시티

▷출처 : 공간디자인의 언어, 권영걸 외 40인, 2011.03 , 도서출판 날마다

3. [주요] 도시-건축 디자인 용어정리

Slow City  : 느림의 미학

 슬로우시티(Slow City) 운동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이 운동은 1999년 부터 이탈리아 그레베(greve)시에서 시작된 운동으로 자연환경과 전통을 지키고 지역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자신들의 삶을 지켜 나아가자는 철학을 바탕으로 "느림과 여유의 가치"를 지향한다.

 슬로우시티(Slow City)는 전통을 보존하고 생태주의를 지향하며 지역민을 중심으로 한 "느림의 철학"을 추구하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또한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자연으로 돌아가려는 현대인들에게 큰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요즘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느리게 먹기(slow food)와 느리게 살기(slow movement)운동, 느리게 걷기 또한 그러한 예이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이탈리아 그레베> 

Compact-City  :에너지 절약형 압축도시

 압축도시(Compact City)는 고밀개발을 통한 직주근접으로 에너지 및 토지수요를 관리하는 에너지 절약형 도시를 말한다.

1990년 유럽위원에서 지속가능한 개발(ESSD)을 위주로 도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안되었다.

•압축도시에 대한 학자들 사이에 합의된 정의는 없으며, “도시공간의 보다 집약적 개발과 고밀도 이용”을 위한 접근으로 일반적으로 이해되고 있다

•Green City 와는 상반되는 개념으로, 사회 다양화-정보통신 기술 발달 등의 분산화 경향이 강해지면서 Compact City는 비현실적이며 바람직하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에너지 절약을 증명 하지 못했다.

•이에 따른 대안으로 Compact City 보다 도심의 기능을 다수의 소규모 핵으로 분산한 '단핵집중 적인 도시'(Edge City)를 중심으로 거주공간을 집중시키는 분산집중형(Decentralized Concentration) 도시개발형태가 많이 진행되었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The "Compact City" of Atlanpole, Nantes by Hans Kolhoff(1988)> 

지역거점개발

성장 가능성과 파급 효과가 큰 전략성장거점(growth pole, Growth Centers)을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개발함으로써 거점의 개발 효과가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도록 유도하는 개발 방식이다.

1970년대 중반까지 대부분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주변지역의 개발을 위해 성장 거점 개발을 채택했었으며, 우리나라의 1970년대의 제 1차 국토 종합 개발 계획에서 적용되었다.

거점 개발 방식은 한정된 개발 자금으로 개발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방법이지만 거점(nodal point)의 성장 파급 효과가 주변지역으로 확산되지 못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지역 격차가 더욱 심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Contextualism :맥락주의

도시, 건축물을 설계할 때 일반적으로 대지 혹은 기타의 콘텍스트를 중시하여 발상하는 자세를 맥락주의라고 부르며, 모더니즘의 효력이 감소한 1970년대부터 주목되기 시작했다.

철학이나 예술분야에서는 20세기 전후로 나타난 맥락 혹은 상황을 다룬 작품을 총칭하여 “맥락주의”(contextualism)라고 부르면서 맥락주의를 뭉뚱그려 ‘역사적 사건’이라 칭하기도 한다.

여기서 '사건'이란 하나의 사물이 아닌 서로 간에 일어나는 현상이며, ‘역사적’이란 말은 과거와 연결되어 있는 현재라는 의미로 과거를 현재에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드러낸대는 의미가 깔려있다.

이 두 단어(사건&역사)의 의미를 조합해보면 맥락주의란 사물이나 인간이 사건을 통해 묶여지고 이 묶임은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 발전한다는 의미이며 하나의 사물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맥락 전체의 흐름을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맥락주의 디자인의 모습 _옛것과 새것의 사건과 역사성 : 복합성과 대립성> 

Mixed-Use Development (MXD) :복합용도개발

복합용도개발(MXD)은 혼합적 토지이용의 개념에 근거하여 주거와 업무, 상업, 문화 등 상호보완이 가능한 용도를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연계·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미국의 도시 부동산 연구단체 ULI(Urban Land Institute)는 1976년 복합용도 개발(Mixed-use Development)이란 독립적인 수익성을 지니는 3가지 이상의 용도를 수용하고, 혼란스럽지 않은 보행동선체계로 모든 기능을 서로 연결하여 물리적·기능적으로 통합하며, 하나의 개발계획에 의하여 일관성 있게 개발되는 도시.건축계획이라고 하였다.

복합용도개발은 도심 내 상업용도 건물의 과도한 증가 현상을 억제하고, 야간의 도심의 공동화 현상을 방지하는 도심 주거 기능의 확충, 직주근접에 따른 교통난 해소를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본 동경의 록본기 힐즈, 프랑스 파리의 라데팡스 등이 복합용도개발의 대표적 예이다.

복합용도 개발의 공간구성 및 형태에 따른 유형은 3가지로 볼 수 있다.

   - Megastructure Type: 모든 구성요소들이 여러 방법에 의해 조합되어 단일 구조를 이루는 공간형태로 여러 가지 용도를 주로 수직적 동선으로 배분시키며, 해당 개발계획의 시장성의 건축물의 이미지를 높여줄 수 있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 PlatForm type : 일종의 인공지반으로 지상에서 몇 층의 높이로 전대지에 걸쳐 건설되고 그 위에 몇 개의 건물이 세워진 형태로 모든 건물의 하부를 연결시키며 프로젝트의 각 요소들을 수평으로 분리시킨다. PlatForm이 건물의 공통적인 기본구조로 각 기능들이 상호 지지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테라스 역할을 하는 PlatForm하부에 서비스, 운송, 주차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 Free-standing type : 여러개의 독립된 건축물이 지상층이나 공중에 설치되어 보행자도로나 나라와 같은 시설로 프로젝트 각 요소들이 연결된 형태로 공동의 기반이 없이도 다양한 계획이 가능하고, 지하통로에 의한 연결 방식보다 비용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2003년 4월에 개업한 일본의 대표적인 플랫폼 타입 복합용도개발 : 롯본기 힐즈> 

TOD : 대중교통중심개발

•개념 : 대중교통과 토지이용을 상호 연계하여 대중교통중심의 고밀개발을 유도하는 도시개발방식.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는 미국 캘리포니아 출신의 건축가 Peter Calthorpe에 의해 제시된 이론으로 개인승용차 의존적인 도시에서 탈피하여 대중교통이용에 역점을 둔 도시개발 방식이다.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를 구현하고자 하는 TOD는 도시의 무분별한 외연적 확산을 억제하고 승용차 중심의 통행패턴을 대중교통 및 녹색교통 위주의 통행패턴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으며, 기성시가지의 기존 용도에 보행자 중심 및 복합용도의 대중교통위주의 개발을 통한 새로운 용도를 첨가 함으로서 도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도시재생방식을 취하고 있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What is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OD 전략

   (1) 교통 시스템과 물리적 / 기능적 연계 : 도시공간연계적 시점

분류

구성

계획요소(Design element)

도시공간연계적 시점

(Accessibility)

지구연계
(Linkage)

지역의 세부지구 구분 및
공원
, 주차시설 등의 기반시설으로의 연계

가로체계
(Street System)

가로위계 및 시스템 / 주차동선

블록구성
(Block Plan)

대중교통 결절점 대응 계획
차량접근체계 및 동선계획

   (2) 적정한 고밀 복합 토지이용 : 토지이용적 시점

분류

구성

계획요소(Design element)

토지이용적 시점
(Mixed Use & Density)

밀도
(Density)

토지의 밀도계획

용도혼합
(Mixed Use)

건축물 용도혼합 / 저층부 용도계획

   (3) 보행환경을 강화하는 디자인 : 경관디자인적 시점

분류

구성

계획요소(Design element)

경관디자인적 시점

(Design)

건축물 형태
(Building Form)

건축물의 높이, 형태 및 외관

Setback, 쌈지광장, 공개공지 등 공용공간 계획

가로시설물
(Street Furniture)

보행편의시설 및 공공예술품 등 시설물 계획

· 대중교통환승시설 _설계,배치기준

(1) 집단적으로 입지하는 연계환승거점의 교통수단을 대상으로 영향범위, 이용객 수 등을 기준으로 主교통수단 선정  * 주교통수단 : 복합환승센터를 중심으로 주된 연계환승의 대상이 되는 철도, 버스, 항공기, 여객선 등 교통수단
(2) 주교통수단에 대한 개별 접근교통수단의 환승편의 향상(환승거리 단축 등)을 위한 시설 개선 추진
(3) 각 접근교통수단의 승하차 시설은 주교통수단에 대하여 평면환산거리가 최대한 단축되도록 배치
(4) 평균환승거리 산정

: 접근교통수단별 환승거리로서 접근교통수단 하차지점에서 주교통수단 승차지점까지 거리
 * 계산식 : 보행통로길이(m) + α * 계단거리(m) + β * 무빙워크길이(m)   단, α=2, β= ½, (E/S 존재시 α= ½)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Total Design

· 합리성과 전문성만을 추구하는 부분적이고 단편적인 디자인을 넘어, 생활 전체를 생각하는 디자인을 생각할 수 있다. 환경, 건축, 인테리어, 가구, 제품디자인 등의 다양한 장르의 전문가들이 협력, 통합, 조정되고, 코디 되어야 한다. (환경적 관점의 전체적 조화 추구) 

토탈디자인은 모든 디자인이 아니라 완전한 디자인이다. 그러나 완전한 디자인을 위해서는 모든 디자인이 필요하다.

Universal Design  : 평생디자인 (모두를 위한 디자인)

· 개념 : 유니버셜 디자인은 ‘평생 디자인’이라고도 부르는 디자인계 최신 주제이다. 장애인, 노인, 어린이 등 약자가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상품 창조를 만드는  디자인을 말하고, 신체적인 약함 뿐 아니라 상황이나 나이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특정 부분의 불리한 점을 보완하는 것이 ‘유니버셜 디자인’이다.

   ‘더 편하게’, ‘더 안전하게’, ‘더 풍요롭게’를 외치는 소비자 중심의 생활 디자인이 지금 세계가 추구하는 디자인의 중심이다.

· 유니버셜 디자인은 ‘나이나 능력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최대한 사용하기 쉽게 만들어진 제품이나 환경에 대한 디자인’을 의미한다. 이는 건물이나 시설을 추가 비용 없이, 혹은 최저 비용으로 장애자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기능적이고 매력적으로 디자인하는 방법이다.
· 유니버셜 디자인은 배리어프리의 문제 인식에서 출발한 개념으로 배리어프리를 발전시킨 개념이라기보다는 그 이상의 개념으로 “모든사람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 이다.

· 유니버셜 디자인의 원리

(1) 기능적 지원성이 높은 디자인 (Supportive Design)
   : 기능상 필요한 도움을 제공해야 하며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어떤 부담도 야기시켜서는 안된다. 조명의 경우 밝기가 적절치 않으면 시각의 정확성이 떨어지며, 노인들에게 매우 불편해진다. 부엌의 싱크대 밑이나 계단의 하단부위에 조명을 설치하는 것도 이러한 사례이다.

(2) 수용가능한 디자인 (Adaptable Design)
   : 상품이나 환경이 상황에 따라 조절가능함으로써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통성을 지녀야 한다. 특히 오랜 시간 다양한 형태로 작업하는 사무환경에서는 인간공학적인 방법으로 이러한 특성의 디자인이 연구되어야 한다. 변화 가능한 형태의 작업대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과 스탠드 다양한 서체와 글자의 크기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이러한 사례이다.

(3) 접근가능한 디자인 (Accessible Design)

  :  접근 가능성이란 장애물이 제거된 상태이다. 보도블록을 휠체어 사용자와 자전거를 타는 사람, 환자들이 편리하게 다닐 수 있도록 고려하고 아울러 시각장애자들에게도 도움이 되도록 색채와 패턴, 적절한 배치와 질감이 있는 재료를 사용해 시각장애로 인한 사고를 가능한 줄이는 것 등이 이러한 것들이다.

(4) 안전한 디자인 (Safely – oriental Design)
  :  대조적인 색채와 패턴으로 레벨 차를 표시하거나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한 것 등 안전한 디자인은 보다 개성적이다. 또한 안전성은 심리적인 건강함, 소속감, 자기가치 등을 포함한다. 장애자가 정상적인 활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려된 공간은 개인에게 도립심을 부여함으로써 심리적인 건강을 유지시켜준다.

· 유니버셜 디자인의 적용 예

(1) 공평한 사용 (Equitable Use)
  :  모든 이용자들에게 똑 같은 의미를 전달 할 수 있어야 하고 언제나,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특정사용자를 규정하여 구분된 디자인을 해서는 안 된다>

남자화장실에도 아기 기저귀 교환 대를 설치해 놓음으로써 성별에 따른 기존의 인식을 변화 시켜주고 있다.

(2) 사용에 있어서의 유연성 (Flexibility in Use)
  :  광범위한 개인의 능력이나 기호에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3) 단순하고 이해가 빠른 사용 (Simple and Intuitive Use)
  :  이해하기 쉬워서 사용자의 경험이나 지식, 언어적 능력에 상관없이 사용하기 편리해야 한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4) 인지할 수 있는 정보 (Perceptible Information)
  :  주변의 환경 상태와 사용자의 감각 능력에 상관없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소통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5) 신체적 움직임의 최소화 (Low Physical Effort)
  :  신체적인 피로를 최소화함으로써 디자인은 가장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6) 접근, 사용이 가능한 크기와 공간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 유니버셜 디자인 & 베리어프리의 차이

구분

베리어프리

유니버셜 디자인

적용 대상

장애인, 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

모든 이용자

사용자 구분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구분

장애인에 대한 구분이 없으며 다양한 개성을 지닌 사람 중 일부라는 인식

접근 방법

설치된 장애물을 제거, 정비하는 개념

처음부터 장애물을 설치하지 않는 개념

평가 방법

배리어 프리 인증제도에서 정비를 위한 정량적 지표 제공

정비에 대한 정성적 방향 제시

적용 목적

공간과 편의시설을 이용가능 하도록 정비

사용자의 편의와 만족도 향상을 위한 디자인 및 정비

관련 법규
(조례)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장애인 복지법

화성시 공공시설물 유니버셜 디자인 조례
대전광역시 동구
유니버셜 디자인 조례

Barrier Free : 장애물 없는 도시 만들기

· 개념: 배리어프리(barrier free)는 1974년 국제연합 장애인생활환경전문가회의에서 ‘장벽 없는 건축설계(barrier free design)’에 관한 보고서가 나오면서 건축학 분야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일본, 스웨덴,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휠체어를 탄 고령자나 장애인들도 일반인과 다름없이 편하게 살 수 있게 하자는 뜻에서 주택이나 공공시설을 지을 때 문 턱을 없애자는 운동을 전개하면서 세계 곳곳으로 확산되었다.

· 적용기준 및 적용원칙

(1) 배리어프리(barrier free)는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의 ‘편의시설의 구조, 재질 등에 관한 세부기준(제2조 제1항 관련)’ 과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법 시행규칙’의 ‘[별표1] 이동편의시설의 구조, 재질 등에 관한 세부기준(제2조제1항 관련)’,  ‘[별표2] 보행시설물의 구조, 시설기준에 관한 세부기준(제9조제1항 관련)’을 기초로 하고 있다.
(2) 법에서 정하고 있는 세부기준은 사회적 약자의 접근성, 이용성 보장을 위해 최소한의 규격을 명시하여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관련 시설의 설치 및 설계 시 제시된 규격을 준수하고 있는데 최소의 규정을 대부분 적용하고 있어 휠체어사용자, 노약자 등이 시설을 이용할 때 사용은 가능하나 편리하다고 느끼기에는 부족하다. 기본적인 취지는 최소한 규격을 제시하고 그 이상의 시설설치를 요구하는 것인데, 설계시 그 최소 규격을 일률적으로 적용하여 이용자에게 질적인 편의시설의 제공이 되지 않고 있어 적용기준에 대한 인식 및 제도적 보완이 요구된다.

· 디자인 요소
(1) 계단과 경사로  (2) 유도블록 및 점자 안내표시  (3) 승강기, 리프트  (4) 기타요소들

CPTED : 범죄예방환경디자인

· 개념 : 범죄예방환경디자인(CPTED :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이란 건축 및 도시설계의 관점에서 볼 때 적극적인 방어적 공간계획의 수립 및 물리적 환경조성을 통해 잠재적 범죄의 위험으로부터 시민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범죄자에게는 범죄기회를 줄이는 디자인 기법이다.

· 범죄예방환경디자인이란 인간행동에 대한 환경적 접근이라 할 수 있고, 범죄는 도시디자인을 통해 통제될 수 있다고 정의하고 있다. 즉 심리학적 학습이론에 근거하여 범죄예방을 위한 물리적 환경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인간의 행동은 물리적 환경 디자인을 통해 조절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도시생활에서 흔히 나타나는 사회적 무질서, 고립 그리고 소외는 인간을 고려한 환경계획을 통해 개선될 수 있으며, 친근한 환경은 인간의 접근을 증가 시키듯이 도시 또한 그렇게 디자인 될 수 있다.

· 범죄예방환경디자인 모델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 CPTED 도시디지인 적용사례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소규모 공원 및 주차장 계획>

  ​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담장 허물기>

  ​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지키미 집 지정 / 비상벨 설치>

  ​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밝은 분위기의 골목길 디자인 / 소공원 설치 >

  ​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매립형 옥외배관 / 외진 골목 밝은 조명 계획과 CCTV설치>

  ​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방범초소 / 방범 안내판>

Ubiquitous /  U-City

· 개념 : Ubiquitous는 라틴어 'buiquitas'를 어원으로, ['existing or being everywhere at the same time'] : 언제,어디서나 도처에 존재하는, 제3의 공간으로도 불리우는 제한없는 접속을 지향하는 환경이다.

· 여러 유형의 유비쿼터스 환경

​(1) 물리적공간(Grid)공간에 전자공간(Matrix)이 삽입된 환경

: 공간정보를 감지하는 눈과 그 정보를 인지하는 기관인 뇌가 공간 좌표상의 동일 위치에 있는 단일 시점이 아닌 다 시점 시각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지능을 통해 무한히 많은 눈과 귀, 그리고 오감을 넘어서는 다양한 감각기를 가진 무한 지능의 생명체가 살고있는 공간이다.

​(2) 최적화된 살아있는 공간으로 가는 획기적인 공간혁명의 단계

: 물리공간을 컴퓨터 속에다 집어넣은 '정보혁명'과는 다른 개념으로 '유비쿼터스 혁명'은 물리공간과 전자공간의 한계를 동시에 극복하고 사람, 컴퓨터, 사물이 하나로 연결되어 기능적으로 현실에 살아있는 공간이다.

​(3) 공간과 인간이 서로 교류하는 Iteractive(상호작용)한 공간

: 사물이 인터페이스(Iterface)의 새로운 주체가 되어 정보와 사물을 컴퓨터가 매개하므로 사람과 사물간의 인터페이스가 중요해진다.

[ ex) 냉장고 안에 무엇이 있는지 일목요연하게 알려주는 인터페이스가 부착되어있거나 현실세계의 모습에 가상정보를 투영하여 날씨를 알려준다던가 하여 인간에게 연결되어 있는 전자 공간상의 정보를 불러올 수가 있는 식의 인간과 사물이 & 공간이 서로 유기적으로 교류하여 마치 살아있는 것과 같이 인간의 요구에 따라 변하는 것]

​(4) 현실체가 지능적으로 증강된 공간

​: 원자와 비트가 원소로서 연계되어 형성되며, 만지지 않아도 공간에 존재하는 원하는 정보를 이용자가 알 수 있는 공간으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브로드 밴드 네트워크 + 모바일 네트워크 + 와이어리스 네트워크)와 센서, 칩 등과 같이 작은 컴퓨터가 내재되어 있는 사물들의 연결과 통합을 이루는 제3공간이다.

[ex) '모바일IPv6' 라는 이동 공간 주소체계를 사용하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무한이 많은 사물들(모든 상품,부품,물체,시설,동물,식물등) 하나하나에 까지 주소를 부여할 수 있게 됨으로써 물리공간이나 전자공간이 가지는 주소체계의 한계를 뛰어 넘을 수 있게 되는것]

​(5) 유비쿼터스 컴퓨팅, 퍼베이시브(pervasive) 컴퓨팅 기술

​: 유비쿼터스의 제3공간의 핵심기술로서 아주 작은 칩이나 센서를 사물 속에다 집어넣어서 다양한 무선방식(무선인터넷)을 통한 환경, 사물의 변화, 공간이동을 연속적으로 감식, 진단, 추적할 수 있으며, 정보를 실시간 공유가능하게 한다.

· 유비쿼터스 하드웨어 기술의 건축적용

(1) 환경조절시스템 : (냉난방,조명,환기,수거)센서-자동제어시스템
(2) Smart-Display : smart wall&table, 지능형바닥 디스플레이
(3) 네트웍커뮤니케이션 : telemedicine,U-learning,U-communication
(4) 안전보완시스템 : (보안,감시,통제)센서,DVR 시스템
(5) 자동제어시스템 : (에너지)원격 리모트,타이머,음성인식 시스템

· 유비쿼터스 공간디자인 도출 가능개념 (인터렉션 디자인적 경향)
(1) 정성적&시간성 -"감성공간디자인"(Emotional-Sensible space design)
: 개념적도구:감응디자인,비물질화,투명성,Hypersurface
[*감성공간은 감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평가하고 공학적으로 분석하여 제품개발,환경설계에 적용함으로 인간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2) 상호간섭유도 / 유동적&가변적&새로운지각장치 "지능형공간디자인"(Intellectural- space design)
: 개념적도구:유연성,다양성,가역성,자기조직화,Open System, Movement
[*지능형공간은 공간스스로가 인간이 필요한 정보를 판단하고 제공하는 공간이다]
(3) 자연적(유기적)형태/ 카오스 / 리만공간(양자론,불연속공간) "유기적공간디자인"(Organic)
: 개념적도구:비선형구조공간,위상적공간,불연속성
[유기적공간은 디지털 공간&도구(tool)와 공존하며, 생태적인 형태인 전체성(Wjoleness)을 추구하고, 상호교류와 인간&공간&환경의 유기적 관계를 실현하는 공간이다]
(4) 자연적(유기적)형태&친환경 "지속가능한공간디자인"(Sustainable)
: 개념적도구:생태, 그린, 에코디자인
[지속가능한공간은 기존의 환경친화건축, 생태건축의 근원적인 의미를 실현할 수 있는 기술을 접목시켜며 원론에만 머물러 있던 이론에 실제성과 조형성을 실현하는 공간이다]
[인간의 감각이 서로 상관되어 상호작용을 한다는(공감각적) 점을 이용하여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을 인터렉션 디자인이라고 하며, 공간 및 제품을 비롯한 여러 디자인 분야에서 이러한 감성에 호소하는 디자인을 이미 실천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공간에서도 필연적인 요소로 작용 할 것이다]

· 유비쿼터스 공간개념 사례

<Greg Lynn' Embryological Housing(발생학적주거프로젝트)>
<'NOX' Fresh water pavilion(청정수 파빌리온)>
<MIT'House_n / 'BRE&Patners'Inreger House>
<'Philips사' 노아의 베드(3D,Flexible display기술제품)>
<'Smart Homes Foundation' 스마트홈(무장애,조립형평면,ICT(정보통신기술) 주거도입>

Interactive Design

· 개념 : 인터렉티브 디자인은 중간에 매개가 되는 기술을 빼면 인간의 사회적인 행동과 패턴 등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인터렉션은 인간과 환경, 인간과 시스템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에서 일어나는 일종의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인간이 습득하는 경험을 디자인하는 것을 인터렉티브 디자인이라 정의 한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사람

디지털 요인 인자를 사용하는 주체
사람이 어떠한 정서나 감성을 가지고 있고 감각들이 외부의 자극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파악 하는 것

디지털 인자

사람과 협동하는 주체
디지털 요인 인자들은 디지털을 이용한 매체, 기기, 연출 등의 요소로 첨단 기술의 집합을 말한다.

상호작용

궁극적으로 구현 하고자 하는 산출물
디지털 기기를 직접 사용하는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도 중요 하지만 이 매개로 하여 사람과 사람들이 수행하고 관계를 맺는가 하는 부분도 중요한 요소임

· 인터렉티브 디자인 특성
인터렉티브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표는 경험 창출과 체험을 목적으로 의도된 감성의 경험을 사용자와 방문자에게 자연스럽게 유도 발생되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찾고자 하는 정보의 방향을 정확하게 하는 네비게이션 역할이 중요하며 일관성 있는 단순함으로 지원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인터랙티브 디자인 구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을 하는 과정에서 기능성, 관계성, 지원성, 사회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요소들이 긍정적인 효과를 일으킬 때 비로소 정보와 사용자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남을 확인 할 수 있다.

특성

내용

기능성

사용자와 원하는 정보의 접근용이, 정보전달 기능

관계성

사용자와 프로그램과의 관계를 반전, 심화

지원성

새로운 경험과 체험으로의 유도, 능동적 참여 유발

사회성

정보를 조작하고 공유함에 따른 소통과 참여 유발

· 인터렉티브 디자인 특성을 적용한 공공공간 사례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 디자인 사례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FLARE-FACADE: 자동기계장치를 움직여서 물리적 움직임 표현>

​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빛의 운동 : 금속성의 접시 여러 개를 매달아 빛의 운동으로 표현>

​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Audio Swap : 714개의 금속 공의 움직임>

  ​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하이퍼 파사드 : 4개의 벽면을 화면으로 사용하여 입체적 영상으로 표현>

  ​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말하는 돌고래 : 벽면 화면을 통한 사람과 대화를 통한 상호작용>

  ​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Interactive water light graffiti wall installation : 물이라는 매개체를 통한 벽면 디자인>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멀티 프로젝션 : 바닥에 인터렉션을 활용하여 특정 위치에 서면 바닥벽돌의 그리드가 변화>

· 종합사례분석표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Smart Design

ECO Design

· 개념 : 에코디자인이란 환경적인 요소를 염두에 두고 제품을 디자인하는 것을 말한다. 경제적인 요소와 환경적인 요소를 합쳐 가장 실용적인 결과를 찾자는 것이다. 유럽의 환경 기준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에코디자인의 조건에 합당한 것을 만들어야 한다. 제품의 사용 수명을 최적화하고 환경 배출물을 줄이고, 물질 사용량이 적어야만 한다. 또한 재활용성을 높여야 한다.

· 친환경 건축구현을 위한 패시브(Passive) 및 액티브(Active) 디자인 기법

​(1) 친환경 Passive design ; 건축물 에너지 성능을 향상시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함

• 남향, 남동향 배치

• 고기밀성 단열창호
• 단열성능 강화 : 고성능 단열재(블록형단열재, 열반사단열재, 진공단열재, 흡음단열재, 고무발포단열재 등)
• 로이유리

• 열차단 필름
• 외부차양(처마, 전동블라인더)

• LED+고효율 조명
• 옥상녹화(단열+친환경)

• 자연채광, 자연환기

​(2) 친환경 Active design ; 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하여 청정에너지를 자체 생산함
• 기존의 환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여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
    - 재생에너지 :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해양, 폐기물, 지열
    - 신에너지 :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및 중질잔사유가스화, 수소에너지
• 2030년까지 총에너지의 11%를 신재생에너지로 보급

· 친환경 건축설계 적용 예

​(1) PASSIVE DESIGN

​    - 수직환기(Eco-Atrium)
    - 자연환기(Cross Ventilation)
    - 자연채광(Sunlight Scoop)
    - 고성능 외피(High Performance facade)
    - 옥상녹화(Eco-Roof)

​(2) ACTIVE DESIGN

​   - 고효율 Heating & Cooling
   - 고효율 배기열 회수 시스템
   - 고효율 빙출열 시스템
   - IT 기술이용 에너지 절감
  - 쿨튜브+써멀매스 (CoolTube+Thermal Mass)

​(3) WATER STRATEGE

​   - 우수재활용(Graywater Storage)
   - 오수재활용(Rainwater Storage)
   - 리빙머신(Living Machine) 
   - 에코 워터(Eco Water,환경수), 친수공간

​(4) ECO FRIENDLY MATERIAL

   - VOC 저방출 재료
   - 재활용, 재사용 재료
   - 내재에너지 저감재료
   - 장수명 재료

​(5) RENEWABLE ENERGY

​   - 태양광발전(BIPV Panel)
   - 지열시스템(Geothermal Pipes)
   - 태양열 급탕(Solar Heating)

​(6) MOBILITY

​   - 전기 자동차(Electric Car), 수소 자동차(hydrogen fueled Car)
   - 충전소(E-Station)
   - 전기 자전거(Electric Bicycle)

​(7) ENERGY PARK

​   - 풍력발전(Wind Turbine)
   - 태양광 발전(PV Island)
   - LED 갈대램프

Emotional Design: 감성디자인

· 개념 : 일반적으로 감성디자인의 의미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나 감성을 물리적인 디자인 요소로 번역해 구체적으로 설계하는 기술'이다.

최근 감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감성공학(human sensibility ergonomics / sensibility ergonomics / image technology)이라는 이름으로 공학 분야의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 

· 도시, 건축설계에서의  감성디자인(Emotionnal Design, Emotional Architect)

​(1) 논리적 이성보다는 본능적, 심리적인 자극을 통한 디자인으로 다중의 감각(오감, 기억, 취향, 공감코드)을 수단으로 감동, 공감을 유발한다.

​(2) 종합적인 건축적 물질의 정보성(물질 구축성, 텍스쳐, 패턴, 색채, 빛, 그림자, 소리, 촉감, 온도, 매스-공간의 형태와 울림, 중량감, 기억과 흔적, 움직임, 파노라마 풍경, 관계맥락 등)을 통해 감정과 감성을 표현한다.

​ 

· 감성 디자인의 분류 및 기조(basis)

​(1) 다 감각디자인(Multi-modality Design)

: 인간은 여러 감각 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자극과 변화를 인식하고, 대응하면서 생활을 한다. 인간이 어떤 대상이나 제품에 대하여 갖게 되는 생각이나 느낌은 일차적으로 시각적 정보에 의존한다. 따라서 디자인에서 시각요소는 절대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여 왔다. 한편, 인간이 제품에 대하여 갖는 느낌, 즉 감성은 여러 감각과 개인의 경험이 종합되어 나타난다.

​(2) 시스템디자인(System Design)

 : 인간이 사용하는 기계와 제품들은 서로 연결되어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이들의 주인인 인간

이 필요한 일들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연결되는 기계와 제품들은 서로 남남이 아니라 한 집안의 가족이나 친척들과 같은 모습이나 행동 등이 닮아 갈 것이며, 이는 기능과 디자인 측면으로 나타날 것이다.

​(3) 환경 및 자연보호 디자인(Ecological Design)

  : 환경 및 자연보호 디자인에 대한 개념은 오래 전부터 제기 되어 왔다. 그러나 디지털 시대의 디자인은 보다 넓은 영역에서 인류의 생활터전인 지구환경의 보호와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에 기여할 수 있다. 디자인 과정도 변화되어야 한다. 제품의 활용을 위하여 필요한 소모품이나 이용의 결과물들이 재활용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Communication Design)

  : 디지털 기술은 앞으로 간접 커뮤니케이션의 비중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이 간접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필수적인 사항이 인간이 환경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디자인이 사용자와 디자이너와의 가교 역할을 해야하며, 눈에 보이지 않는 심리적 커뮤니케이션 또한 이루어 낼 수 있어야 한다.

ParticipationDesign & ServiceDesign : 참여디자인&서비스디자인

· 개념 : 서비스디자인의 대두는 산업의 패러다임이 제조에서 서비스산업으로 진화되어 가면서 공급자 중심의 경제활동에서 수요자 중심의 경제활동으로 바뀌면서 시작되었다. 서비스디자인은 기업이 어떤 서비스를 왜, 어떻게 개발하고 향상시키고 싶어 하는지 그리고 기업은 어떻게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실제 이용객, 고객의 숨겨진 Needs를 발견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창조하는 과정에 대해 서비스제공자 및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문제를 공유하고 도식화 하여 디자인적 해결 방법을 공론화 하는 디자인 방식이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 사용자 중심의 접근으로 잠재된 욕구를 발견하고 혁신적인 콘셉트를 도출하여 시각화,  프로토 타이핑 등 다양한 서비스 디자인 방법을 통해 공공분야의 서비스를 개선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 서비스디자인 전개방식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Process Candy Map>

​ 

· 서비스디자인 적용 사례

[사례-1] 회기동 프로젝트

☐ 회기동 프로젝트는 시민서비스 디자인 프로젝트로 서울시청과 서울 디자인재단이 주관하여 현 시립대 교수와 공무원, 시민들이 한 팀으로 구성되어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각 전문분야의 전문가들과 매주 미팅을 통해 회기동을 중심으로 시민서비스 디자인을 시작하기로 했다.

☐ 답사를 통해 거주하시는 시민들의 불편사항을 듣고 문제점 해결을 위주로 회의를 했다. 회기동의 범죄 취약지구로 지정된 회기동 12가길을 중심으로 마을 주민들이 소통을 통해 안전하고 살기 좋은 마을을 스스로 만들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사례-2] 버진항공(Virgin Atlantic : 공항 전용 터미널을 위한 디자인)

Needs :
  런던에 위치하고 있는 ‘히드로 공항’은 2007년 남성패션지 루엘에서 최악의 공항으로 뽑힌 적이 있을 정도로 복잡하고 불편한 공항이었다. ‘히드로 공항’은 British Airways 터미널 3을  버진 아틀란틱 항공의 전용공간으로 새롭게 디자인 하면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총 43억 유로의 비용이 투입되었고 버진 아틀란틱 항공을 이용하는 승객들을 대상으로 만족 할만한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른  항공보다 버진 아틀란틱 항공만 기억하고 이용 하도록 하는 것을 서비스 디자인 목표로 삼았다.

Service Design Process :
    서비스 디자인 수행을 맡은 ‘엔진’社는 탑승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내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고 탑승객에 초점을 맞추었다. 다양한 리서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공항에 막 도착한 사람들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고객이 만족하는 점과
  만족하지 못하는 점을 ‘고객여정 맵’으로 시각화하여 서비스의 흐름과 전체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하고, 단계별로 세부적인 디자인 솔루션을 제안 하였다. 제안된 서비스에 대하여 일관된 서비스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항공사 모든 직원들이 공유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아이디어의 적용 :
 - 첫째, 체크인 시간을 최소화하였다.
탑승객의 대부분이 이코노미 클래스인 만큼 이코노미 클래스는 쉽게 지체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체크인시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인 탑승처리 시스템(kiosks desk)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즉시 수하물 무게를 달아보고 추가요금을 처리할 수 있는 저울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대폭 줄이게 된다.

 - 둘째, 버진의 독특한 드라이브 쓰루 체크인*과, 리모 체크인을 적용하고 근거리에 저울을 배치해 역시 효과적 동선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드라이브 쓰루 체크인(Drive-thru Check-in) : 차에서 내리지 않고 체크인을 먼저하고 파킹 하는 방식
   • 리모 체크인(Limo Check-in) : 리무진을 타고 터미널에 도착시 직원이 미리 탑승표를 준비해 기다림으로서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하는 서비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결론 : 비로소 혁신이 시작되다
    이제 히드로 공항에서는 버진 전용 리무진으로 도착해 일등석 전용 라운지까지 이동하는데 10분이 안 걸린다. 사소한 부분까지 세심하게 고려된 서비스의 결과는 수익 증가와 고객만족도 증대라는 확실한 수확이다. 터미널이 오픈 된 지 4달 만에 장거리 탑승객 수가 4% 증가하였고 비즈니스, 퍼스트클래스 탑승객은 10%까지 증가하였다. ‘버진 항공’은 악명 높은 히드로 공항, 터미널3에서 오히려 고객 감동을 전할 귀중한 기회를 찾게 된 사례를 만들어 냈다.

[사례-3] 아셀라 고속철도 서비스 프로젝트

☐  미국 북동부를 운행할 새로운 고속철도가 필요했던 ‘앰트랙’社는 IDEO에게 새로운 열차인 ‘아셀라(Acela)’의 객실디자인을 의뢰하게 되었다.
IDEO는 이 일을 의뢰받고 세계 최고의 열차 객실 벤치마킹을 하고 고객과 함께 여러차례 기차여행을 했을 뿐이었다. 그러면서 여행객이 전체 여행을 경험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냈고 ‘고객 여정 맵(Customer Journey Map)’을 개발했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 

☐  MAP

‘1)여행정보를 학습하는 단계 – 2)여행을 계획하는 단계 – 3)기차역에 가는 단계..’에서부터 ‘9)목표 역에 도착한 단계 – 10)다음 여행을 계속’까지 ‘총 10단계’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 중 객실 좌석에 앉게 되는 것은 8단계에 이르러서였다. ‘고객이 열차 대신 비행기를 이용하는 이유는 객실의 디자인이 좋지 않아서가 아니다.’, ‘열차표를 예매하는 것도 불편하고, 역사에서 기다리는 것도 지루하고, 탑승 절차도 번거롭다.’

결국 이 문제는 객차를 금으로 장식한다 해도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는 공통된 인식을 갖게 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IDEO는 비행기 여행과 비교하여 모든 면에서 우월한 경험을 제공하는 서비스디자인을 제안하게 된다.

사례 4] 공공자전거 무인대여시스템

☐  최근 서울시는 세계적 트렌드인 저탄소 녹색성장에 발맞춰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자전거이용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여 시민의 자전거 접근성을 용이하게 만들고자 하는 취지다. 자전거 주차장 설치 및 유지관리, 이용자에 대한 지원, 교통안전 교육장 설치운영, 무료대여소등을 운영하고 있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  공공자전거 대여서비스는 국가의 정책적인 도입과 아울러 질적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홍보가 부족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뒤늦게 접하는 경우도 있고, 다양한 연령층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성별과 연령대에 맞는 자전거 구비가 필요할 것이다. 실제로 지역 내 거주하는 한 주민은 무인대여시스템을 통해 자전거를 이용하게 되면서 출퇴근 및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게 되어 매우 만족하다는 의견을 전하기도 했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  이처럼 새롭고 차별화 된 서비스 제공은
1. 국민의 안녕과 행복, 고객에게 편리함과 동시에 감동을 주고
2. 서비스의 차별화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표준화가 구축될 것이며
3. 이를 통한 고객의 선호도 증가 및 브랜드 제고에 영향을 끼칠 것이며
4. 브랜드 충성도에 따른 매출향상 및 수익증대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좋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잠재적인 새로운 고객들을 지속적으로 유입하게 만들고 아울러 서비스의 영역은 무한대로 확장될 것이다. 이렇게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경험은 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 간의 끈끈한 유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담당하게 되면서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지속적이고 확장된 개념의 서비스 창출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사례 5] KRSTL – 고객을 위한 쇼핑 서비스

☐  제품/서비스 및 경험
  필요와 기회를 식별하고 공감 구동 통찰력을 수집하여 KRSTL은 소비자 중심의 세계를 통한 맥락에서 사람의 차이, 행동과 여행을 직접체험하고 분석하였다.
  개인의 감정적인 반응은 기존의 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한 새로운 서비스와 새로운 행동 및 경험에 따라서 (감정의 불안을 제거하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영향을 발견하고 활성화 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과 환경 요인이 함께 평가하는 모바일 기술을 개발하였다.   고객 쉐도잉과 인터뷰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였다.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 

☐  매핑 연구
  연구의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잠재적인 해결책을 발견하기 위하여 매핑 프로세스를 도입하였다. 고객과 비즈니스에 적합한 솔루션을 개발하는 동안 우리는 자사의 비즈니스에 창조적이고 개방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서비스 설계 방식은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과 미래의 지속적인 성공을 만드는 데 필요하였다.

​ 

☐  서비스 청사진 / 로드맵을 생산
  여러가지 툴을 사용하고 그 결과로부터 설계 목표를 창출해낼 수 있다.  이 단계에 따라 행동의 단기 및 장기 솔루션을 추출해내고  귀중한 아이디어를 생산해냈다.
  프로토 타입이 시작하기 전에 디자인 기회와 서비스 사양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아이디어에 대해 커뮤니케이션 하였다.

​ 

공공 디자인 인재가 되는 확실한 방법

​ 

☐  컨셉 개발 - 스토리 보드
  원하는 고객의 행동을 요약 스크립트로 작성해보면 컨셉 개발의 단계가 더욱 수월해진다. 
  디자인 프로세스의 결과를 파악한 후에는 지금뿐만 아니라 존재하지 않는 잠재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를 관찰할 수 있다. 우리는 파생 및 연구 설계 시나리오를 통해 새로운 제품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