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측과 예언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심리학개론


Chapter 1.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1. 심리학의 기초
1.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1) 심리학자가 하는 일
- 경찰관들이 직업상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조언 제공
- 야구팀 선수들이 뛰어난 성적을 낼 수 있도록 감독 및 코치들에게 상담해 준다.
- 대기업 그룹의 마케팅 이사로서 500명의 직원을 거느리고 연 100억의 예산을 사용하여 회사제품의 판촉
활동을 실시
- 국회의원들에게 시민건강 또는 사회건강의 심리적 지표에 대한 자문 제공
- 산업 재해를 줄이기 위해 어느 정도까지 여건이 개선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심리학적 지식을 응용한 대책
세우기
- 조직 내 개인별 기여도의 차이를 구분하기 위해 역량이나 성격에 대한 측정결과 사용하며, 공정한 처우
및 분배의 체계 세우기
→ 심리학자는 인간 생활의 모든 분야에 기여하고 있다.
2)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심리학
(마음, 심리, 정신, 영혼 등)
+ 학문
= 심리학
Psycho + logy = psychology
인간과 동물의 행동 및 그 행동에 관련된 생리적・심리적・사회적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개인의 심리적
과정뿐 아니라 신체기능을 제어하는 생리적 과정, 개인 간 관계와 사회적 과정까지 심리학의 연구대상이다.
▶ 심리학의 세 가지 얼굴
(1) 대학교에서 가르치는 중요한 학과목이라는 측면
(2) 연구 수행 및 행동 자료의 이해를 돕는 과학이라는 측면
(3) 인간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별한 기술, 지식 및 능력을 응용하는 전문직업이라는 측면
▶ 심리학의 존재 이유
인간이란 무엇인가? 심리학은 이 질문에 답변하려고 한다. (Boring, 1939).
심리행동
→ 설명
→ 예측 복지증진 + 진리 및 선의 추구
→ 통제
학문적 목적 궁극적 목적
2
2. 심리학의 역사
1) 데모크리토스(기원전 400여 년 전) : 인간의 행동을 몸과 마음의 관점에서 볼 수 있음을 제안. 우리의 행
동이 외적인 자극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을 볼 때, 과연 자유의지 또는 선택이라는 것이 존재하는가에 대
해 논의를 제기한 최초의 사람 (행동=몸+마음)
2) 소크라테스 : 우리의 감각이 현실을 정확히 반영치 못하므로 우리의 감각을 통해서는 자신에 대해서 신뢰
할 수 있는 지식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므로, 사람은 지각상의 오류를 많이 범한다고 주장. 따라서 소크라테
스는 자신을 알기 위해 합리적 사고나 내성법을 써야 한다고 제안함. (내성법-자신의 정신적 내용을 묘사하
는 객관적 접근법)
3) 아리스토텔레스 : 인간의 마음과 행동의 본질에 대한 심리학적 사고와 그 시대의 맥락에서 제공되는 관점
에 관한 [Peri Psyches] 작품 저술. 인간의 행동도 어떤 법칙에 따른다는 사례를 보이며, 주제(성격, 지각,
사고, 지능, 욕구, 동기, 느낌과 정서, 기억 등이 포함)별로 그 시대의 과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인간이
기본적으로 즐거움을 찾고 고통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동기가 부여된다고 하였는데, 현대의 심리역동이론 및
학습이론에서 수용되고 있는 견해.
4) 현대의 심리학
현대의 심리학이 하나의 실험과학 또는 실험실과학으로서 시작하게 된 출발점을 두 가지로 보는데, 대체로
분트의 견해를 지지한다.
- 페히너(1860년) : [정신물리학의 기초]라는 책을 저술
- 분트(1879년) : 독일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을 차림.
(1) 구조주의(18세기 말~19세기 초 / 유럽, 미국) “심리과정의 부분 요소가 무엇인가?”
- 마음의 구조, 즉 마음의 기본요소에 대한 연구로 분트와 그의 제자들이 주장.
- 마음도 자연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므로 과학적으로 연구될 수 있다고 보고, 의식의 내부를 들여다보는 것,
즉 내성을 하였다.
- 의식 경험의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객관적감각(시각・미각 등)과 주관적느낌(정서반응, 의지 및 정신 이미
지)으로 세분하였다.
- 마음이 경험적 요소를 창의적으로 결합하면서 기능한다고 봄.
- 스피어먼 : 지능 연구에 많은 기여, 티치너 : 미국으로 건너가 심리학 전파(구조주의 용어 탄생 배경, 분
트의 접근을 좀 더 내성법과 실험만을 심리학의 방법으로 간주)
(2) 기능주의 (유럽→미국) “정신과정과 외적인 행동의 목표(기능)는 무엇인가?”
- 의식 경험의 기본요소보다는 마음의 사용 또는 기능을 강조하는 학파
- 기능주의에서는 의식뿐 아니라 외적인 행동까지 다룬다.
- 영국의 박물학자 다윈의 영향을 받아, ‘적자생존’의 적응적 기능의 개념으로부터 영향을 받음. 기능주의
자들은 이를 인간의 행동에 적용시켜 ‘보다 적응적 행동유형이 학습되고 유지되며, 그렇지 못한 행동유형은
단절된다’는 것을 제안. 즉, 최적의 행동유형이 생존한다는 주장
- 제임스(미국 심리학 발전의 주요 인물) : 의식의 흐름이 유동적이고 지속적이며, 의식에 대해 내성을 해
본 결과 의식경험은 구조주의자들이 얘기하는 것처럼 기본요소로 쉽게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을 확신하여 기
능주의의 시작에 기여하기 시작.
- 듀이(미국의 철학자이자 교육학자) : 기능주의에서는 의식경험이 우리가 어떻게 환경에 잘 적응하도록 하
는가에 주의하였고, 내성을 보완하기 위해 실험실에서 행동을 관찰하는 방법도 사용.
3
(3) 행동주의(1900년대)
- 배고픈 쥐가 미로 속에서 꾸준한 보상으로 인해, 우회전하는 것을 학습하게 될 때, 기능주의의 내성 연구
에 의문을 가지게 됨(하등동물의 의식연구에 대해서는 연구할 수 없다).
- 왓슨 : 기능주의자들이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에 동의하였지만, 심리학에서 ‘학습’의 범주는 환경
의 자극에 대한 측정 가능한 반응을 중심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 ex) 러시아의 파블로프가 실시한 개 고전
적 조건화 실험.
- 스키너 : 행동주의에 강화라는 개념을 도입. 모든 생물은 강화를 받음으로써 특정 행동을 하도록 학습된다는 것.
(4) 형태주의(1920년대 / 독일)
- 지각된 내용을 하나의 전체로 통합하고 분리된 자극을 의미있는 유형으로 통합하고자 하는 경향을 강조
하는 학파 (베르트하이머, 코프카, 쾰러는 1930년대 나치의 위협을 피해 미국으로 이주하여 연구)
- 지각에 초점을 맞추고, 어떻게 지각이 사고 및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 행동주의자와는 달리
형태주의자들은 외적인 행동만 가지고는 인간의 본질을 이해할 수 없다고 봄. 또한 구조주의자들과 다른 점
은 인간의 지각, 정서 또는 사고과정을 기본요소의 입장에서만 설명할 수 없다는 것으로, 즉 지각은 부분의
합보다 큰 전체라는 것.
- 형태주의자들은 정보의 조각들이 그 맥락을 포함하여 어떻게 통합된 전체로 지각되는지를 보여줌. (맥락
의 중요성) (ex. 사람은 같아도 옷을 어떻게 입느냐에 따라서 멋있게 또는 추하게 지각될 수 있음을 의미.
나에게 달려오는 사람에 대해서, 운동장에서 달리기를 하고 있을 때와 새벽 5시에 골목길을 걷고 있을 때
지각되는 내용이 다름)
(5) 정신분석
- 인간행동 결정요소 중 무의식에서의 동기와 갈등의 중요성 강조
- 사람이란 마음 깊이 감추어진 충동에 의해 움직이며, 말의 실수나 꿈은 모두 자신의 무의식적 소망이나
원하는 바를 나타낸다는 것.
- 환자에 대한 임상적 면접을 통해서 사고, 정서 및 행동에 대한 이해를 하게 됨. 환자들이 스스로의 동기
에 대해 통찰을 하지 못하고 있음에 대해서, 의식이 아닌 무의식에 중점을 두게 됨.
- 인간 행동의 결정 : 의식적 사고보다는 무의식의 과정, 특히 원초적 성충동과 공격성이 큰 역할을 한다고 봄.
- 마음 : 무의식적인 면이 더 많고 갈등적 충동, 촉구 및 원망으로 가득찬 소용돌이. 충동 가운데, 사람들
은 이들을 만족시키고자 동기가 부여되기도 하고, 자신들을 고상한 사람으로 만들고 싶은 동기를 가지기도
하므로 사람들은 자신의 진정한 동기에 대해서 전혀 알 수 없게 되는 수가 있음. 이러한 행동의 밑바닥에는
성격에 기인한 기본적 역동성이 있으므로 프로이트 이론을 정신역학이라고도 부름.
◆ 정리하기
1.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1) 심리학자가 하는 일
심리학자는 인간 생활의 모든 분야에 기여하고 있다.
2)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인간과 동물의 행동 및 그 행동에 관련된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
2. 심리학의 역사
1) 데모크리토스(기원전 400여 년 전) : 인간의 행동을 몸과 마음의 관점에서 볼 수 있음을 제안.
2) 소크라테스 : 자신을 알기 위해 합리적 사고나 내성법을 써야 한다고 제안함.
3) 아리스토텔레스 : 인간의 행동도 어떤 법칙에 따른다는 사례를 보이며, 주제(성격, 지각, 사고, 지능, 욕
구, 동기, 느낌과 정서, 기억 등이 포함)별로 그 시대의 과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4
4) 현대의 심리학
(1) 기능주의는 기본요소 자체보다는 마음의 사용 및 기능에 관심
(2) 행동주의는 심리학이 자연과학처럼 되기 위해 측정 가능한 것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여야 한다고 주장
(3) 형태주의는 지각에 중점을 두었는데, 지각된 내용의 조각들이 하나의 형태로 통합됨을 강조
(4) 정신분석학파는 의식보다는 무의식에서의 동기와 갈등이 인간행동을 결정한다고 보았다.
title 2 오늘날 심리학의 5대 관점
1. 오늘날 심리학의 5대 관점
1) 생물학적 접근
- 정서, 정신장애, 기억, 사고 및 기타 심리현상을 연구할 때 생물학적 요소를 찾아서 연구
- 연구대상 : 두뇌에서의 사건과 정신과정 간의 연결을 찾아보고자 함. 여러 가지 생물학적 요인들이 그의
정신과정 및 담배 피우는 행동에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조사하게 됨.
- 자료수집 방법 : 뇌 사진을 찍을 때 사용하는 많은 기법- SCAN, PET, FMRI
ex) 줄담배를 피우는 행동을 이해하고자 그가 어떻게 니코틴에 중독되었는가를 연구
2) 인지적 접근
- 정신과정에 연구의 초점을 둠.
- 연구대상 : 마음이라고 부르는 것들(지각, 기억, 사고, 판단, 의사결정, 기타 정보처리 체계)을 연구. 인간
의 두뇌가 어떻게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를 처리하며, 특정 행동유형을 만들어 내는가를 연구.
ex) 줄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담배 피우는 데서 오는 위험을 크게 평가하지 않기 때문이거나, 중요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어떤 조직화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그럴 수 있음. 다라서 중독된 사람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보다 조직적이고 합리적으로 처리하도록 돕는 훈련이 필요할 수 있음.
(1)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의 어린이들 인지적 발달 연구 : 어린이와 성인이 세상을 얼마나 다르게 이해하고, 논리를 사용하
는가에 대한 것. 어린이는 발달과정 단계별로 발달의 과제를 완수해 가면서 지적인 성장을 한다는 것.
(2) 정보처리이론
- 연구대상 : 인간이 수행하는 정보처리를 컴퓨터에 비유해서 이해하고자 함.
- 인간의 정보처리 과정 연구 : 정보입력→저장→인출→문제 해결을 위한 처리→문제해결
3) 행동적 접근
- 일상생활의 모든 것을 이해하는 데 행동적 접근 시도
- 연구대상 : 어떤 사람이 무엇을 하는가를 이해하려면 학습의 역사, 상황적 영향, 그 과정에 포함된 보상
을 보면 된다고 하며, 개인의 의식 및 자발적 선택에 대해서는 도외시 함.
- 어떤 사람이 학습을 통해 ‘무엇을’ 알게 되었는가를 보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이(어떤 외적인 절차)
그를 조건화시켰는가를 보고자 함.
ex) 담배 피우기는 학습의 결과 : 어릴 적 존경하는 어른이 담배 피우는 것을 보거나 영화 속 멋진 주인공
의 담배 피우는 모습을 보고, 담배 피우기가 존경이나 멋있는 것으로 연결되도록 조건화되어 담배 피우는
것에 대한 호의적 태도가 학습됨.
5
4) 정신분석적 접근
- 비정상적 행동이나 문제행동은 과거에 갈등이 불만스럽게 해결되었거나 해결에 실패한 것을 나타냄.
ex) 담배 피우기 역시 무의식적 갈등의 상징 : 응석 부리는 어린이로 있고 싶은 바람과 독립적인 성인이 되
고 싶은 바람 사이의 갈등. 담배연기를 빨아들이는 것은 어린이가 젖병을 빠는 것을 상징할 수도 있음. 치
료방법으로는 담배 피우는 사람의 내적 갈등을 해소하여 담배를 끊을 수 있는 자신의 능력을 강화시켜 주
는 것.
- 프로이트 : 무의식적인 성적, 공격적 충동의 역할
- 호나이, 프롬, 에릭슨 : 개인의 의식적, 신중한 선택 및 자기지시에 더 큰 중점
5) 인본주의적 접근
- 연구대상 : 개인의 경험, 자기인식, 경험 및 선택을 통해 ‘우리 자신을 제작하게 된다’는 관.
- 로저스, 매슬로 : 우리에게 행동의 선택권이 있다. 우리가 자신의 개인적 정체성을 발견하고 인생의 의미
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자부심과 책임을 가지고 우리에게 주어진 자유를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 따라서 자신
의 느낌에 접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도록 도와주는 방법 연구.
- 모든 행동은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개인의 능력에 달려 있다고 보며, 이러한 선택
은 각 개인이 세상을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함.
ex) 담배를 피우는가 끊는가 하는 것은 담배가 우리에게 주는 이익이나 위험에 대한 지각에 달려 있다. 애
연가가 끊으려고 ‘결심’하지 않는 한, 다른 사람이 그걸 끊게 하려는 노력은 실패로 돌아갈 것이다.
2. 심리학의 여러 분야
1) 생물 및 생리 심리
- 인간의 심리와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를 연구하는 분야
- 대뇌의 기능, 신경계통, 내분비선 연구
- 순수 이론 계통에 종사, 인간의 생리적 자료를 요구하는 산업체와 연대한 프로젝트, 인간공학, 인공지능 등의 분야
ex) 파킨슨씨병과 뇌 문제와의 연관성, 스트레스와 화학물질 분비와의 관계 발견
2) 실험심리
- 하나의 독자적인 학문 분야라기보다는 실험을 중심으로 하는 심리학의 모든 분야에서 심리학 연구에 기
초적인 연구방법론을 제공해 주는 학문.
- 감각, 지각, 학습 및 사고에 대해서 연구
- 인간의 심리와 행동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최선의 연구방법 찾는 것
- 심리통계, 조사연구법 등의 심리학 분야와 더불어 방법론의 근간을 형성함으로써 심리학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학문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줌.
3) 인지심리
- 세상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처리하는지를 다루는 심리학 분야
- 사고, 언어, 기억, 문제해결, 추론, 앎, 판단 및 의사결정과 같은 고급 정신과정을 연구
- 인공지능, 신경망회로, 인간공학, 우주공학 등
4) 발달심리
- 사람들이 인생행로를 통해서 어떻게 성장하고 변화해 가는가에 대한 연구
- 전생애적 접근 방법을 통해 인간의 발달 및 변화를 설명하고 기술함.
- 아동학, 아동복지, 사회복지, 노인복지, 청소년학 등의 학문에 기초 이론을 제공.
ex) 유아기 발달과정에서부터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의 변화 등에 대한 연구
6
5) 성격심리
- 상황과 시간에 따른 인간행동의 일관성과 변화를 설명하고자 하는 분야
- 인간의 성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어떤 성격이 존재하며, 사람마다 성격은 어떻게 다른지와 같은지 개인차를 연구.
- 인간의 성격 특징이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 어떻게 작용하며, 인간의 성격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
떤 것인지에 관심을 가짐.
- 순수 기초 학문으로서, 임상심리학, 상담심리학, 사회심리학, 발달심리학, 심리검사 개발 등의 분야에 기
초 이론을 제공해 줌.
6) 건강심리 : 심리적 요인과 신체적 고통 및 질병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연구
ex) 장기적 스트레스가 신체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 건강 증진행동 고무시키는 방법 연구, 건
강에 해로운 행동 감소방법 개발
7) 임상심리
- 비정상적인 행동의 연구진단 및 치료에 종사하는 분야 (정신병리)
- 정서나 행동의 문제를 연구, 진단, 치료하는데 초점을 두고, 인간이 왜 부적응적인 심리 상태나 행동을
보이는지 그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치료에 활용
- 임상심리학자의 주된 활동 : 정신적 질병의 치료 및 예방, 일상생활에서의 위기에서 현실감의 상실과 같
은 심각한 증상에 이르기까지 문제를 치료하도록 훈련
ex) 심리검사 실시, 채점 및 검사 해석 등
8) 상담심리
- 비교적 가벼운 일반적인 부적응 문제(진로, 이성문제, 성문제, 고충처리, 성격문제, 대인관계 갈등, 가족
문제 등) 등을 다룸.
- 교육장, 사회, 경력 장면에서의 적응 문제에 중점을 두는 분야
ex) 대학 학생생활연구소에서 직업, 진로, 학교 공부, 학과목 성적, 일상생활의 어려움 등에 대한 적응상의
문제 상담, 일반인이나 산업체 직원 대상으로 개인 또는 집단 상담 실시
9) 교육심리
- 교육과정이 학생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ex) 학생들이 어떻게 배우는가 연구, 사람들을 교육시키기 위한 보다 나은 방식 설계
10) 학교심리
- 학교에서 교육자들이 아동들의 지적, 사회적, 정서적 발전을 고무하도록 도움
ex) 학습과 정신건강을 원활히 하는 환경을 만드는 데 개입, 특별한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아동을 위한 프로
그램 평가나 계획수립
11) 사회심리
- 인간의 심리와 행동이 사회적 환경의 영향 속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발달하고, 변화하는지를 연구하는 심
리학 분야.
- 사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사회적 환경으로부터 얼마나 영향을 받는가를 연구
- 실험적 연구 결과들을 사회 현실에 직접 적용하기 때문에 응용심리학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정치, 조사, 광고, 컨설팅, 사회연구, 커뮤니케이션, 홍보, 리더십 등
ex) 태도의 형성 및 변화, 사람 간의 매력, 편견, 집단역학, 폭력 및 공격성 등
7
12) 산업 및 조직심리
- 심리학적 지식을 산업 및 조직 현장에 적용해 조직의 효율성을 증진시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산업장
및 조직에 응용된 심리학
ex) 생산선과 근로자의 복지 향상 연구, 직무에 맞는 적절한 사람 선발 및 훈련에 대한 연구, 근로자의 직
무만족도 증가 방법 연구
13) 환경심리
- 심리적 과정과 환경 간의 관계에 대해서 연구
- 물리적 환경이 개인의 인생에 얼마나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14) 계량심리
- 양적인 연구의 전통을 강화시켜 온 중요한 연구 분야
① 수리심리 : 심리학의 모든 주제에 대해서 수리적 모형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분야
② 심리측정 : 행동을 어떻게 수량화하는가에 관심
- 심리측정은 내적 행동(지각, 사고, 동기, 느낌 등) + 외적 행동(글쓰기, 작업행동, 사교행동 등) = 숫자가
누적된 자료의 분석 및 해석에 대한 연구 분야
- 심리 측정은 ‘측정 및 평가’라는 확대된 명칭으로 심리학의 모든 다른 분야에 연구의 방법론을 제공하기도 함.
title 3 심리학의 연구방법론
▶ 과학적 방법의 네 단계
① 연구문제의 설정
② 가설 개발 : 가설은 연구를 통해서 검증될 어떤 특정 진술이다.
③ 가설 검증 : 관찰방법을 사용해서 경험자료 수집하고, 자료를 통해 가설을 검증
④ 가설에 대한 결론 : 가설 검증을 통해 결과에 따라 자신의 가설에 대한 결론 내린다.
1. 표본조사
- 설문지 사용하거나 면접을 통해 표본 집단에 대하여 연구
- 설문지 : 사람들이 행동, 태도, 신념, 의견 및 의도를 기술하도록 함
- 목적 : 결과의 전체 집단에 대해 일반화 하는 것
ex) 사회계층이 다르면 아이들에 대한 훈육방식이 다르다
- 설문지 작성 → 응답자 선정(신중하게 응답해 줄 사람)
- 장점 : 낮은 비용으로 많은 사람에 대한 연구 / 단점 : 응답자 대상의 비협조적 태도
2. 사례연구
- 특정 개인, 집단 또는 상황에서 발생한 현상에 대해 집중․심층 연구
- 그 현상이 아주 복잡하거나 비교적 희귀한 경우에는 사례연구가 아주 유용.
- 임상심리학에서 특히 오래된 전통 ex)프로이트의 신경증 환자 연구
- 신경심리학 ex) Dr.P의 두뇌 손상이 정신적 행동의 결손을 가져오는 행동
- 단점 : 일반화의 어려움, 사례들이 반드시 전체 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이 아님.
- 장점 : 특정한 사람에 대한 정보원, 새로운 처치,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검증의 장
8
3. 자연적 관찰
-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그 현상을 관찰하며 연구하는 방법
- 장점 : 다른 방법의 사용이 자료제공자의 분위기를 깨거나 오도하는 경우에 좋은 방법
ex) 로렌츠의 거위 각인 연구, 임상심리학자가 문제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이용, 산업 및 조
직 또는 공학심리학자들도 변화를 제안하기 전 집단이나 장비가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관찰
4. 실험
- 인과관계에 관한 질문에 응답하기 위해서 가장 선호되는 연구방법
- 실험에서 참여자들은 처치를 받고, 그 처치가 과연 행동의 변화를 일으키는지 관찰
1)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실험] 알코올이 공격성을 유발하는가
- 독립변수 : 알코올, 실험자에 의해서 조작되고 그 효과가 어떤지 알아볼 수 있게 됨.
- 종속변수 : 공격적 행동, 독립변수에 따름.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 이상적인 실험에서 사용
- 실험집단 : 피험자들은 처치를 받고,
- 통제집단 : 피험자들은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는다.
- 각 집단에 대해서 모든 여타의 조건은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하여, 단지 처치의 차이만 나타나도록 함.
- 양적 방법(표본조사, 실험), 질적 방법(사례연구, 자연적 관찰)
◆ 정리하기
▶ 과학적 방법의 네 단계
연구문제의 설정 → 가설 개발 → 가설 검증 → 가설에 대한 결론
1. 표본조사
- 설문지 사용하거나 면접을 통해 표본 집단에 대하여 연구
2. 사례연구
- 특정 개인, 집단 또는 상황에서 발생한 현상에 대해 집중․심층 연구
- 그 현상이 아주 복잡하거나 비교적 희귀한 경우에는 사례연구가 아주 유용.
3. 자연적 관찰
-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그 현상을 관찰하며 연구하는 방법
4. 실험
- 인과관계에 관한 질문에 응답하기 위해서 가장 선호되는 연구방법
- 실험에서 참여자들은 처치를 받고, 그 처치가 과연 행동의 변화를 일으키는지 관찰
1)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 양적 방법(표본조사, 실험)과 질적 방법(사례연구, 자연적 관찰)
9
Chapter 2. 신경과학과 행동
title 1. 신경계
▶ 신경계의 정보전달
모든 심리적 현상은 생물학적인 것이며, 우리의 생각이나 감정, 충동 등이 모두 생물학적인 사건이다. 20세
기에 들어 신체를 구성하는 세포 중에는 전기적 신호를 보내고, 화학적 메시지를 전해 다른 세포와 의사소통
을 하는 신경세포들의 존재를 알게 됨.
- 운동 : 우리가 생각하고, 기억하고, 감정을 느낄 수 있는 것은 그런 정보가 신경세포인 ‘뉴런’이라는 특수
한 세포를 통해 처리되기 때문이다.
- 신경계가 어떻게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뉴런과 신경충동, 그리고 뉴런이 뇌와
신체 간에 신경 신로를 어떻게 전달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1. 뉴런(Neuron) : 신경계의 기본 단위
- 신경세포체(cell body) : 다른 체세포들과 마찬가지로 세포의 생명 유지 역할을 하나, 뉴런의 세포체는 감
각수용기나 다른 뉴런들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들을 통합하고, 그러한 정보들을 처리하거나 전달하는데 필요한
화학물질을 생산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 수상돌기(dendrite) : 다른 뉴런들로부터 정보들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 축삭(또는 축색, axon) : 다른 뉴런에게 정보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 종말단추(terminal button) : 다른 뉴런에게 정보가 전달되는 곳(신경전달물질 소낭이 존재하는 곳임)
- 수초(myelin sheath) : 축삭 대부분을 덮고 있다. 수초는 절연물질로 되어 있고, 뉴런의 에너지 효율성과
정보전달 속도를 빠르게 해준다.
※ 다발성 경화증 : 축삭에서 수초가 없어져(염증성 질환임) 긴경계의 정보전달에 이상을 일으킨다. 이로
인해 운동 장애, 감각장애, 인지기능장애 등이 발생된다.
2. 신경 신호의 본질 : 전기적 현상
- 일반적으로 축삭 내부와 외부의 전압차는 -70mV이고 이러한 전위차를 ‘안정막전위(또는 안정전위)’ 라고 한다.
- 축삭 내부에 양(+)전하를 가해 주변 음수 값인 안정저위는 그 크기가 감소하며, 이를 감분극 이라고 한다.
- 반면 음(-)전하를 가해주면 축삭 내부는 더 큰 음수 값의 막전위를 가지게 되는데, 이를 과분극 이라고 한다.
- 감분극 자각을 ‘흥분역치’ 이상 증가시키면, 축삭 내부가 바깥쪽에 양 전기를 띠게 되고, 이때 ‘활동 전
위’가 발생한다. 이 활동전위가 바로 신경충동으로서 신경계에서 처리되는 신경신호의 본질이다.
10
실무율의 법칙 뉴런의 반응은 이 법칙을 따르는데 이는 자극의 강도가 - : , 막전위를 흥분역치 이상으로 감분극
시킬 수 있을 정도 이상이면 아무리 더 큰 자극을 주어도 신경충동의 크기는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 하나의 뉴런은 다른 수천개의 뉴런으로부터 수상돌기와 세포체를 통해 신호를 받게 됨.
- 자극 강도의 탐지 : ‘시간적 부호화’와 ‘공간적 부호화’를 사용함으로 인해 강도를 알 수 있게 된다.
・시간적 부호화 : 단위 시간당 하나의 뉴런에서 발생하는 신경충동의 빈도. 자극이 강할수록 신경 충동의
횟수가 증가한다.
・공간적 부호화 :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뉴런의 개수로서 자극이 강해질수록 반응하는 뉴런의 수가 증가한다.
3. 활동 전위의 전도
- 축색은 전선과 같이 전기적 신호를 양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 뉴런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는 세포막 안팎의 이온(나트륨, 칼륨 이온 등)이 이동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 랑비에 결절(node of Ranvier) : 유수축삭의 수초와 수초마디 사이에 수초가 없는 부분
- 무수축삭 : 수초가 없는 축삭 -> 도화선이 타들어 가는 듯 한 방식으로 전도.
- 유수축삭 : 수초가 있는 축삭 -> 도약전도, 수초를 넘어 다음 랑비에 결절로 도약.
※ 도약전도의 장점 : 활동전위 발생횟수를 줄일 수 있다,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전기저항이 작아진
다, 에너지 사용 효율성이 높다, 활동전위의 전도 속도가 매우 빠르다.
4. 시냅스 전달 : 개개의 뉴런이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어, 이들간의 정보전달 역할
- 뉴런과 뉴런의 연접공간을 말함. 즉 시냅스 전 요소인 축삭종말과 시냅스 후 요소인 다른 뉴런의 수상돌
기 또는 세포체의 일부 막을 합쳐 시냅스라고 한다.
- 활동전위가 축삭종말에 도달하면 ‘신경전달물질’이라는 화학물질 방출됨.
- 방출된 전달물질은 시냅스 후 뉴런에 있는 수용기와 결합(마치 열쇠와 자물쇠 같이)하여, 특정 이온이 세
포막 안팎으로 이동하게 됨.
- 그 결과 시냅스 후 막(시냅스 후 뉴런)에서는 감분극이나 과분극이 일어나게 된다.(이를 시냅스 후 전위라고 한다.)
- 이때 감분극이 되면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라 하고, 과분극이 되면 억제성 시냅스 후 전위라고 한다.
-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은 시냅스 후 막에 있는 분해효소가 분해해 버리거나 처음에 방출되었던 축삭종말로
다시 재흡수함으로써 종료됨.
◆ 정리하기
1. 뉴런(Neuron) : 신경계의 기본 단위
- 신경세포체 : 세포의 생명 유지 + 감각수용기나 다른 뉴런들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들을 통합하고, 그러
한 정보들을 처리하거나 전달하는데 필요한 화학물질 생산
- 수상돌기 : 다른 뉴런들로부터 정보들을 받아들이는 역할
- 축삭 : 다른 뉴런에게 정보를 보내는 역할
- 종말단추 : 다른 뉴런에게 정보가 전달되는 곳
- 수초 : 축삭을 덮고 있어 있고, 뉴런의 에너지 효율성과 정보전달 속도를 빠르게 함.
2. 신경 신호의 본질 : 전기적 현상
하나의 뉴런은 다른 수천개의 뉴런으로부터 수상돌기와 세포체를 통해 신호를 받게 됨.
3. 활동 전위의 전도
축색은 전선과 같이 전기적 신호를 양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4. 시냅스 전달 : 개개의 뉴런이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어, 이들 간의 정보전달 역할
11
title 2 뇌
1. 신경계의 진화
- 초기 원시적인 뇌 : 근접자극을 처리하는 부분(체감각과 냄새), 원거리 자극을 처리하는 부분(빛과 소리),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고 운동을 조정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었다.
- 인간의 뇌는 이들 세부분에서부터 훨씬 더 복잡하고 분화된 기관으로 진화.
- 신경계는 위계적으로 조직화되어 있어서 진화적 관점에서 볼 때 더 새롭고 정교한 부분들이 더 오래되고
원시적인 부분을 통제한다.
2. 신경계의 구분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뇌신경:12쌍, 척수신경31쌍)

-뇌신경을 통해 환경
자극을 받아들인다.
-우리가 감각이나 감
정을 느끼는 것은 감
각정보가 뇌의 여러
영역에서 처리과정을
거치게 된 결과이다.
-뇌는 감각정보의 통
합, 기억, 인출, 기대,
행동계획 수립 등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척수
- 체감각정보
를 뇌로 전
달, 뇌의 명
령을 받아 분
비선이나 근
육에 운동신
경을 보내는
역할을 한다.
- 반사행동
통제
체성
신경계
-감각기관에
서 정보를 받
아들이는 감
각신경+골격
근의 운동을
통제하는 운
동 신 경 으 로
구성
자율
신경계
-내장의 평
활근, 심장근
육, 분비선을
조절
교감
신경계
-우리가 유해자극이나 스트
레스를 받을 때 우리의 신체
를 방어해 주는 기능
-몸을 각성 시켜 위험에 대
처하게 해줌
부교감
신경계
-교감신경계와 반대
되는 기능을 담당한
다. 각성 상태를 이
완시키는 역할.
▶ 뇌와 행동
- 인간의 뇌는 우리의 가장 원시적인 충동에서부터 위대한 사고능력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모든 활동을 담
당하며 복잡 미묘한 신체의 모든 작동을 통제, 감독.
- 정보전달 과정 : 환경자극→감각기관→(척수)→뇌→(척수)→운동신경→근육/내분비선
- 뇌와 척수의 내부에는 뇌실 이라는 공간이 있으며, 그 속은 뇌척수액이라는 무색의 투명한 액체로 채워
져 있어 뇌와 척수는 액체 속에 떠 있는 상태 → 뇌와 척수를 보호.
12
뇌의 주요 구분
주요
부위
하위
부위
주요 구조물
전뇌
종뇌
대뇌피질 -전두엽, 후두엽, 두정엽, 측두엽으로 이루어짐
기저핵
-운동 통제 관여
-걷기와 같은 느리고 순차적인 운동이나 운동의 개시에 관여
변연계
-대상회, 해마, 중격, 편도체 등의 전뇌구조물들과 유두체, 시상의
일부 핵 등 간뇌 구조물을 포함하는 계통 구조
-정서반응 조절 학습, 기억, 동기 등의 기능에 관여
간뇌
시상 -후각을 제외한 모든 감각정보의 중계센터
시상하부
-자율신경계와 내분비계 통제
-종의 생존관련 행동 조직화
-다양한 정서자극에 대한 신체반응 조절
중뇌 중뇌
중뇌개
-상소구 : 시각반사, 움직이는 자극에 관여
-하소구 : 청각정보의 중계센터
중뇌피개
-싸움이나 교미와 같은 종 특유 행동의 순서를 통제
-유해자극에 대한 통증민감성 조절
․ 적핵과 흑질 : 골격근의 근 긴장도 조절, 운동조절에 관여, 흑질의
뉴런 변성시 파킨슨병 야기
․ 중뇌 망상체 : 수면과 각성, 주의, 근긴장도 등에 관여
후뇌
후뇌
소뇌
-자세유지
-빠르고 협응적인 운동 조절

-대뇌의 정보를 소뇌로 중계해 주는 역할을 함.
-교 망상체는 수면과 각성을 조절하는 핵들이 있음
수뇌 연수
-뇌의 가장 아래쪽 부분에 있는 것으로 척수와 연결
-체감각정보를 시상으로 중계하는 핵들이 존재함.
-나머지는 ‘망상체’를 형성
-연수 망상체는 골격근의 근 긴장도 조절, 심장박동과 호흡통제 등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함
- 대뇌피질은 뇌의 중앙을 따라 앞에서 뒤까지 깊게 패인 홈에 의해 독립된 두 개의 반구로 분리되며, 각
반구는 ‘뇌량’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13
대뇌피질 영역 기 능
전두엽
-기본적 운동을 담당하는 일차 운동 피질이 존재한다.
-신체 부위의 운동 지배 피질상의 위치를 그린 그림을 운동 뇌 지도라고 한다.
-전두엽은 상황판단, 행동계획, 행동억제 등을 관리한다.
-전두엽(특히 전전두엽)이 손상되면 성격변화가 온다.
두정엽
-일차 체감각피질과 연합피질로 구성되어 있다.
-일차 체감각피질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서 감각정보를 받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간 내에서 신체의 위치나 판단, 운동지각 등에도 관여한다.
-시공간적 정보를 담당한다.
측두엽
-일차청각피질과 연합피질로 구성되어 있다.
-일차청각 피질은 내이에서 들어오는 청각정보를 받아 분석하고, 이 정보를 그
옆의 연합피질로 보낸다.
-측두엽의 뒷부분(후두엽과 만나는 부분)은 시각적 형태를 지각할 수 있게 한다.
-측두엽은 그 안쪽에 위치한 변연계와 광범위한 신경연결을 맺고 있어서 정서적
경험이나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후두엽
-망막에서 들어오는 시각정보를 받아 분석하는 일차시각피질과 시각정보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을 하는 시각연합피질로 구성되어 있다.
- 이 영역이 손상되면 안구가 정상이라도 시력을 상실하게 된다.
◆ 정리하기
▶ 뇌의 구조
1) 연수 : 생명유지와 관련된 기능
2) 교 : 대뇌와 소뇌를 연결시켜주는 기능
소뇌 : 자세 유지와 운동조절 기능
3) 중뇌개 : 시각반사와 청각정보의 중계 기능
중뇌피개 : 운동조절, 보상적 자극들의 강화 효과 매개하며, 일부는 정신질환과도 관련
4) 시상 : 감각정보들의 중계센터
시상하부 : 신체의 내적 균형을 유지하고 종 특유의 행동 통제
14
대뇌피질 두 개의 독립된 반구로 5) : 나뉘어 있으며, 뇌량에 의해 연결 되어 있음. (두정엽: 체감각, 측두
엽: 청각, 후두엽: 시각정보를 처리하고 이들 정보를 통합 / 전두엽: 뇌 뒷부분에서 처리된 정보를 받아 적
절한 행동계획 수립 및 관리, 구체적 운동 집행)
기저핵 : 운동조절에 관여
변연계 : 정서행동과 학습 및 기억에 관여
title 3 행동에 대한 화학적 조절
▶ 뇌와 행동에 대한 화학적 조절
1. 두 개의 뇌
- 뇌는 가운데 큰 고랑을 중심으로 좌반구, 우반구로 나눌 수 있고, 이 둘은 서로 뇌량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 일반적으로 좌반구가 손상되면 읽기, 쓰기, 말하기, 수학적 추리 및 이해 등에 결함이 나타나지만, 우반구
가 유사한 형태의 손상이 일어나면 비언어적인 과제를 수행하는데 결함이 나타난다.
- 이러한 모습은 각 반구들이 서로 다른 정보들을 처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 분리 뇌
- 스페리(Sperry, 1966)와 가자니가(Gazzaniga, 1970)는 분리 뇌(Split-brain)환자들을 대상으로 좌우반구
의 기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분리 뇌 : 어떠한 이유로 뇌향을 절단하여 좌반구와 우반구가 분리된 경우).
- 인간의 시각경로는 한족 시야의 정보를 반대쪽 반구로만 전달하기 때문에, 왼쪽시야의 정보는 우반구로,
오른쪽 시야의 정보는 좌반구로 전달된다.
- 일반적으로 정상인의 경우 각 반구의 정보는 다시 뇌향을 통해 반대쪽 반구로 보내지나, 분리 뇌 환자의
경우 이러한 것이 어렵다.
- [분리 뇌 실험] 분리 뇌 환자에게 시야의 한 점을 응시하도록 하고, 응시점의 오른쪽과 왼쪽에 서로 다른
정보를 순간적으로 제시 → 시야의 좌우에 있는 각 정보는 어느 한쪽 반구에만 전달 ex)왼쪽 시야에는 열쇠,
오른쪽 시야에는 반지 그림을 순간적으로 제시 → 환자에게 무엇을 보았는가를 이야기 하거나 스크린 뒤에
숨겨진, 방금 본 그 물건을 잡게 함. → 이 때 환자는 반지를 보았다고 이야기를 하지만 실제 왼손으로 선택
을 할 때에는 열쇠를 잡게 됨 → 열쇠를 좌측 시야에만 순간적으로 비추어 주고 우측 시야에는 아무런 자극
도 주지 않으면, 환자는 그들이 본 것을 이야기 하지 못함 → 하지만 왼손으로 스크린 뒤에 숨겨진 물건들
속에서 본 것을 찾으라고 하면 그는 즉시 열쇠를 선택하게 됨.
15
즉 오른쪽 반구는 자신이 본 것을 말로 - 표현할 수 없지만, 무엇을 보았는지는 알고 있다는 것이다.
2) 대뇌반구의 기능적 전문화
반구 기능 전문화
좌뇌
- 언어처리에 지배적
- 브로카 영역 : 구어나 수화 모두에 관여, 손상 시 적절한 발음으로 말하지 못함, 언어 유창성 손상
- 언어를 빠르게 문자 형태로 해석
- 문법적 요소 관여
우뇌
- 시-공간정보 처리 우세
- 미묘한 추론을 하는데 뛰어남
-말의 의미가 분명하도록 만들어 주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
-뉘앙스 처리(의미적 요소 관여)
-평범한 말에 색깔을 입혀 주며, 기쁨, 슬픔, 정열, 실망 등을 표현하게 해줌
- 정서 반응에 더 민감
2. 행동에 대한 화학적 조절
- 우리 몸은 다양한 신경전달물질, 신경조절물질, 호르몬, 페로몬과 같은 다양한 화학물질을 합성, 분해한다.
- 신경전달물질 : 시냅스에서의 정보전달에 관여
- 신경조절물질 : 시냅스 보다 더 멀리, 더 넓게 처져 나가 특정 뇌 부위에 있는 많은 뉴런의 활동 조절
- 호르몬 : 내분비선이라는 특수한 기관의 분비세포에서 생산, 방출되어 혈액을 통해 신체 각 부위로 퍼져
나가 수용기가 있는 표적 세포에 작용, 신체의 생리적, 행동적 기능에 영향 미침
- 페로몬 : 땀이나 소변과 같이 신체 외부로 방출되는 분비물, 다른 개체의 후각 수용기를 자극하며, 그 결
과 다른 동물의 생리적 과정이나 행동에 영향을 줌.
1) 신경전달물질
- 신경충동이 축색 종말에 도달하면, 종말 단추에서 신경전달물질이 방출되고, 이 전달물질은 시냅스 후 세
포의 막에 있는 특정 수용기와 결합하여 막전위의 변화를 가져오게 한다.
(1) 아세틸콜린 : 운동신경과 골격근 사이의 시냅스, 자율신경계 신경절, 부교감신경과 표적기관 사이의 시
냅스 등 말초신경계 뿐만 아니라 뇌의 여러 영역에서 사용된다.
- 말초신경계에서는 골격근과 내장근육의 운동 조절을 한다.
- 뇌에서는 학습과 기억과정, 수면 동안 꿈을 꾸는 단계를 통제하는 작용을 한다.
- 알쯔하이머성 치매 : 해마와 대뇌피질로 투사되는 아세틸콜린성 뉴런이 변성된다.
(2) 모노아민 :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세로토닌을 통칭
- 도파민 : 시상하부와 중뇌에서 많이 사용, 운동조절, 즐거움, 쾌락, 환각, 사고장애 등과 관련이 있다(도
파만이 증가하게 되면 지각 및 사고장애가 나타나고, 지나치게 부족하면 파킨슨 증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16
노르에피네프린 말초 및 중추 신경계 - : 모두에서 발견된다. 경계나 각성, 수면, 기분상태 등을 조절하는
데 관여한다. 노르에피네프린이 부족할 경우 우울상태가 나타나며, 심하면 정서장애(우울증)이 발생된다.
- 세로토닌 : 수면과 기분조절에 관여한다. 고갈시 불면증이 나타난다.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성 회로
의 활동을 증가시키는 약물은 우울증 치료에 도움이 된다.
(3) 아미노산
- 글루타민산 : 흥분성 전달물질로 발달과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감마아미노낙산(GABA) : 대표적인 억제성 전달물질로, 운동조절이나 불안, 발작등과 관련이 있다. ‘헌팅
턴 무도병’은 기저핵에 있는 GABA성 뉴런의 변성에 기인한다.
(4) 펩타이드
- 엔돌핀(내인성 아편제 물질) : 스트레스 상황에서 통증을 감소시키고 대응 행동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
다. 마라톤과 같은 극한의 고통을 동반하는 운동을 하면 엔돌핀이 방출되고, 그 결과 뛰면서 통증이 감소
하고 쾌락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2) 내분비계 : 신경계 이외에 우리 신체에 있는 두 번째 정보전달 시스템, 신경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 내분비계의 분비세포는 호르몬이라는 화학물질을 분비한다.
- 내분비계의 정보전달 속도는 신경계의 정보전달 속도보다 느리다.
- 가정 영향력이 강한 내분비선은 뇌하수체이다. 뇌하수체는 뇌의 시상하부 바로 아래에 붙어 있고, 시상하
부에 의해 통제를 받는다.
[주요 내분비계]
위 치 기 능
뇌하수체
- 성장조절
- 갑상선, 자궁이나 고환, 취장, 부신피질 통제 수분과 염분대사 조절
시상하부 - 뇌하수체 통제
갑상선 - 대사속도 조절
부신수질 - 신체 행동을 증진시킴
부신피질 - 탄수화물과 염분대사 조절
췌장 - 인슐린과 글루카콘 수준 통제 당대사 조절
고환(남성) - 신체 발달, 생식기관, 성행동에 영향을 미침
난소(여성) - 신체 발달, 생식기관, 성행동에 영향을 미침
17
◆ 정리하기
1. 두 개의 뇌
1) 분리 뇌
일반적으로 정상인의 경우 각 반구의 정보는 다시 뇌향을 통해 반대쪽 반구로 보내지나, 분리 뇌 환자의
경우 이러한 것이 어렵다.
2) 대뇌반구의 기능적 전문화
좌반구는 주로 언어적․분석적 기능, 우반구는 공간적․직관적 기능이 우세하다.
2. 행동에 대한 화학적 조절
1) 신경전달물질
(1) 아세틸콜린 : 운동통제와 기억과정에 관여
(2) 도파민 : 운동통제와 고등 인지활동에 관여하여, 이상 생기면 파킨슨병이나 정신분열증 유발 가능
(3)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 : 수면과 각성, 기분 조절
(4) 글루타민산 : 대표적인 흥분성 전달물질
(5) GABA : 억제성 전달물질, 억제적 작용이 저하되면 불안이나 간질발작이 유발
(6) 엔도르핀 : 통각경로에 영향을 미쳐 통증을 제거해 주고 즐거움을 느끼게 해 준다.
2) 내분비계 : 여러 분비선에서 호르몬을 분비하여 기본적 신체기능을 조절. 내분비계의 중추는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18
Chapter 3. 수면과 감각의 지각
title 1. 수면과 꿈
1. 수면
1) 각성
- 각성체계가 뇌를 각성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이 체계는 뇌피질을 흥분시켜 들어오는 정보에 충분하게 반
응하도록 함.
- 피질에서 하위 각성 체계로 하행한 다음 다시 피질로 상행하여 활성화하며, 수면과 각성의 여러 현상들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 피질의 활동 : 피질하부의 각성체계의 활동을 촉발 → 이것은 피질을 활성화시키고 → 피질의 활성화는
다시 피질 하부체계를 흥분시킴.
- 동일한 회로가 각성을 낮출 수도 있으며, 피질이 사건들에 의해 자극받지 못하면, 각성수준은 낮아져서
높은 각성의 반대되는 상태인 수면에 빠져들게 됨.
2) 수면과 뇌활동
- 수면은 수면자 자신이 자각하지 못하는 조건이라 정의되므로, 내부로부터는 관찰될 수 없으므로, 외부로
부터 강제적으로 연구하여야 함.
- 뇌파(EGG) : 시간이 경과되는 동안 뇌에서 일어난 전압변동의 모습을 통해, 뇌활동을 관찰.
- 알파 : 깨어 있지만 휴식하고 있을 때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거의 모든 포유류에서 발견되는 것. “어떤
특정한 것도 생각하지 않는” 이완된 상태를 보이는 뇌파기록.
3) 수면의 단계 : 수면의 단계마다 수면의 깊이가 다르다.
(1) 1단계
- 수면에 바로 들어가기 직전, 알파파가 강화되는 경향.
- 막 졸립게 되면 알파파가 보일락 말락하는데, 파형이 무선적 모습을 띠면서, 주기가 점차 길어지게 되
며, 이때 사람들은 가벼운 수면에 빠져 있고, 쉽게 깨어날 수 있음.
(2) 2단계 : 조용한 수면
- 심장 박동과 호흡이 둔화되며 눈의 움직임은 멈춤. 깊은 수면을 위한 준비 단계
- 안구들은 천천히 움직이고, 협응하여 움직이지 않는다.
(3) 3~4단계 : 수면이 점차 깊어지는 단계로, EEG의 특징으로는 알파파가 완전히 사라지고 계속 더욱 높
은 전압과 더 낮은 주파수의 뇌파가 나타난다.
(4) REM수면 : 능동적 수면
- 뇌파는 대단히 느려지는데, 매 1초마다 단 한 번 정도의 주파수를 보이지만, 진폭은 알파파의 경우보다
5배나 더 커진다.
- 신체근육 활동은 보다 느슨하게 되고, 외적인 자극에 둔감해지나, 각성 수준은 경계하여 깨어 있는 상태
동안에 보여주는 각성수준 만큼이나 높을 수도 있음.
- 깨어 있는 사람이 보여주는 EEG와 극히 유사함. 깊은 꿈을 꾸는 단계.
- 급속 안구운동(REM : rapid eye movement) : 안구는 눈꺼풀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신속하고 조화롭게
움직이는데, 이것은 마치 수면자가 외부의 어떤 대상을 보고 있는 모습과 흡사.
19
하룻밤 전체의 수면 동안 수면자는 여러 차례 수면 (5) 깊이의 하강을 반복하며, 성인은 매일 밤 이런 수면
단계를 약 4차례 보인다.
2. 꿈
1) 꿈꾸기와 REM 수면
- 꿈에서의 일화는 실생활에서 있었던 만큼의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 같다. REM이 시작된 지 5분 후 깨운
실험참가자들은 REM이 시작된 지 15분 후에 깨운 실험참가자들에 비해 진술하는 꿈 내용이 더 짧음.
- REM수면 동안 깨웠을 때는 약 85%정도가 비교적 상세한 꿈 이야기를 함. REM수면이 끝난 후 5분이 지
난 후에는 꿈을 꾸었다고 보고하지 않음.
2) 꿈은 어떤 기능을 갖는가?
① 프로이드의 가설
- 꿈을 꾸는 동안에 다수의 원시적이고 금지된 충동들, 대개는 성과 공격성에 관한 충동들이 나타난다고 주장.
- 그러나 상당히 차폐되고 검열된 형태로 출현하기에, 꿈이 이상하고 의미가 없어 보이는 상태로 나타나게 됨.
② 활성화-종합 가설
- 꿈은 단순히 능동적 수면 동안에 뇌의 각성상태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주장. 이 시기 동안에 뇌피질은
활동적이고 활동성은 의식적 경험, 즉 꿈으로 나타난다.
- 그러나 피질은 활동적일 수 있으나, 감각적 입력은 차단되어 이런 상황에서 그 활동성은 외부적 현실의
요구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는다. 감각에 의해 제공되는 뚜렷한 즉각적 현실과 경쟁을 할 필요가 없으므
로, 기억상들은 각성시보다 더욱 현저하게 됨.
- 피질이 이런 원재료들을 연결하고 해석할 만큼 충분히 활동적이면 우리는 진행 중인 내부의 이야기를
경험하나, 지리멸렬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경우, 피질은 조잡한 체제화 이상을 제공할 만큼 활동적이지 않
은 것으로 볼 수 있음.
③ 능동적 수면 중 대뇌의 활동성이 감각적 현실에 의해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꿈의 내용은 꿈꾸는 사람의
개인성을 반영하기 쉬움.
◆ 정리하기
1. 수면
1) 각성
2) 수면과 뇌활동
20
- 수면은 외부로부터 강제적으로 연구하여야 함.
- 알파 : “어떤 특정한 것도 생각하지 않는” 이완된 상태를 보이는 뇌파기록.
3) 수면의 단계 : 수면의 단계마다 수면의 깊이가 다르다.
2. 꿈
1) 꿈꾸기와 REM 수면
- 꿈에서의 일화는 실생활에서 있었던 만큼의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 같다.
2) 꿈은 어떤 기능을 갖는가?
title 2 감각과정
- 감각 : 세상을 머릿속에 표상하기 위하여 환경으로부터 물리적인 에너지를 탐지하여 그것을 신경신호로 변환.
1. 감각의 필요성
- 유기체는 감각체계를 통하여 그들이 생존해 가는 데 필요한 정보를 획득.
- 사람도 주변환경에서 생존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정보를 탐지하도록 고안되어 있음.
2. 감각의 측정
- 다양한 지각체계의 활동은 상호 관계가 상당히 깊으며 중복적임.
ex) 어떤 사람이 이야기할 때 그 사람의 입술 움직임은 그 사람의 말소리와 연관.
1) 절대역 : 우리가 감지할 수 있는 미세한 자극
- 어떤 자극을 탐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자극강도
- 보통 50%를 탐지할 수 있는 자극의 강도를 절대역으로 규정함. ex) 한 소리를 100번 들려준다고 하면,
50번은 듣지 못하는 자극의 강도를 절대역으로 봄.
2) 신호탐지
- 절대역은 자극의 강도뿐만 아니라 우리의 경험, 동기, 기대, 피로 등의 심리적 상태에 따라서 변화됨.
ex) 신생아의 어머니는 다른 소리보다 요람에서 아기가 칭얼거리는 소리에 훨씬 민감.
3) 역하자극
- 절대역 이하의 영역으로 시행의 50% 이하에서 탐지되는 자극
4) 차이역
- 사람이 두 자극 간에 차이가 있음을 탐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자극 강도 차이로, 최소식별차이라고도 함.
- 차이역의 측정에서 절대역과 같이 두 자극 간의 차이를 인간이 탐지할 수 있는 확률이 50%인 지점을 차
이역이라 함.
- 베버의 법칙 : 베버에 의하면, 차이역은 강도차가 아니라 두 자극의 강도 비율에 따라 변화한다고 함.
ex) 300g에서 30g이 추가되면 인간은 대체로 그 차이를 탐지할 수 있지만 30kg에서 30g이 추가되면 차이
를 탐지하기 어렵다. 이는 300g의 차이역과 30kg의 차이역이 다르기 때문.
21
5) 감각순응
- 일정한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약해지는 현상.
- 일정한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우리의 신경세포는 발화속도가 늦어진다.
ex) 수영장에 가서 처음 물에 들어갈 땐 춥지만, 잠시 후 물이 차갑지 않게 느껴짐.
3. 시각
- 감각변환 : 우리의 감각체계가 자극 에너지를 신경정보로 변환시키는 과정
ex) 당신의 눈은 빛 에너지를 받아서 신경정보로 변환시킴으로 우리가 의식적으로 보는 것으로 처리됨.
1) 빛의 본질
- 우리의 눈에 들어오는 것은 색채가 아니라 우리의 시각체계가 색채로 경험할 수 있는 전자기 에너지의
파형. 가시광선은 전자기 스펙트럼의 극히 작은 부분에 불과한데, 사람이 아닌 다른 종은 스펙트럼에서 다
른 부분의 파장에 민감. ex) 꿀벌은 자외선을 볼 수 있음.
- 파의 길이인 빛의 파장은 색채를 결정하며, 파의 크기 또는 높이에 의해서 결정되는 진폭은 밝기를 결정.
2) 눈의 구조와 기능
- 빛은 동공을 통하여 눈으로 들어옴 → 홍채가 빛의 양 조절 → 홍채 뒤 수정체는 조절이라는 작용을 통
해 두께를 변화시켜 빛을 작은 점으로 수렴 → 망막 : 빛의 초점이 모아지는 빛에 민감한 표면으로, 안구의
뒤쪽 전면에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음.
(1) 눈의 구조
- 안구를 통과한 영상은 상하좌우가 반전되어 맺힘.
- 수백만 개의 감각세포는 빛 에너지를 신경충동으로 전환시켜, 이러한 충격은 대뇌로 전달되어 거기에서
우리가 지각하는 똑바로 된 영상으로 생성됨.
(2) 망막
- 간상체와 추상체라는 두 종류의 감각세포 존재
- 간상체나 추상체에 빛이 떨어지면 화학적 변화가 발생 → 주변의 양극세포를 흥분시키는 신경신호가 생
성 → 양극세포는 다시 신경절세포를 흥분시킴 → 신경절세포에서 나오는 축색들은 대뇌로 정보를 전달하
는 시신경을 이루어, 시각피질로 정보를 전달
22
간상체 밀도가 낮고 전용 회선이 없기 때문에 - : 세밀하게 볼 수 없고 색을 탐지하지 못하지만 조명이
어두워지면 희미한 불빛 아래서도 민감. 몇 개의 간상체가 약한 빛의 희미한 에너지를 모아서 단일 양극
세포에 전달하기 때문.
- 추상체 : 색을 볼 수 있음. 자신의 정보를 시각피질로 전달하기 위한 전용 양극세포들이 할당되어 있어,
세밀한 것을 탐지할 수 있음.
3) 시각정보의 처리
- 대부분의 정보처리는 뇌에서 이루어지며, 망막의 부분들은 자신의 정보를 뇌의 뒤쪽에 있는 시각피질인
후두엽의 대응위치로 보낸다.
(1) 특징 탐지
- 하나의 신경절세포는 자신의 시각장에 정보가 주어지면 그 신호를 시각피질로 전달 → 받은 정보를 특
정한 모서리, 선분 그리고 각도와 같은 장면의 일정한 특징에 반응함.
- 특징 탐지기 세포들은 더 복잡한 패턴에만 반응하는 세포들에 전달하여, 지각과정이 단순한 과제를 수
행하는 많은 신경의 상호작용에서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음.
(2) 병렬처리
- 인간의 뇌는 시각장면을 색, 깊이, 운동, 형태 등의 하위 차원으로 분할하여 각 차원을 동시에 처리함.
- 망막은 시각피질의 한 부분에만 정보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여러 부위로 정보를 보내어, 시각
정보가 통합되면 다른 대뇌피질인 측두엽에서 추가로 처리하여 영상을 인식.
- 한 감각을 자극하면 몇 분의 1초 내에 수백만 개의 신경들이 동시에 조화를 이루어 필수적인 특징을 추
축하고, 과거의 경험과 비교하여 자극을 확인.
4) 색채시각
- Young-Helmholtz의 삼원색설(trichromatic theory) : 어떤 색이든 세 가지 색(빨강, 녹색, 파랑)에 해당하
는 빛의 파장을 조합하면 만들 수 있다는 이론
- Hering의 대립과정설(opponent process theory) : 삼원색설로 설명하기 어려운 지각 현상(가령, 잔상
(afterimage))을 설명하기 위해 대두된 이론으로, 빨-녹, 노-파, 흰-검에 의해 생기는 대립적 반응에 의해
색채시각이 일어난다는 이론.
* 색채항등성(color constancy) : 색채경험은 주변의 맥락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
- 조명이 변화되어도 맥락이 변하지 않으면 그 색은 대체로 일정하게 보이나, 맥락이 변화되면 지각된 색
은 다르게 보임
23
4. 청각
1) 소리의 본질
- 소리파 : 파형의 강도나 크기(진폭)로 소리의 크기를 결정, 소리파의 주파수는 음의 고저를 나타냄. 우리
귀에 주파수가 높으면 고음으로, 낮으면 저음으로 들리는 것임.
2) 귀의 구조와 기능
- 듣기 위해서 소리 파형을 신경활동으로 전화시켜야 함.
- 소리의 이동경로 : 귓바퀴 → 귓구멍 → 고막 → 중이의 3청소골(추골, 침골, 등골) → 내이의 달팽이관
→ 달팽이관의 내에 있는 액체의 움직임이 유모세포를 움직이게 하여 → 신경에 충격을 일으켜, 청신경을 이룸
- 공기의 진동으로부터 액체 파형을 일으켜 신경충동이 대뇌에 이르면 소리를 듣게 됨.
(1) 음의 고저지각
- 장소이론(place theory) : 신경신호를 보내는 기저막의 위치가 음의 고저를 결정, 고음 지각을 잘 설명
해주나 저음지각은 잘 설명할 수 없다.
- 주파수이론(frequency theory) 혹은 빈도이론 : 신경충동의 주파수(빈도)가 음의 고저를 결정. 저음 지
각을 잘 설명해줌.
(2) 소리의 위치 확인
- 두 눈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깊이를 지각할 수 있는 것처럼 두 귀의 위치가 다르므로 소리를 스테레
오로 들을 수 있음.
- 그러나 동일한 거리에서 들리는 소리의 위치는 두 귀에 동시에 도달하므로, 소리의 위치를 알고자 머리
를 움직여 쉽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3) 청각장애
- 전도성 청각장애 : 소리 파형을 달팽이관으로 전달하는 기계적 체계에 문제가 생김.
- 소리를 전달하는 귀의 능력 감소하는 경우 : 고막에 구멍이 나거나 중이의 뼈가 진동하는 기능을 상실하
면 소리를 전달하는 귀의 능력이 감소되어 보청기를 통해 소리의 진동을 증폭시킴.
- 신경성 청각장애 : 달팽기관의 유모세포 수용기나 그와 연결된 신경이 손상됨.
- 일단 손상이 되고 나면 죽은 조직을 살려 낼 수는 없음.
24
◆ 정리하기
1. 감각의 필요성 : 유기체는 감각체계를 통하여 그들이 생존해 가는 데 필요한 정보를 획득.
2. 감각의 측정 : 다양한 지각체계의 활동은 상호 관계가 상당히 깊으며 중복적.
3. 시각 : 감각변환 - 우리의 감각체계가 자극 에너지를 신경정보로 변환시키는 과정
4. 청각
1) 소리의 본질 : 소리파
2) 귀의 구조와 기능 : 듣기 위해서 소리 파형을 신경활동으로 전화시켜야 함.
- 소리의 이동경로 : 귓바퀴 → 귓구멍 → 고막 → 중이의 3청소골 → 달팽이관 → 달팽이관의 내 유모세
포 → 청신경
3) 청각장애
- 전도성 청각장애, 신경성 청각장애
title 3 지각과정
- 지각 : 감각을 선택하고, 조직화하고, 해석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지각이라 함.
1. 선택적 주의
-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모든 것 중에서 한 순간에 의식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
한다.
ex) 글을 읽는 동안 주변의 새소리를 의식하지 못하다가 의식적으로 새소리에 주의를 돌려야 그제야 의식할
수 있음, 칵테일파티 효과
ex) 검색 사이트의 동영상 검색에서 ‘보이지 않는 고릴라’를 검색하신 후, 동영상을 보세요.
2. 지각적 착각
[뮐러-라이어 착시]
중앙에 있는 빨간색 동그라미는 앞 모서리나 뒤 모서리고 보일 것이다.
그러나 선택적 주의로 인하여 당신은 두 가지 상태를 동시에 경험할 수
없다.
25
실험 대학의 잔디에 흰 원판들을 세워 놓고 [ ] 거리를 판단하게 한 실험에서, 아침에 안개가 낀 상태에서 거
리를 판단하는 경우가 정오의 햇살 아래서 판단하는 것보다 더 먼 것으로 판단됨.
3. 지각적 조직화
- 감각자극을 의미 있는 지각체로 변환시키기 위해서 우리는 그것들을 조직화해야 함.
- 게슈탈트 : 독일어로 형태나 전체를 의미하는데,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이다”라고 함.
- 지각은 단순히 모인 것 이상의 어떤 것이 있다고 여김. 우리는 감각정보를 여과하고 우리에게 의미 있는
방향으로 지각적 추론을 함.
1) 형태지각
(1) 전경과 배경
-지각에서 배경이라고 하는 주변으로부터 전경이라고 하는 대상을 분리해서 보는 것인데, 아래의 그림은
전경-배경이 연속적으로 반전된다.
(2) 지각집단화
- 전경과 배경을 분리하고 나면 전경을 의미 있는 형태로 조직화하여야 한다.
- 이러한 기본적 감각에 순서나 형태를 부여하기 위해서 자극을 집단화하는 어떤 규칙을 따른다.
① 근접성 : 가까이 있는 것들을 함께 집단화함.
② 유사성 : 생김새가 유사하면 유사한 것들끼리 집단화 함.
③ 연속성 : 불연속적인 것보다는 부드럽게 연속된 패턴을 지각함.
④ 폐쇄성 : 그림에 틈이 있으면 빈 곳을 채워서 완전한 전체적 대상으로 지각
⑤ 연결성 : 동일한 것이 연결되어 있으면 점과 선과 그 영역을 하나의 단위로 지각
26
깊이지각 2) : 2차원적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대상을 지각하는 것.
(1) 양안단서 : 깊이지각의 단서 중 두 눈이 있음으로 가능한 것
- 양안부등(binocular disparity) : 두 눈에 맺혀진 약간 다른 영상을 비교함으로 얻는 단서, 대상의 상대적
인 거리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 ex) 자신의 코앞에 손가락을 가져다 놓고 보면, 가까이 볼 때와 멀어
짐에 따라서 두 망막상의 차이가 다름.
- 시선수렴(convergence) : 가까운 대상을 볼 때 눈동자가 코 쪽으로 돌아가는 신경근육단서.
(2) 단안단서 : 깊이지각의 단서 중 각 눈이 따로 작용하는 것
ex) 한 쪽 눈을 감으면 손에 잡은 연필의 끝을 정확히 만지기가 어려움.
① 상대적 크기 : 두 물체의 크기가 비슷하다고 가정할 때 망막에 맺혀진 영상의 크기가 작을수록 멀리 있
는 것으로 판단
② 중첩 : 한 물체가 작은 것을 부분적으로 가리고 있으면 가려진 것이 더 멀리 있는 것으로 지각
③ 상대적 명확성 : 윤곽이 뚜렷한 물체보다는 윤곽이 흐린 것이 더 멀리 있는 것으로 지각
④ 결의 밀도변화 : 엉성하고 구별되는 결의 밀도가 점진적으로 작고 구별 안 되는 결의 밀도로 변화되면
거리가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
⑤ 상대적인 높이 : 시야에서 위쪽에 있는 대상을 더 멀리 있는 것으로 지각
⑥ 상대적인 운동 : 이동할 때 고정된 물체도 상대적인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지각
⑦ 선형조망 : 기차선로와 같은 평행한 선들은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한 점으로 수렴
[거리지각의 단안단서들]
3) 운동지각
- 스트로보스코픽 운동(strovoscopic movement) : 약간 다른 영상들을 연속적으로 보여주면 대뇌가 그것
을 움직임으로 지각하는 현상
- 파이 현상(phi phenomenon) : 근접한 두 개의 자극이 연속적으로 제시될 때 움직임으로 지각하는 현상.
4) 지각항등성 : 대상 자극(대상의 크기, 형태, 밝기, 색채)이 변화해도 대상을 일관성 있게 지각하는 것으로
보는 각도, 거리, 조명과는 상관없이 대상을 알아볼 수 있음.
27
(1) 모양항등성과 크기항등성
① 모양항등성(shape constancy) : 망막의 영상이 변화되어도 친숙한 대상이 일정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지각
② 크기항등성(size constancy) : 대상까지의 거리가 변화되어도 그 대상이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지각
ex) 멀리 있는 자동차가 장난감이라고 착각하지 않는 이유는 지각항등성 때문.
(2) 크기와 거리의 관계
- 대상의 거리와 망막영상의 크기가 지각되면, 우리는 즉각적이고 무의식적으로 대상의 크기를 추론
- 거리단서를 이용하여 크기를 지각할 때, 대상과 친숙하지 않거나 거리단서들이 잘못되어 있으면 착각이
발생하고, 보통 하듯이 거리단서를 정확하게 해석하면 대상의 크기를 정확하게 지각.
[지각된 크기와 거리의 관계]
(3) 밝기항등성 : 조명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대상의 밝기를 일정하게 지각하는 것
- 뇌는 대상 주변과 비교하여 밝기와 색을 계산하여, 지각된 밝기는 상황맥락에 따라 변화됨.
[밝기 대비]
4. 자극의 해석
1) 감각 박탈과 시각 회복
- 결정적 시기 : 동물 대상 감각 발탈 실험(Wiesel, 1982)
-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경험을 통해서 뇌가 정상적으로 발달해야 함.
- 생후 초기 정상적 시각경험의 중요성.
2) 지각순응
[실험] 좌우가 바뀌고 위아래가 거꾸로 보이는 안경 착용시, 8일 정도 지나면 적응하고 안경 제거 후에도
다시 신속하게 재적응.
28
3) 지각적 갖춤새
- 경험, 가정 그리고 기대를 통해서 지각적 갖춤새를 형성한다.
- 지각적 갖춤새는 경험을 통해서 개념 또는 도식을 형성하게 되는데, 친숙하지 않은 정보를 조직화하고
해석하는 데 도움을 준다.
- 맥락효과 : 똑같은 모양이지만 맥락에 따라 달리 읽혀짐.
[맥락 효과]
◆ 정리하기
1. 선택적 주의 :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모든 것 중에서 한 순간에 의식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제한되어 있
다는 것
2. 지각적 착각 : ex) 뮐러-라이어 착시
3. 지각적 조직화 : 감각자극을 의미 있는 지각체로 변환시키기 위해서 우리는 그것들을 조직화해야 함.
4. 자극의 해석
1) 감각 박탈과 시각 회복 : 결정적 시기의 중요성
2) 지각순응
3) 지각적 갖춤새 : 경험, 가정 그리고 기대를 통해서 지각적 갖춤새를 형성한다.
29
Chapter 4. 학습심리학
title 1. 고전적 조건화
1. 학습과 연화
▶ 변화가 많고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적응기제가 필요함
① 유전적으로 이어받은 종 특유의 행동양식
② 학습된 행동양식
▶ 학습 : 과거 경험의 결과로 생긴 비교적 영속적인 변화
① 경험 :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경험
② 변화 : 행동, 태도, 기억, 생리적 활동, 관점 등
▶ 연합 : 어떤 상황에서 경험하였던 자극 또는 사건 간의 관계성에 대해서 무언가를 학습한 것. 함께 일어
나는 사건들 사이에 연합이 형성되어, 학습된 관계성이 생기고, 뉴런간의 연결이 강화된다.
ex) 어둔 골목길을 걸어가고 있을 때 뒤에서 갑자기 발자국 소리가 들려올 때, 겁도 나고 심장박동이 빨라짐
▶ 연합의 세 가지 원리
① 근접성
② 빈도
③ 강한 감정 수반
▶ 파블로프 : 연합을 실험적으로 입증한 최초의 과학자
2. 파블로프의 실험
① 1단계 : 개의 입에 음식물을 넣어 주면 타액이 분비되고 종소리를 들려주면 타액 분비되지 않음 확인
- 타액분비는 선천적이고 자동적으로 유발되는 반사
- 종소리는 타액분비와 무관한 중성자극
- 정위반사(orienting reflex) : 종소리만 들릴 때 개는 침 대신, 귀를 쫑긋 세우고 소리가 들려오는 쪽으로
머리를 돌리는 행동
② 2단계 : 종소리를 들려준 직후 개의 입에 음식물 넣어주고 종소리와 음식물을 짧은 시간의 간격으로 함께
제시하는 짝지음을 여러 번 반복
③ 3단계 : 음식물 없이 종소리만 제시 → 개의 타액 분비. 즉, 정신반사(psychic reflex) : 종소리만으로 타
액분비 유발
30
[고전적 조건화]
1단계 : 조건화 전
종소리 (중성자극) → 정위반응
음식물 자극 (무조건자극)
(US : unconditioned stimulus)

타액분비(무조건반응)
(UR : unconditioned response)
2단계 : 조건화 도중
종소리+음식물 (짝지음) →
타액분비(무조건반응)
(UR : unconditioned response)
3단계 : 조건화 후
종소리(조건자극)
(CS : conditioned stimulus)

타액분비(조건반응)
(CR : conditioned response)
3. 고전적 조건화와 관련된 현상
1) 습득 : 새로운 조건반응이 형성 또는 확립되는 과정
- 자극 간 근접의 중요성(근접성) : 조건반응의 습득정도는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을 어느 정도의 시간 간
격으로 제시하는가에 따름. 두 자극 사이의 제시 간격이 짧을수록 조건반응은 더 잘 습득됨
- 시간 간 관계의 중요성(시간관계성) : 효과의 순(지연, 동시 또는 흔적, 역행)
① 동시조건화 : 조건자극과 무조건 자극을 함께 제시
② 지연조건화 : 조건자극을 먼저 주되, 조건 자극이 사라지기 전에 무조건 자극을 줌
③ 흔적조건화 : 조건 자극을 먼저 주고 무조건 자극을 줌
④ 역행조건화 : 무조건 자극을 먼저 제시 후 조건 자극을 다음에 줌
[4가지 자극제시방법]
2) 소거와 자발적 회복
[실험] 토끼에게 부저소리(cs)와 함께 안구에 공기분사(us)를 반복해서 제시한 후 부저소리만 들어도 토끼
는 눈꺼풀을 감는 반응을 함
① 소거
토끼의 눈에 공기분사 없이 계속해서 부저소리만 들려주면 소거된다. 즉, 무조건 자극 없이 조건자극만을
계속적으로 제시하면 이미 습득되었던 조건반응의 강도가 점차 약화되고 결국에는 완전히 사라진다.
- 소거도 일종의 학습과정 : 습득과는 달리, 조건자극에 뒤이어 아무런 결과도 수반되지 않음을 학습
- 소거와 망각 : 소거(조건자극 뒤이어 무조건 자극이 제시되지 않는 새로운 경험, 망각(오랫동안 반응을
수행할 기회를 갖지 못하는 것)
31
② 자발적 회복
[실험] 조건반응을 소거시킨 후 몇 시간 또는 며칠 후 조건자극을 다시 제시하면 토끼는 어떤 반응을 할까?
- 추가적 훈련 없이 어느 정도의 휴식 후에 소거되었던 반응이 다시 나타나는 현상
- 처음 습득되었던 최고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지속기간도 일시적
- 소거에 의해 학습된 반응이 무효화 또는 폐지되는 것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차단되는 것
[ 습득, 소거 그리고 자발적 회복을 나타내는 학습곡선 ]
3) 자극 일반화와 변별
① 자극 일반화
[실험] 왓슨 : 11개월 된 Albert라는 유아는 처음에는 흰 쥐를 무서워하지 않음→Albert에게 놀라움을 일
으키는 큰 소리와 짝 지어 흰색 쥐 제시→큰 소리에 공포반응→큰 소리와 흰 쥐와의 여러 번의 짝지음으
로 흰 쥐에도 공포반응→며칠 후 흰 쥐와 비슷한 털을 가진 토끼, 개, 산타클로스 마스크 등의 흰 자극에
대해서도 Albert는 공포반응을 일으킴
- 특정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것을 학습한 유기체는 원래의 자극과 유사한 새로운 자극에 대해서도 비슷
한 방식으로 반응한다.
ex) 파블로프의 개는 조건자극인 종소리가 아닌 부저소리에 대해서도 침 흘리는 것.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는 속담
② 자극변별
[실험] 500Hz의 부저소리에 눈꺼풀 반응 하도록 훈련받은 토끼는 유사한 자극인 600Hz의 부저소리가 제
시될 때도 자극일반화 때문에 원래의 자극에 대한 반응과 유사하게 반응할 것이다.
-> 그러나 실험조건을 변화시켜 500Hz의 소리는 공기분사와 짝을 지우고 600Hz의 소리는 무조건자극 없
이 제시하는 훈련을 시키면 이렇게 훈련받은 토끼는 500Hz의 부저소리에 대해서는 눈꺼풀 반응을 하지만,
600Hz의 소리가 제시되는 경우에는 눈꺼풀과 반응을 보여주지 않음
- 유사한 두 자극의 차이를 식별하여 각각의 자극에 대해 서로 다르게 반응하는 현상
- 새로운 자극과 원래의 조건자극 사이에 유사성이 적을수록 변별 잘 이루어짐.
4) 고차조건화
[실험] 종소리와 음식 짝지어 개의 타액 분비만 조건화함 → 종소리가 조건자극 역할하면 이 종소리를 다
른 자극인 불빛과 반복해서 짝지어 제시 → 종소리 없이 불빛만 제시했을 때 타액이 분비됨
- 고전적 조건화가 반드시 자연적인 무조건자극이 존재할 때만 형성되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 고차조건화는 새로운 조건반응이 이미 확립된 조건반응(조건자극)을 기초로 형성되는 것이고, 이로 인해
고전적 조건화를 통해 습득되는 행동의 범위가 크게 확장될 수 있다.
32
4. 생활 속의 고전적 조건화
1) 공포와 불안 : 고전적 조건화로 생기는 정서
① 공포증(Phobia) : 객관적으로 위험하지 않는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서 강한 공포를 느끼는 것이다. 예로
덩치가 크고 사납게 생긴 개를 보고 놀란 경험이 있는 어린이는 강력하고 일반화된 개공포증을 학습한 것
이 되고 어떤 개에게도 접근하기를 두려워하게 된다.
② 실험적 신경증 : 동물실험 중 장기간 갈등상황에 노출되면 낑낑대거나 짖는 등 전에 하지 않던 행동을
하는 것이다. 이런 갈등상황에 장기간 노출되면 수명 또한 짧아진다. [실험] 원과 타원 중에서 원에만 음식
을 제공하여 변별훈련 실시 → 타원의 모양을 점점 원에 가깝게 함 → 어느 정도 이상 자극이 어려워지자
개의 행동이 이상하게 변함.
③ 유쾌한 정서 반응 : 광고업자들은 어떤 상품을 긍정적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무조건자극과 교모하게 짝을
지어, 매력적인 인물 등과 상품을 연합시켜 보여준다.
2) 생리적 반응 : 고전적 조건화로 생기는 생리적 과정
① 면역억압 : 특정 맛이 나는 액체를 마실 때 화학적으로 면역억압을 일으키는 약물(US)을 주사하면, 면역
억압효과가 사라진 후 동물들에게 그 특정 맛이 나는 액체를 제공하고 항체를 측정해 보면 면역반응의 감
소가 관찰되었다.
② 알레르기 반응
③ 엔돌핀 분비
◆ 정리하기
1. 학습과 연합
2. 파블로프의 실험
3. 고전적 조건화와 관련된 현상
1) 습득 : 새로운 조건반응이 형성 또는 확립되는 과정 (동시조건화, 지연조건화, 흔적조건화, 역행조건화)
2) 소거와 자발적 회복
① 소거 : 조건자극에 뒤이어 아무런 결과도 수반되지 않음을 학습
② 자발적 회복 : 추가적 훈련 없이 어느 정도의 휴식 후에 소거되었던 반응이 다시 나타나는 현상
3) 자극 일반화와 변별
① 자극 일반화 : 특정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것을 학습한 유기체는 원래의 자극과 유사한 새로운 자극에
대해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반응
② 자극변별 : 유사한 두 자극의 차이를 식별하여 각각의 자극에 대해 서로 다르게 반응하는 현상
4) 고차조건화 : 새로운 조건반응이 이미 확립된 조건반응(조건자극)을 기초로 형성되는 것이고, 이로 인해
고전적 조건화를 통해 습득되는 행동의 범위가 크게 확장될 수 있다.
4. 생활 속의 고전적 조건화
1) 공포와 불안
2) 생리적 반응 : 고전적 조건화로 생기는 생리적 과정 (면역억압, 알레르기 반응, 엔돌핀 분비)
33
title 2 조작적 조건화
1. 조작적 조건화
- 고전적으로 조건화되는 반응은 불수의적인 것이나 대부분의 인간행동은 수의적인 것
- 우리의 행동성향은 그 결과가 변경될 때 그에 따라 적절하게 변화함. 결과를 바탕으로 행동을 변화시키는
능력은 조작적 조건화 원리로 설명이 가능함
- 기본원리 : 유기체가 어떤 행동을 한 후에 강화물이 주어지면 그 행동을 더 빈번히 하게 되고, 처벌이 주
어지면 그 행동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
2. 에드워드와 스키너의 실험
1) 에드워드 손다이크 : 동물에게 지능이 있는가?
[실험] Thorndike는 동물지능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해 문제 상자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고양이가 지렛대를 밟으면 바깥으로 나오는 문이 열리게 설치 -> 시행이 반복됨에 따라 고양이가 지렛대를
밟고 바깥으로 나오는 반응잠재기가 짧아지지만 잠재기가 감소되는 형태는 점진적이고 다소 불규칙적임
[학습곡선]
- 시행착오에 의한 효과의 법칙 : 실험결과 Thorndike는 다른 반응은 약화되는 대신에 정확한 반응이 강화
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진 것이라고 생각했다.
-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 : 반응 후에 수반되는 결과가 바람직한 것이면 그 반응이 나타날 확률이 증
가되고, 결과가 바람직하지 않으면 그 확률이 감소된다.
- 조작적(도구적) 조건화 : 반응에 뒤따르는 강화에 의해 행동에 변화가 일어난다.
고전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화
용어 CS, US, CR, UR 반응, 강화
행동의 효과 US를 통제하지 못함 강화를 통제함
습득 절차 CS와 US를 짝지음
특정 자극 하에서 반응과 결과를 짝지
음주로 골격근 반응
학습되는 반응 주로 내장 반응 주로 골격근 반응
소거 절차 US없이 CS만 제시 반응 후에 강화 생략
일반화
CS와 유사한 자극이 CR과 유사한 반
응 유발
강화를 받았을 때와 유사한 자극이 제
시되면 유사한 반응률이 나타남
변별
한 자극에는 US가 뒤따르고, 유사한
자극에는 US가 뒤따르지 않음
한 자극이 있을 때 수행한 반응은 강화
되고 다른 자극이 있을 때 수행한 반응
은 강화되지 않음
34
고전적 조건화에서는 학습자의 반응이 결과에 -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조작적 조건화에서는 학습자의 반응
이 뒤따를 결과를 결정한다는 절차상의 차이가 있다.
◆ 소거 : 학습자가 반응을 하였을 때 강화를 생략함으로써 소거를 일으킬 수 있다.
◆ 자극통제 : 일반화와 변별
① 자극일반화 : 조작적 반응의 결과에 따라 통제되지만 그 반응에 선행하는 자극 또한 조작적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피험동물이 특정 자극이 있을 때 어떤 반응을 수행한 결과 강화를 받았다면 → 유
사한 자극에 동일한 반응을 보임. 일반화의 정도는 원래 자극과 새로운 자극 간의 유사성의 정도에 비례
② 변별 : 한 자극에 대한 반응 결과로 강화를 받고 다른 자극에 대해서는 반응을 하여도 강화를 받지
못하거나 훨씬 적은 강화를 받는 다면 학습자는 두 자극 사이를 구분하여 상이한 반응률이 나타난다.
③ 자극통제(stimulus control) : 반응에 선행하는 자극에 의해 그 반응이 변하게 된다.
2) Skinner의 실험 : 반응 만들기
[실험] 스키너 상자 : 먹이공급장치가 달린 작은 상자 속에 쥐가 누를 수 있는 지렛대 또는 비둘기가 쪼을
수 있는 원판을 부착한 실험장치를 제작하여 자동적으로 먹이를 공급하도록 함
① 행동조형
- Skinner는 실험에 조형(shaping)이라는 절차를 이용
- 조형(shaping) : 연속적 접근법(successive approximation)을 사용하여 연구자가 원하는 새로운 반응을
만들어내는 절차
▶ Skinner실험에서의 절차
① 일어서기를 강화
② 지렛대가 있는 곳을 향하여 일어서는 행동만 강화
③ 지렛대 가까이에서 일어서기를 할 때만 강화물을 제공
④ 앞발이 지렛대에 접촉하였을 때 강화물을 제공
⑤ 지렛대를 누르면 강화물인 먹이가 음식접시에 자동적으로 떨어짐
② 행동연쇄화 : 보다 복잡한 행동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사용한 기법
- 동물들이 반응연쇄에서 그 다음 반응을 수행할 기회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반응을 강화시킬 수 있다.
[실험] 쥐를 맨 위층에 올려두고 먹이를 둔다. → 두 번째 중간층에 쥐를 두고 맨 위층으로 올라가는 사다
리를 설치한다. → 이 과정에서 위층으로 올라가는 것을 학습한다. → 중간층에서 위층으로 사다리 타고 올
라가는 학습 후 사다리를 제거한다. → 줄을 당겨야 위층으로 올라가는 것 학습한다. → 마지막 단계에는
쥐를 맨 아래층에 두고 학습한 행동들을 적용시켜 맨 위층까지 올라간 후, 일차강화물인 먹이는 마지막 반
응 후에만 제공한다.
- 연쇄의 나머지 반응들은 그 다음 반응을 수행할 기회를 부여받는 것으로 강화된다.
3. 강화와 처벌
- 강화와 처벌 : 그에 선행하는 반응이 미래에 반복해서 나타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사건
1) 강화
① 정적강화(positive reinforcement) : 음식, 물 또는 성적 대상과 같은 호의적인 대상을 제공하는 것
② 부적강화(negative reinforcement) : 비호의적 또는 혐오적인 것을 제거하는 것
- 강화란 항상 반응을 증가시키는 것이고, 정적 또는 부적이라는 것은 어떤 것이 제시되느냐 아니면 제거
되느냐 하는 것임
35
처벌 2) : 그에 선행하는 반응이 반복되어 나타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사건
① 정적처벌(positive punishment) : 반응자가 싫어하는 어떤 사건을 제시함으로써 그에 앞에서 나타났던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
② 부적처벌(negative punishment) : 반응자가 선호하는 어떤 대상을 주지 않음으로써 반응을 약화시키는 것
선호자극 혐오자극
제시 정적강화(+) 정적처벌(-)
제거 부적처벌(-) 부적강화(+)
- 처벌 사용 시 고려할 사항
① 처벌은 반응이 일어난 후 즉각적으로 주어질 때 가장 효과적임
② 반응이 나올 때마다 매번 처벌이 주어지는 것이 효과적임
③ 강도는 처음부터 아주 강한 것이 좋음
④ 처벌받는 행동에 대해 대안적 행동이 있을 때 처벌의 효과는 커짐
⑤ 왜 처벌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함
⑥ 공손하지 못한 태도를 처벌하는 것보다 공손한 태도일 때 칭찬이 더 효과적임
3) 일차강화물과 이차강화물
① 일차강화물 : 음식물과 물과 같은 생물학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
② 이차강화물 : 돈과 같이 과거에 일차강화물과 연합되었기 때문에 강화효과를 가지는 것
4) 강화계획
- 계속적 강화(continuous reinforcement) : 유기체가 요구되는 반응을 할 때마다 강화물을 주는 것
- 부분강화(partial reinforcement) : 요구되는 반응 중 일부에만 강화물을 주는 것
- 계속적강화가 빠른 학습을 가져오지만, 학습된 행동을 오래 유지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은 아님
(1) 고정비율계획(fixed-ratio schedule)
- 일정한 수의 정확반응이 나타난 후에 강화시키는 절차로 반응은 빠르고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 한 번 강화물을 얻기 위해 많은 수의 반응을 해야 하는 경우 강화물을 받은 직후에 반응을 멈추는 기간
이 관찰된다.
ex) Skinner box에서 쥐가 5번 막대를 누를 때마다 먹이 1개를 주는 것
(2) 고정간격계획(fixed-interval schedule)
- 반응 수에 관계없이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 처음 나타나는 반응을 강화시키는 절차이다.
- 정해진 간격이 종료될 무렵에 반응률이 갑자기 증가되는 특성이 있다.
ex) Skinner box의 쥐도 2분 간격으로 강화를 주면, 강화를 받은 후 반응률이 뚝 떨어지고 2분이 가까워
질수록 반응률이 높아진다.
(3) 가변비율계획(variable-ratio schedule)
- 강화물을 받기 위해 요구되는 반응수가 시행에 따라 변화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고정비율계획과 동일하다.
- 반응률이 안정적이고 휴식기간이 없어진다.
- 행동의 습득도 비교적 빠르고 강화를 제거한 후에도 반응이 높은 비율로 비교적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ex) 도박
36
(4) 가변간격계획(variable-interval schedule)
- 한 번의 강화와 그 다음 강화간의 시간간격이 시행에 따라 변화한다.
- 안정적인 반응을 하지만 반응의 속도는 느리게 나타난다.
ex) 사장이 순회하는 바로 그 순간에 일하고 있는 사람에게 보너스 지급하면 사원들은 장기간에 걸쳐 꾸
준히 일은 하지만 열심히 일하지는 않을 것임
(5) 소거와 강화계획
- 부분강화효과(partial reinforcement effect) : 부분강화에 의해 학습된 반응은 계속적으로 강화된 반응보
다 소거가 느리게 이루어지는데 이를 ‘소거에 대한 저항이 강하다’고 표현한다.
- 만약 반응을 할 때마다 강화물을 준 경우 소거 시행에서 반응 후에 강화물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소거는
급격히 일어날 것이다.
[강화계획 그래프 비교]
4. 생활 속의 조작적 조건화
- 가장 많이 적용되는 상황은 부모나 교사 또는 동료들에 의해 부과되는 보상 또는 처벌
- 특정 행동을 발달시키거나 교정시키기 위한 특수한 기법을 제공하고 동물 훈련에 적용
1) 행동수정(behavior modification)
- 어떤 행동 목표를 설정하고 그 행동에 점차 가까워지도록 내담자의 반응을 강화시킨다.
- 프리맥의 원리 : 선호성이 높은 활동이 낮은 활동에 대해 강화물이 될 수 있다.
ex) 돈을 받기 위해 스티커 10개 모아야 한다고 하면, 스티커를 받기 위해 행동을 잘 한다.
- 수정대상이 되는 행동과 관련된 자극을 통제함으로써 행동을 수정시킬 수 있다.
ex) 과식하는 사람들에겐 식사가 끝나자마자 자리에서 일어나게 하고, 금연을 하려는 사람에겐 술자리나 흡
연과 관련된 장소나 모임을 피하게 한다.
- 학습된 무기력 : 계속되는 좌절을 경험한 피험자는 스스로 환경을 통제하려고 하는 어떤 노력도 포기하
게 된다. 인간의 경우 이런 경험에 의해 심한 우울증이나 스트레스 관련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다.
2) 미신 행동
- 특별한 생각이나 어떤 대상 혹은 행동이 어떤 사건을 일으킨다는 잘못된 신념을 가리키며, 행동 및 그로
인한 강화 간에 생긴 우연한 연합에 기초한 학습 결과이다.
37
ex) 머리를 안 감고 시험을 보면, 잘 보더라.
- 강화에 앞서 발생한 행동이 인과관계 없이 시간적으로 정확히 일치하기도 하여, 그에 따라 행동과 강화
에 대한 연합이 형성된다.
5. 보상과 조건화에서의 생물학적 기초와 영향
1) 보상의 생물학적 기초
① 보상의 모형으로서의 자기-자극
[실험] 두개 내 자기-자극 : 피터밀러와 제임스 올즈는 뇌의 특정 영역에 대한 전기자극이 학습을 촉진시
키는가를 알아보는 실험을 하다가, 실수로 다른 뇌 부위에 전기자극을 주게 된다. 쥐들은 그들 뇌를 스스로
자극하기 위해 열심히 레버를 눌렀다. 두개 내 자기-자극이 공급되는 뇌 영역을 쾌락 중추라 칭하고, 이 영
역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사용되는 곳이라 한다.
② 보상을 신호하는 도파민
-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은 동기와 정서에 관여하며, 정적 강화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 먹이가 제시되었을 때 배고픈 쥐들은 측핵에서 도파민의 분비가 증가되는데, 배고픔이 크면 클수록 도
파민의 분비는 더 증가된다. ex) 배가고플 때 음식의 맛이 더 좋다.
- 이차 강화물 또한 도파민 체계를 활성화시킨다. ex) 돈
- 도파민 효과를 차단하는 약물들은 대부분의 활동에 따른 보상 특성을 차단한다. ex) 뚜렛증후군을 가진 사람
의 불수의적 신체 움직임 통제 위해 도파민 차단제 복용하나, 인생의 즐거움을 빼앗는 다고 느끼기도 한다.
- 알코올, 니코틴, 헤로인 및 코카인과 같은 약물은 측핵의 도파민 활성 증가와 연관이 있다.
2) 조건화에서 생물학적 영향
① 본능 표류
- 동물들은 자신들의 진화적 적응과 상반된 행동의 학습은 어려워한다.
② 맛 혐오 학습
- 동물들은 새로운 맛의 먹이를 먹고 나서 배탈이 나면 그 먹이를 절대로 먹지 않는다.
- 맛 혐오 학습은 한 번의 경험으로 학습이 될 뿐만 아니라 조건자극(맛)과 무조건자극(배탈)이 시간적으
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학습이 일어나며, 소거도 잘 되지 않는다.
◆ 정리하기
1. 에드워드 손다이크 : 동물지능이 있는가?
- 효과의 법칙 : 반응 후에 수반되는 결과가 바람직한 것이면 그 반응이 나타날 확률이 증가되고, 결과가
바람직하지 않으면 그 확률이 감소된다는 것
- 조작적(도구적) 조건화 : 반응에 뒤따르는 강화에 의해 행동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
- 고전적 조건화에서는 학습자의 반응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조작적 조건화에서는 학습자의 반
응이 뒤따를 결과를 결정한다는 절차상의 차이가 있음
1) 소거 : 학습자가 반응을 하였을 때 강화를 생략함으로써 소거를 일으킬 수 있음
2) 자극통제 : 일반화와 변별
① 자극일반화 : 조작적 반응의 결과에 따라 통제되지만 그 반응에 선행하는 자극 또한 조작적 행동에 영
향을 미칠 수 있음
② 변별 : 한 자극에 대한 반응 결과로 강화를 받고 다른 자극에 대해서는 반응을 하여도 강화를 받지 못
하거나 훨씬 적은 강화를 받는 다면 학습자는 두 자극 사이를 구분하여 상이한 반응률을 나타냄
③ 자극통제 : 반응에 선행하는 자극에 의해 그 반응이 변하게 되는 것
38
2. Skinner의 실험 : 반응 만들기
1) 행동조형 : 연속적 접근법(successive approximation)을 사용하여 연구자가 원하는 새로
2) 행동연쇄화 : 보다 복잡한 행동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사용한 기법
3. 강화는 반응률을 증가시킨다
1) 강화 : 정적강화(호의적인 대상 제공), 부적강화(비호의적 또는 혐오적인 것을 제거)로 기대하는 행동을
증가시키게 함
2) 처벌 : 정적처벌(반응자가 싫어하는 어떤 사건을 제시), 부적처벌(반응자가 선호하는 어떤 대상을 주지
않음)로 원하지 않는 행동을 감소시킴
3) 일차강화물과 이차강화물 : 일차강화물(생물학적 욕구를 충족), 이차강화물(일차강화물과 연합되었기 때
문에 강화효과를 가지는 것)
4) 강화계획
(1) 고정비율계획 : 일정한 수의 정확반응이 나타난 후에 강화
(2) 고정간격계획 : 반응 수에 관계없이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 처음 나타나는 반응을 강화
(3) 가변비율계획 : 강화물을 받기 위해 요구되는 반응수가 시행에 따라 변화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고정비
율계획과 동일함
(4) 가변간격계획 : 한 번의 강화와 그 다음 강화간의 시간간격이 시행에 따라 변화함
4. 생활 속의 조작적 조건화
1) 행동수정 : 어떤 행동 목표를 설정하고 그 행동에 점차 가까워지도록 내담자의 반응을 강화시킴
- 프리맥의 원리 : 선호성이 높은 활동이 낮은 활동에 대해 강화물이 될 수 있음.
- 학습된 무기력 : 계속되는 좌절을 경험한 피험자는 스스로 환경을 통제하려고 하는 어떤 노력도 포기하게 됨
2) 미신 행동 : 특별한 생각이나 어떤 대상 혹은 행동이 어떤 사건을 일으킨다는 잘못된 신념을 가리키며,
행동 및 그로 인한 강화 간에 생긴 우연한 연합에 기초한 학습 결과임
5. 보상의 생물학적 기초
1) 보상의 모형으로서의 자기-자극
2) 보상을 신호하는 도파민 :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은 동기와 정서에 관여하며, 정적 강화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남
6. 조건화에서 생물학적 영향
1) 본능 표류 : 동물들은 자신들의 진화적 적응과 상반된 행동의 학습은 어려워 함
2) 맛 혐오 학습
title 3 사회 및 인지 학습, 학습에 대한 신경학적 설명
1. 사회 및 인지학습
- 고전적 또는 조작적 조건화만을 인정할 때 직접 경험 없이는 어떤 행동이나 지식을 습득할 수 없지만, 실
제 인간의 행동과 지식 가운데 많은 부분은 간접적으로 습득된 것이다.
ex) 친구를 때리면 안 된다는 것의 습득, 훔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의 습득 등
- 학습에서 인지의 역할을 중요하게 여긴다.
- 인지란 정보를 습득하고 조직화하는 과정 즉, 우리가 주변의 세상을 알고 이해하는 방법으로 강화나 처벌
없이도 정보를 습득하고 저장하고 조직화한다.
39
2. 사회학습
- 사회학습 이론가들은 인간의 학습은 주로 여러 사람과 있을 때 일어나고,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통해 학습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 사회학습(관찰학습=대리학습)의 기본과정
① 주의 : 타인의 행동과 그에 따르는 결과를 관찰
② 파지 : 기억 속에 저장
③ 재생 : 행동으로 따라하기
④ 동기 : 그 행동을 하도록 하는 동기의 유발
- 관찰학습(대리학습) : 한 개체의 행동이 다른 개체를 관찰함으로써 영향을 받을 때 일어남
- Bandura : 고전적 및 조작적 조건화 모두가 관찰학습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함
ex) 모방이 공격행동의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는 Bandura의 연구
1) 모델링과 모방
- 관찰하는 것으로 아주 많은 것을 학습할 수 있다. 관찰의 대상이 되는 사람은 모델 역할을 하고, 관찰자
는 그의 행동을 모델링 또는 모방하게 된다.
- 모델과 동일시하려는 성향은 아동이나 청소년들 사이에서 특히 강력하게 나타난다.
ex) 광고의 연예인 따라 하기, 아이들에게 협조적이고 이타적이 되라고 얘기하는 것보다 그런 본보기가 되
어주는 것이 훨씬 효과적임
- 어린이들이 관찰을 통해 성역할과 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배운다.
2) 대리강화와 대리처벌
- 자신의 경험 대신에 다른 사람의 경험을 통해 학습한다.
ex) 새로 개발된 자동차를 구입하려고 할 때 아는 사람 중에서 그 자동차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얼마나 만
족하는지를 알아본 후, 구매 결정을 함
3. 인지학습
- 한 번도 경험한 적도 없고 한 번도 관찰해 본 적도 없는 일도 어느 순간에 터득해서 하게 된다.
- 언어 학습과 같은 경우 또한 인지과정이 학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지지한다.
1) 조건화의 인지적 설명
- 조건자극이 유기체로 하여금 무조건자극을 기대하도록 만들 수 있다.
[카민의 저지실험 절차] 쥐를 집단 1,2로 나눔. 하나의 조적자극이 무조건자극과 짝 지어진 후,
이 조적자극과 새로운 자극을 합친 합성자극과 무조건자극을 짝지으면, 이 새로운 자극도 조건반
응을 유발시킬 수 있을까?
1단계 2단계 검사단계 결과
집단1 - 빛+소리→충격
빛→CR?
소리→CR?


집단2 소리→충격 빛+소리→충격
빛→CR?
소리→CR?
×

- 학습자는 환경자극에 대한 정신적 표상을 형성하고, 무엇과 무엇이 동반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40
병원의 냄새와 주사의 통증이 반복적으로 연합되어 ex) 공포반응이 조건화된 아동의 경우, 나중에 다시 병
원에 왔을 때, 병원의 벽지가 바뀌어있어도 새로운 벽지는 먼저 학습된 조건자극인 냄새에 의해 차단된다.
- 학습에 대한 인지적 설명은 학습이란 자극-반응연합과 강화의 효과를 합한 것 이상이라는 입장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 어떤 형태의 학습은 고등정신 과정을 필요로 하고, 학습자가 사건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가에 따라 학
습 내용은 달라질 수 있다.
2) 통찰
- Wolfgang Köhler : 이전에 형성된 연합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
[침팬지 실험] 주변을 두리번 거리다가 막대기를 발견하고 막대기를 이용해서 높은 곳에 과일을
너무 쉽게 따서 먹는 침팬지는 이전에 형성된 연합을 사용해서 문제를 해결한 것이 아니다.
① 유사한 상황에서 그와 같은 경험을 해본 것처럼 즉각적으로 문제를 해결
② 효과가 없는 해결방안을 거의 시도하지 않음
③ 갑자기 문제를 해결함
- 이는 과거에 전혀 학습한 적이 없는 새로운 관계를 갑자기 파악했기 때문이다.
- 침팬지들은 자극-반응 연합을 형성한 것이 아니라, 문제상황 전체에 대한 통찰을 획득했던 것이다.
→ 학습이 항상 시행착오를 거쳐서 힘들고 느리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3) 잠재학습과 인지도
- Edward Tolman : 쥐의 학습을 연구한 실험에서 쥐가 먹이에 의해서 학습을 했다고 해석하는 것 외의 다
른 해석을 할 수 있는 증거를 제시
[실험] 12일 동안의 세 개의 쥐 집단
A집단의 쥐에게는 시행마다 목표상자에 먹이를 줌
B집단에게는 매일 미로를 달렸지만 목표상자에 먹이를 한 번도 주지 않음
C집단에는 10일 동안 강화 없이 미로를 다니게 하고 11일째 처음으로 목표상자에 먹이를 줌
결과 : C집단에 11일째 제시된 한 번의 강화의 결과는 B집단의 결과와 비슷. → 강화를 받기 전
동물들은 이미 학습하고 있었던 것, 쥐가 이미 미로의 공간배열에 대한 정신적 표상, 인지도
(cognitive map)를 발달시켰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 잠재학습 : 수행으로 옮겨지지 않은 학습. 비록 행동으로 표출되지 않더라도 학습은 가능하다.
- Tolman은 어떤 반응이나 강화가 없어도 인지도는 자연적으로 발달된다고 결론지었다.
◆ 정리하기
1. 사회학습 : 인간의 학습은 주로 여러 사람과 있을 때 일어나고,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통해 학
습할 수 있음을 강조
- 관찰학습(대리학습) : 한 개체의 행동이 다른 개체를 관찰함으로써 영향을 받을 때
1) 모델링과 모방 : 관찰하는 것으로 아주 많은 것을 학습
2) 대리강화와 대리처벌 : 자신의 경험 대신에 다른 사람의 경험을 통해 학습하는 것
2. 인지학습 : 한 번도 경험한 적도 없고 한 번도 관찰해 본 적도 없는 일도 어느 순간에 터득해서 하게 된다.
1) 조건화의 인지적 설명
- 조건자극이 유기체로 하여금 무조건자극을 기대하도록 만들 수 있음
2) 통찰 : 이전에 형성된 연합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한 것이 아니며, 문제상황 전체에 대한 통찰을 획득했던 것임
3) 잠재학습과 인지도
- 잠재학습 : 수행으로 옮겨지지 않은 학습. 비록 행동으로 표출되지 않더라도 학습은 가능하다는 것
- 인지도 : 어떤 반응이나 강화가 없어도 인지도는 자연적으로 발달된다.
41
Chapter 5. 기억
title 1. 기억과정 및 기억연구의 새로운 접근
1. 기억과정
- 기억 : 단순히 정보를 받아들이고 저장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기존의 정보나 지식을 문제해결에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조직화하거나 재구성하는 매우 적극적인 정신과정
- 기억의 중요성 : 기억이 없다면 다른 사람을 알아보거나 생활에 필요한 기술을 사용할 수도 없게 될 것이
다. 내가 누구인지라는 자기 인식조차 없을 것이다.
- 망각의 중요성 : 일상생활 속에서 엄청난 양의 무의미한 정보들로 인한 기억의 과부화나 주의분산을 막아준다.
1) 약호화
- 기억해야 할 내용을 정신적인 표상으로 부호화하는 것이다.
- 주의가 요구된다.
-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려버릴 경우, 약호화가 제대로 안 된다.
2) 저장
- 저장되지 않은 정보는 시간이 지난 뒤에 회상할 수 없다.
3) 인출
- 저장된 모든 정보를 필요할 때 회상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 인출에 도움이 되는 단서가 있으면 회상이 훨씬 쉽다.
[ 기억의 세 가지 주요 과정 ]
과 정 약호화 저 장 인 출
정의 기억부호를 형성
약호화된 정보를
기억속에 유지
기억저장고에서 정보를
재생
컴퓨터의 정보처리에
비유
키보드를 통해 자료를
입력
하드디스크에 파일로
저장
파일을 불러와서 화면에
자료를 표시
2. 중다기억 시스템
- 유입되는 정보는 장기기억에 전이되기에 앞서 일시적이나마 감각저장고와 단기저장고를 거쳐야 한다.
- 인간의 기억은 그 기능이나 보유기간이 다른 세 가지 기억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1) 감각기억
- 아주 짧은 기간 동안 원래의 감각양식을 유지한다.
42
감각기억은 - 시각적 패턴, 음성 또는 촉각적인 형태로 지속될 수 있다.
- 짧은 시간 내에 소멸된다.
- 비교적 많은 양의 정보가 처리되지만, 이중에서 일부만 선택되어 단기기억으로 넘어간다.
2) 단기기억
- 정보를 약 20~30초 동안 유지할 수 있으나 저장 용량이 비교적 제한되어 있다.
- 시연(Rehearsal) : 단기기억의 정보도 시연을 하면 30초 이상 유지할 수 있으며, 단기기억의 정보를 재순
환시키는 역할도 한다. 재순환과정은 방해자극 때문에 시연과정이 차단된다.
ex) 전화번호를 기억하기 위해 계속해서 암송
-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의 전이가 이루어지는가 하는 것은 단기기억 내에서 이루어지는 시연의 유형
에 따라서 성공 여부에 영향을 받게 된다.
→ 유지형 시연 : 단순히 되뇜, 장기기억으로 정보전이의 가능성이 낮음
→ 정교형 시연 : 이전의 정보와 논리적 연결체계를 형성하거나, 심적 이미지를 구성 등 정보 간의 연결 고
리를 만듦, 장기기억으로 정보전이 가능성이 높음. 기억술과 연관 있음
(1) 저장의 지속성
[실험] 피터슨& 피터슨(1959)
경고
녹색신호:
자극제시
철자와 숫자
파지기간
3씩 거꾸로 빼기
회상신호 및 보고
적색신호:
시행시작 “GJT 547"
547, 544, 541, 538,
535
“GJT?"
- 단기기억에 들어온 정보는 시연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빨리 소멸된다.
- 시연하지 않을 경우 단기기억의 최대 지속기간은 약20~30초정도 이다.
(2) 저장 용량(밀러, 1956)
- 신비의 수 7±2 (평균 7개의 수, 문자 또는 간단한 언어를 기억할 수 있음. ±2는 개인차)
- 시연의 중요성 : 기계적 시연(암송), 정교화 시연
- 군집화(친숙한 자극들을 하나의 단위로 묶는 것)하면 보다 많은 정보를 기억할 수 있고 단기기억의 용량
도 증가시킬 수 있음
ex) FB-ITW-AC-IAIB-M 보다 FBI-TWA-CIA-IBM라고 기억하는 것이 더 기억하기 쉬움
ex) 숙련된 전자기술자들이 복잡한 회로판을 잘 기억하는 것도 회로판을 의미 있는 단위로 묶을 수 있기 때문
3) 장기기억
- 장기기억의 정보는 오랫동안 유지되고 기억용량도 거의 제한 없고 지속적이다. 장기기억이 기억저장고임
을 보여주는 증거는 다음과 같다.
(1) 정보전이 : 단기기억의 정보는 시연을 통해 장기기억으로 전이된다.
[실험] 대학생들에게 20개의 단어쌍 목록을 제시하고 큰소리로 시연하게 한 직후에 회상을 검사 결과, 서
열위치 효과가 나타남.
▶ 서열위치효과
① 초두성 효과 : 처음 단어가 더 많이 시연하기 때문에 회상이 잘 된다. (장기기억을 반영)
② 신근성 효과 : 끝부분에 있는 단어가 회상이 잘 된다. (단기기억을 반영)
(2) 지속성 : 장기기억의 정보는 거의 영구적이나 망각의 원인은 정보를 인출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주장으
로 이는 섬광기억(중요한 사건들이 자세하고 생생하게 되살아나는)이 주장의증거가 된다.
43
◆ 정리하기
1. 기억과정
1) 약호화 : 기억해야 할 내용을 정신적인 표상으로 부호화
2) 저장 : 저장되지 않은 정보는 시간이 지난 뒤에 회상할 수 없음
3) 인출 : 저장된 모든 정보를 필요할 때 회상할 수 있는 것이 아님
2. 중다기억 시스템
1) 감각기억 : 아주 짧은 기간 동안 원래의 감각양식을 유지
2) 단기기억 : 정보를 약 20~30초 동안 유지할 수 있으나 저장 용량이 비교적 제한되어 있음
(1) 저장의 지속성 : 단기기억에 들어온 정보는 시연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빨리 소멸
(2) 저장 용량 : 신비의 수 7±2
3) 장기기억 : 장기기억의 정보는 오랫동안 유지되고 기억용량도 거의 제한 없고 지속적
(1) 정보전이 : 단기기억의 정보는 시연을 통해 장기기억으로 전이
▶ 서열위치효과
① 초두성 효과 : 처음 단어가 회상 잘 됨
② 신근성 효과 : 끝부분에 있는 단어가 회상이 잘 됨
(2) 지속성 : 장기기억의 정보는 거의 영구적이나 망각의 원인은 정보를 인출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주장
title 2 회상과 망각
▶ 기억연구의 새로운 접근과 회상
1. 기억연구의 새로운 접근
1) 작업기억
- 배들리(1986) : 보다 복잡한 단기기억 모형 제안하여 작업기억을 세 요소로 구분했다.
① 음운고리 : 발화, 어휘, 숫자 정보 등을 청각적으로 부호화하고 유지하는 기능수행
② 시공간 잡기장: 시각적 심상과 공간 정보를 유지하고 조정 ex) 침실에 있는 가구 상상하여 재배열할 때 작동
③ 중앙 집행기: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정보량을 제한하고, 추리와 의사절정에 관여, 하위영역(음운 고
리, 시공간 잡기장)에 명령을 내리고 통제하는 역할 ex) 어떤 차를 살까 하고 심사숙고할 때 작동
2) 장기기억 모듈
(1) 외현기억과 암묵기억 ·
[외현기억과 암묵기억]
44
암묵기억 외현기억
의도적인 * 기억을 요구하지 않은 과제에서 파지
가 나타날 때, 자신이 의도적으로 저장하지 않은
것도 기억
* 무의식적이어서 간접적으로 평가 재학습법으로 측정
* 기억상실증, 연령, 약물, 파지간격 길이, 간섭
조작과 같은 변인의 영향 받지 않음
* 이적의 기억을 의도적으로 회상하는 기억
* 의식적이어서 회상검사나 재인검사로 직접 측정 가능
* 기억상실증, 연령, 약물 등과 같은 변인의 영향
을 많이 받음
(2) 중다기억체계
기억
서술적 기억체계
(사실적 정보,
명시적 기억)
절차적 기억체계
(행위, 지각
-운동기술,
조건반사, 암묵기억)
의미적 기억체계
(일반적 지식 :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은 이승만)
일화적 기억체계
(개인적 경험의 회상 :
첫 키스 장소)
서술기억체계 절차기억체계
* 사실적 정보를 다룸, 단어, 정의, 이름, 날짜,
개념 및 사상들에 대한 기억을 포함
* 외현기억을 처리
ex) 단어, 정의, 이름, 날짜, 얼굴 등
* 행위, 기술 및 조작에 관한 기억을 포함, 파지
기억이 아무리 길어도 기억
* 암묵기억을 처리
ex) 자전거 타는 것, 타이핑하는 것
(3) 의미기억과 일화기억
의미기억 일화기억
* 일반적인 사실을 포함
* 정보를 학습한 시간과 무관한 일반적 지식을
포함
* 백과사전적 성격
ex) 크리스마스 날짜, 개의 다리 4개
* 개인적인 사실을 포함
* 특정시간이나 장소에 있었던 사상에 대한 정
보로 보고 듣고 행동한 것의 기록
* 자서전적 성격
ex) 언제, 무엇을 보고, 듣고, 행동했는지
3) 연합주의적 모델
- 기억을 일련의 연결된 정보들의 덩이의 표상체계로 간주
① 조직화 : 최소한 어떤 식으로든 조직화되어 있지 않다면 장기기억에 있는 거대한 정보들은 쓸모가 없을
것이다. 연구 결과, 장기기억은 많은 조직망이 서로 중첩되어 뒤섞여 있는 것으로 보임
② 군집화와 개념적 위계
- 군집화 : 유사하거나 서로 관련 있는 항목끼리 기억하려는 경향
- 개념적 위계 : 항목들의 공통속성을 근거로 여러 수준의 분류체계를 만드는 것
45
③ 의미망 (노드 : 개념들을 나타냄, 통로 : 개념들을 연결)
- 아주 체계적이지는 않지만 많은 정보들을 의미망으로 조직화할 수 있음. 의미망은 노드와 통로로 구성됨
- 한 단어를 처리할 때 이미 그 단어와 밀접히 관련된 단어가 먼저 처리되었을 경우 처리속도가 빨라지는
현상을 잘 설명
- 의미망에서 단어 주위에 있는 통로를 따라 황성화가 확산(사람이 어떤 단어를 생각하면 자연히 관련된
단어까지 떠오르게 됨)되다가 망의 바깥쪽으로 나갈수록 줄어듦
2. 장기기억으로부터의 회상
1) 인출단서의 사용
▶ 설단현상 : 알고 있는 것을 일시적으로 기억하지 못하거나, 자정되어 있으나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
- 인출 실패한 경우(설단현상)에도 저장된 정보에 접근가능성을 도와주는 인출단서가 있으면 회상 할 수 있음
- 단서가 있을 경우 인출 가능하다는 사실은 어떤 단어가 발음과 같은 물리적 속성은 물론 의미를 결합하
는 형태 또는 부호로 저장 된다는 것을 의미 ex) 첫 글자가 ‘초’자야.
2) 맥락
학습 대상이 되는 항목 외에 약호화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말한다. 어떤 사건을 회상하거나 재인할 때, 그
사건이 발생하였던 원래 맥락이 많이 제시될수록 기억이 잘 됨
- 기억검사맥락과 학습맥락이 유사할수록 기억이 잘되는 것
ex) 수중 다이버에게 40개의 단어를 해변이나 20피트 수중에서 학습하도록 한 후, 동일한 환경이나 상이한 환경
에서 회상해내는 연구 결과, 학습한 것과 동일한 맥락에서 회상하였을 때 50% 정도나 기억 수행이 더 우수
3) 무드와 인출
▶ 상태의존적 기억 : 원래 사건이 일어났던 당시에 경험하였던 무드를 재연하는 것이 회상에 도움
- 약호화 과정의 정서와 인출 시의 정서상태가 동일하면 회상이 증가한다는 것
ex) 슬플 때 정보를 학습했다면 기쁠 때보다 슬플 때 더 잘 회상할 것
- 정서상태가 효과적인 인출단서 역할을 하기 때문
▶ 기분 일치효과
- 현재 기분과 일치하는 정보를 더 잘 기억한다.
- 행복한 기분이면 불쾌한 정보보다 유쾌한 정보를 더 잘 기억하며, 슬프고 침울할 때에는 부정적인 사건
을 더 잘 기억
ex) 우울증 환자
4) 처리수준
- 기억은 분석단계에서 분석수준의 깊이에 따라 지속성이 결정된다.
- 분석수준의 깊이에 따라 지속성이 결정된다.
- 피상적·구조적 수준에서 처리된 정보는 쉽게 망각되나, 의미적 수준에서 처리된 정보는 지속기간이 길다.
46
5) 도식과 스크립트
(1) 도식 : 특정대상이나 연속적인 사건에 대해 갖고 있는 조직화된 지식이나 신념
ex) 대학생은 교수의 연구실에 대한 도식을 가지고 있음.
- 자신의 도식과 일치하지 않은 것보다 일치하는 것을 더 잘 기억한다.
-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는 도식을 주위로 해서 조직화되어 있다.
(2) 스크립트 : 도식의 한 종류로서 판에 박힌 사건들에 대한 도식
ex) ‘극장가기’, ‘등산 가기’, ‘다방 가기’ 등 일상생활에서 친숙한 상황들에 대한 도식적 지식
6) 기억의 재구성
- 회상내용에는 실제 사건의 세부사항도 포함되지만 부분적으로는 실험 참가자 자신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도식에 근거해서 재구성한 것도 포함된다.
- 자신의 기대와 신념이라는 도식에 맞추어 재구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왜곡현상이 나타난다.
ex) ‘내가 잘못한 것이 아니다. 다른 사람들이 잘못 된 것이다’ → 성격장애
- 재구성 모형의 근본적 문제점 : 재구성적 오류(인출단계에서 자신의 도식 및 스크립트와 일치시키려는 왜
곡)와 구성적 오류(약호화와 저장단계에서 일어나는 왜곡)를 구분하기 어렵다.
7) 법정에서의 기억 : 목격자 진술
[실험] 두 집단에 자동차 사고에 관한 비디오테이프 보여주고 ‘두 차가 서로 부딪혔을 때 어느 정도의
속도로 달리고 있었나?’라는 질문과 ‘두 차가 서로 충돌했을 때~’라고 각각의 질문을 던졌다. ‘충돌하
다’라는 동사가 사용된 질문을 받은 집단의 사람들이 대답한 자동차의 속력이 더 빠름
1주일 후 사고현장에서 깨어진 유리조각을 보았느냐고 질문하면(사실은 그렇지 않음) ‘충돌하다’라는
동사가 사용된 질문을 받은 집단의 사람들이 그렇다고 진술함
- 기억의 재구성적인 왜곡이 목격자 증언에서 흔히 일어나며, 아동 목격자인 경우와 정서적으로 매우 불안
정하거나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게 나타난다.
◆ 정리하기
1. 기억연구의 새로운 접근 : 작업기억, 기억모듈, 연합모델
1) 작업기억
2) 장기기억 모듈
3) 의미기억과 일화기억
4) 연합주의적 모델
2. 장기기억으로부터의 회상
1) 인출단서의 사용
2) 맥락
3) 무드와 인출
4) 처리수준
5) 도식과 스크립트
6) 기억의 재구성
7) 법정에서의 기억
47
title 3 기억향상법
▶ 망각과 기억향상법
- 기억술 : 기억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
1. 망각
- 에빙하우스 : 망각을 최초로 연구한사람
- 망각곡선 : 기억 자료의 유의미성이 기억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 단어가 될 수 없는 자음과 모음의 배열을
고안해서 사용하자 파지량과 망각량이 가파르게 일어남
[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
1) 망각의 측정
- 망각량과 동시에 파지량(자료가 유지된 비율)도 측정
회상검사
기억한 항목을 모두 기록하도록 하는 것
ex) 25개 단어로 구성되어 있는 단어목록 학습 후, 모두 기록하도록 하는 것
재인검사
* 선택지에서 이미 학습한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여 파지량을 측정
* 파지측정에 민감하며, 아주 쉬운 측정방법
ex) 100개 단어 제시 후, 그중에서 이미 학습한 단어 25개를 고르게 함
재학습법
* 실험 참가자가 어떤 정보를 두 번째 학습하는데 필요한 시간이나 노력이 얼마나
절약되었느냐를 측정
ex) 목록을 최초로 기억하는 데 걸린 시간이 20분, 일주일 후 두 번째로 기억하는 데
걸린 시간이 5분이라면 파지율이 75%, 망각율은 25%라는 뜻
절약률 =
최초학습에 걸린 시간-재학습에 걸린 시간
×100
최초 학습에 걸린 시간
2) 망각의 원인 절약률
(1) 비효율적인 약호화
- 의사망각은(정보를 약호화하지 못함) 주의결함 때문에 생김
ex) 책을 읽고 있는데 주의가 분산되었다면 단순히 책 내용을 큰 소리로 읽는 것에 불과
48
(2) 소멸이론 : 기억이 비영구적이기 때문에 망각이 일어난다고 봄
- 시간경과에 따라 기억흔적이 쇠퇴하기 때문에 망각이 일어난다는 것
[실험] 두 집단의 참가자들에게 무의미 절차를 기억하게 하고 1, 2, 4, 8시간 뒤 회상량 검사. 잠을 자게
한 집단은 깨어있던 집단 보다 망각량이 저조→깨어 있는 동안 처리해야 할 정보들이 서로 경합을 일으
켜서 간섭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봄
(3) 간섭이론 : 정보가 서로 경합을 벌이기 때문에 망각이 일어남
- 간섭자극과 검사자극이 유사할수록 간섭이 더 많이 일어남
① 순행간섭 : 이전에 학습한 정보가 새로운 정보의 파지를 방해하는 것
② 역행간섭 : 새로운 정보가 이전에 학습한 정보의 파지를 방해하는 것
(4) 인출실패
① 설단현상- 인출과정의 와해로 인해 망각이 일어날 수 있는 예
② 약호화 당시의 처리유형과 파지방법이 요구하는 처리유형의 불일치하면 인출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③ 동기화된 망각(프로이드) : 생각하고 싶지 않은 사상과 관련된 기억을 망각하려는 경향 ex) 치과예약
시간이나 보고서 기한과 같은 불쾌한 일을 잊어버렸다고 보고할 때
2. 기억향상법
1) 충분한 시연
- ‘배우기보다 익혀라’ : 연습하면 파지가 증가함
- 시연은 장기기억으로 정보가 전이되는 것을 도와주기 때문에 파지가 증가되며, 자료에 대한 이해도 증가
됨. 또한, 중요한 부분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초점을 둘 수 있게 됨
- 과잉학습(overlearning) : 처음에 자료를 완전히 숙달한 후에도 계속해서 그 자료를 시연하는 것으로, 장
기간의 기억이 필요할 경우 가장 큰 도움
2) 분산학습
- 9시간 계속해서 공부하는 것 보다 세 시간씩 나누어서 3일 공부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
- 주입식 학습법이 비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입증해 줌
3) 간섭의 최소화
- 간섭이 중요한 망각 원인이므로, 간섭을 최소화시키는 방법이 기억에 도움이 됨
- 유사한 자료라고 하더라도 날짜를 달리해서 학습하면 간섭이 덜 일어남
ex) 시험 전날에는 시험 보는 과목을 공부해야 하며 시험 전날 다른 과목 공부도 해야 한다면 내일 시험
칠 과목을 마지막으로 공부해야 함. 시험 직전에 그 과목을 훑어보기
4) 깊은 처리
- 기억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계적인 반복에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자료에 의미에 관심을 두고 분석하
는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함
ex) 교재 속의 정보를 자신의 생활 및 경험과 관련시키는 것
5) 전이적합형 처리
- 사실지향적 처리보다 문제지향적 처리가 더 효과적이므로, 자신이 주어질 검사유형에 따라 학습방법을
달리해야 함
ex) 치러야 할 시험이 문제해결 식이라면 문제해결을 연습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
49
6) 언어적 약호화
(1) 이합법과 두문자법
① 이합법 : 각 단어의 머리말을 단서로 사용하여 정보를 기억하는 방법
ex) 음표의 순서를 기억하기 위해서 "Every Good Boy Does Fine."
② 두문자법 : 단어의 머리말을 사용하여 단어를 만드는 방법
ex)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indigo, violet의 색을 순서대로 기억하기 위해 ‘Roy G. Biv'라는
이름으로 저장할 수 있음
(2) 이야기 구성
- 기억할 단어들을 적절히 배열해서 이야기 형태로 바꾸면 효과적임
[실험] 실험집단에는 12개의 단어목록을 이야기 형태로 꾸미도록 지시, 통제집단에는 특별한 지시주지
않고 단어 목록 기억하게끔 함. 실험집단이 순서대로 더 잘 기억.
- 이야기를 구성하게 되면 역행이나 순행간섭이 적어지고, 각 단어가 정교화되어 회상량이 증가함
7) 시각적 심상형성
- 시각적 심상이 두 번째 기억부호를 만들어 주기 때문에 부호가 하나일 때보다 회상이 향상된다고 본다.
(1) 연결법 : 기억해야 할 항목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심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특이하게 심상을 형성
할수록 기억에 도움이 됨.
ex) 일용품점의 항목을 기억해야 하는 경우 : 잡지, 면도용 크림, 필름, 연필 등을 기억하기 위해 “어떤 모
델이 연필과 면도용 크림을 손에 들고 잡지의 표지를 상상”
(2) 장소법 : 낯익은 공간이나 장소를 이용하면 많은 항목을 기억하는데 도움이 됨
- 잘 알고 있는 장소에 대해 심상을 형성하고, 이 장면에 기억해야 할 항목들을 여러 장소에 배치시켜하
면서 상상하는 것
ex) 시장에서 살 물건을 기억하기 위해서 집~학교까지 가는 길을 상상해서 물건을 배치. (핫도그, 고양
이 먹이, 토마토, 바나나, 위스키를 사와야 한다면) 차도에 뒹구는 핫도그, 문 앞에서 먹이 먹는 고양이,
문 손잡이에 달린 토마토, 옷장 속에 다발로 걸린 바나나, 배수구에 처박혀 있는 위스키 병을 상상
(3) 핵심단어법
- 구체적인 단어와 추상적인 단어를 연결 짓고 그 구체적인 단어에 대해서 심상을 형성하는 방법
- 영어의 ‘duck(오리)'에 해당하는 스페인어인 ’pato'라면 핵심어로 ‘pot(연못)’을 사용. ‘pato'와 ’pot'을
결합시켜, 연못에서 헤엄치고 있는 오리 상상하여 심상을 형성
8) 정보의 조직화
- 정보를 조직화하면 파지(retention)가 훨씬 증가한다.
ex) 20가지의 식사 주문 기억 시, 음식에 들어가는 성분에 따라서 주문을 조직화 함
9) 약호화 증진
(1) 정교화
- 어떤 자극을 약호화하면서 다음 정보와 관련짓는 것
ex) 고전적 조건형성을, 자신의 거미 공포증으로 설명하여 학습한 내용을 정교화 함.
- 정교화시키면 연합이 증가되어 기억에 도움이 됨
50
(2) 시각적 심상
- 심상 : 어떤 단어를 기억할 때 그 단어의 시각적 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약호화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되
는 한 방법
- 추상적인 개념보다 구체적인 대상의 심상형성이 더 쉽고 심상형성의 용이성이 기억에 영향을 줌. 정신
적 상을 형성하는 것이 기억증진에 도움이 됨
- 이중부호화이론(파이비오, 1986) : 의미적·시각적 부호화는 회상을 유도하므로 기억이 증진됨
(3) 자기참조적 약호화
- 주어진 자료에 대해 개인적 의미를 부여하여 약호화를 증가시킴
- 어떤 정보를 자신과 관련짓거나 관련짓는 정도
ex) 몇 개월을 다녀도 정거장 이름 순서를 모두 기억하기는 어렵지만, 자신이 하차하는 정거장이나 친구
를 만나서 같이 내린 정거장 이름 정도는 기억함
◆ 정리하기
1. 망각
1) 망각의 측정 : 망각량과 동시에 파지량(자료가 유지된 비율)도 측정
(1) 회상검사
(2) 재인검사
(3) 재학습법
2) 망각의 원인
(1) 비효율적인 약호화
(2) 소멸이론
(3) 간섭이론
(4) 인출실패
2. 기억향상법
1) 충분한 시연 : 연습하면 파지가 증가함
2) 분산학습
3) 간섭의 최소화
4) 깊은 처리 : 자료에 의미에 관심을 두고 분석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함
5) 전이적합형 처리 : 자신이 주어질 검사유형에 따라 학습방법을 달리해야 함
6) 언어적 약호화
7) 시각적 심상형성
8) 정보의 조직화 : 정보를 조직화하면 파지(retention)가 훨씬 증가함
9) 약호화 증진
(1) 정교화 : 어떤 자극을 약호화하면서 다음 정보와 관련짓는 것
(2) 시각적 심상 : 어떤 단어를 기억할 때 그 단어의 시각적 상을 형성하는 것
(3) 자기참조적 약호화 : 주어진 자료에 대해 개인적 의미를 부여하여 약호화를 증가
51
Chapter 6. 언어 및 사고
title 1. 언어 구조와 과정
1. 언어와 사고
- 언어 : 인간이 필요에 의해서, 인지의 내용을 상징의 형태로 표현하기 위해 만든 도구
- 사고 : 언어가 진화하면서 다른 인지 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된 과정의 하나로, 기억의 언어나 심상을
사용하여 환경의 정보에 대한 의미를 체계화하고, 논리적으로 사유하며, 판단이나 결정을 하는 문제해결과정
을 수행하게 됨
- 언어 습득은 일정한 단계를 거쳐서 일어난다(옹알이-단어-단어조합-문장의 순).
2. 언어 구조
- 언어는 문법에 의해서 구성된 체계적인 규칙체계를 가지고 있다.
- 문법은 위계적으로 구성된 체계로, 음운(청각언어에서는 음운 구조가 적용, 시각 언어에서는 철자 구조가
적용) 및 철자, 통사, 의미의 세 수준이 있다.
1) 음운과 철자
- 언어가 청각적 혹은 시각적으로 소통되기 위해 구성된 문법 규칙
- 음소 : 말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로,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되며, 자음과 모음의 수는 언어에 따라 차이가 있음
- 음운(음소의 소리 표상) : 인간이 언어의 형태로 발성할 수 있음
- 음절 : 자모의 조합 ex) go, 요, ca
- 형태소 : 음절들의 조합 ex) 해변, 요일, car 등
2) 문장 구조
- 통사 : 문장의 단어들이 계열적으로 입력되면 각 단어의 품사, 즉 문법 범주를 파악하고, 파악된 범주의
단어를 분석하는 언어 규칙을 의미한다. 통사의 규칙들이 나열된 단어에 적용되면 문자의 의미적 해석이 가
능해진다.
- 촘스키 : 언어의 문법이론을 제안, 언어는 다양하지만 언어에 내포된 문법인 통사체계는 동일하다는 주장을 했다.
3. 언어 이해
- 언어가 정보로써 이해되고 산출되는 과정에 관심을 가짐
- 언어의 처리는 언어가 인지체계에 입력되면서 발생하는 심적 변화의 과정을 의미
1) 어휘 처리
- 어휘 : 단어가 기억에 표상된 상태를 의미, 단어가 언어적 단위면, 어휘는 심적 단위
- 물리적 단어가 심적 단어로 전환되어 기억에 표상되기 위해 영향을 미치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① 단어의 빈도 : 사용빈도가 높은 단어가 단어의 지각이 빠르며 기억도 잘 됨
② 단어 우월성 효과 : 단어로 제시되면 단어에 포함된 낱자나 음절의 지각이나 기억이 촉진된다는 것 ex)
WORK단어에서 K를 재인하는 속도가 K만 제시하여 재인하는 속도보다 빠름
③ 글자의 친숙성 ex) kbs보다 KBS가, SBS보다 sbs를 지각하는 것이 더 빠름
- 의미 점화 효과 : 단어 간의 의미적 관계도 어휘 처리에 영향을 미침. ex) ‘인형→과일’ 보다 ‘사과→과
52
일 의 반응시간이 더 빠름 단어 제시 맥락이 ’ . 어휘 처리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이며, 어휘 정보가 기억에
저장된 구조에 대한 정보도 제공함
- 상호작용적 과정(하향적인 과정) : 상위의 언어처리(문장, 담화 글말)가 일어나는 동안 하위의 언어처리
(낱자, 단어 등)는 쉬워짐
2) 글말 이해
- 언어는 단어나 문장의 기본 단위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복잡한 사고나 대화는 많은 단어와 문
장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담화나 텍스트는 어떻게 이해될까?
- 글말의 이해 : 문장과 문장의 연결 의미를 파악 → 단어나 문장은 글말에 있었던 그대로가 아니라 다른
형상으로 기억 → 글말의 의미․내용을 압축하여 전체적 의미를 대표하는 명제를 만들어 내고, 명제는 글말
의 주제인 것
문장1 : 등산을 하던 영희는 나무에 걸려 넘어졌다. 참조처리 : 영희-그녀는
문장2 : 그녀는 오른쪽 무릎을 심하게 다쳤다. 인과처리 : 넘어졌다-다쳤다
→ 두 행위 간의 인과적 연결은 처리자의 인과 지식이 작용되며, 글말의 주제 이해의 처리가 가능해진다.
창호지가 잡지보다는 좋으며, 길거리보다는 해변이나 들판이 좋다. …………(중략)………… 어
린아이도 즐길 수 있는 놀이다. 그리고 일단 성공하면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 …………(중략
)………… 만약, 일부분이 떨어져 나가면 다시는 할 수 없다(최보라, 1986).
→ 어려운 단어나 복잡한 문장으로 구성되진 않았지만 전체 담화의 주제를 파악하기 어려우나, ‘연날리기’
라는 주제 제목을 제시하면 글에 대한 기억을 많이 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 글의 응집성 필요 : 문장 간 연결 이해, 요약에 의한 주제 파악, 이해자의 지식 적용 등
4. 언어 산출
- 언어 산출에는 산출하는 양식에 따라서 말 산출과 글 산출이 있으며, 글 산출은 이해된 언어 표상이나 발
화의 목표에 따라 기억의 내용을 언어로 표현하는 매우 복잡한 사고과정으로 다음의 단계로 나뉜다.
1) 계획과정 :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2) 변환과정 : 의미 만들기와 의미 표현하기의 과정이 포함되며, 기억의 내용을 구체적 문장으로 표현하는
과정으로, 융통적 사고가 필요하며 유추가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음
3) 개관과정 : 문장으로 표현된 글을 교정하는 과정
5. 의사소통
- 언어가 지니는 가장 중요한 목적이며 수단이다.
- 화용론 : 언어의 사용과 관련된 제약으로, 언어를 사용하는 과정과 언어가 사용되는 상황 등이 언어의 의
미와 표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
- 협동원리 :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청자와 화자 간에 필요한 원리로, 네 가지 규칙에 의해서 구현된다고 함
① 양의 규칙 : 화자가 청자에게 필요한 만큼의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것
② 질의 규칙 : 화자가 청자에게 진실한 정보만을 말해야 한다는 것
③ 관계의 규칙 : 화자가 청자에게 현재 진행 중인 대화에 적절한 정보만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 ex) 오락
게임 상황에서는 게임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해야 함
④ 예절의 규칙 : 화자가 청자에게 명확하게 말해야 한다는 것
53
◆ 정리하기
1. 언어 구조
1) 음운과 철자 : 언어가 청각적 혹은 시각적으로 소통되기 위해 구성된 문법 규칙
2) 문장 구조
2. 언어 이해
- 언어의 처리는 언어가 인지체계에 입력되면서 발생하는 심적 변화의 과정을 의미
3. 언어 산출
4. 의사소통
title 2 언어와 사고
1. 언어 상대성 가설
- 워프&사피어 : 언어와 인지의 관계에 대한 유명한 가설 제안. 언어 결정론(언어는 인간의 인지, 즉 사고를
결정한다)과 언어 상대성(언어에 따라서 인간의 사고도 달라진다)
[실험] 뉴기니 원주민인 다니족
색상 구분에 두 가지 어휘만을 사용
- 밝고 따뜻한 색(mola), 어둡고 차가운 색(mili)
- 노랑, 연두, 검정, 보라
↓ ↓
mola mili
- en 유형의 색상에 대한 사고만이 가능
- 밀러와 맥닐은 언어 상대성 가설을 세 가지 수준으로 분류
① 언어→사고 : “언어가 사고를 결정한다” 언어와 인지의 관계에 대한 강한 입장
② 언어→지각 : “언어가 지각을 결정한다” 언어와 인지의 관계에 대한 중간 수준의 입장
③ 언어→기억 : “언어가 기억에만 영향을 미친다” 언어와 인지의 관계에 대한 약한 입장
- 워프&사피어의 언어 상대성 가설은 언어와 인지의 관계에 대한 강함 입장에 해당된다.
2. 어휘 차이
- 색상은 크게 초점색(사람들이 자주 접하고 사용하는 대표적인 색)과 비초점색(초점색의 사이에 위치하는
사용 빈도가 낮은 색)으로 분류
- 만약 언어가 지각을 결정한다면 색상에 대한 어휘를 다양하게 가진 사람들이 빈약한 언어를 가진 사람들
에 비해 색상 지각이 달라야 함
[실험] “로쉬(1973)와 솔소(1995)의 다니족과 미국인 비교 실험”
각 집단에 색상 제시 후, 일치하는 색상을 재인하도록 한 결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 다니족
에게 초점색과 비초점색을 보여준 다음 재인하게 하였을 때 비초점색보다 초점색에 대한 재인
을 잘 함 → 색상 어휘가 풍부한 미국인이나 둘 뿐인 다니족이나 색상 지각에서 차이가 없음을
보여 준 연구
54
실험 첫째 집단은 시각자극에 고유한 [ ] 명칭을 부여, 둘째 집단은 모든 자극에 동일한 명칭 부
여, 셋째 집단(통제집단)은 시각자극에 명칭을 부여하지 않고 시각자극만을 제시한 후, 재인기
억 실시한 결과, 고유 명칭의 참가자가 동일 명칭 참가자에 비해서 시각자극의 정확한 재인율
이 높았으나 고유 명칭 집단과 시각자극 집단의 재인기억의 차이는 없었음 → 시각자극이 지각
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시각자극의 기억에는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 됨. 즉, 언어 상대성
가설의 약한 입장이 타당할 가능성을 제시함
- 기억색의 효과 : 사과색, 포도색 등의 어휘를 지니고 있는데, 붉은 색상을 기억할 때 이것을 사과색으로
기억하면 나중에 실제 지각된 색상보다 더 붉은 색을 보았다고 반응할 가능성으로 어휘가 색상의 기억에 영
향을 미칠 수 있다는 증거가 된다.
3. 문법 차이
- 언어와 사고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또 다른 증거는 어순에서 찾아볼 수 있다.
ex) 한국어는 주어-목적어-동사의 순, 영어는 주어-동사-목적어의 순이다.
- 언어의 문법 구조의 차이가 사고의 차이를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
[언어와 사고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증거들]
어순 ... S(주어), O(목적어), V(동사)
SOV, 44%
SVO, 35%
VSO, 19%
VOS, 2%
OVS, 0%
OSW, 0%
지구상의 언어의 약 80%가 주어가 문장의 처음에 위치한다.
행위의 순서에 근거(자연스러움)
의사소통의 효율성
4. 문화와 인지
- 색상의 명칭이나 수는 언어에 따라 매우 다르지만 색명을 사용하는 데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즉, 사용되
는 언어체계와는 무관하게 색에 대한 인지체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는 언어가 인지를 결정하기보다는 인
지가 언어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 된다.
- 언어와 사고의 관계는 쉽게 결론을 내리기 어려운 문제지만, 이론가들의 많은 논란 중에서 두 체계의 관
계가 상호작용적이라는 점은 분명한 것으로 보인다.
- 언어 상대성 가설의 가장 큰 약점은 그들이 주장하는 강한 입장의 증거를 확보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 정리하기
1. 언어 상대성 가설
- 워프&사피어 : 언어와 인지의 관계에 대한 유명한 가설 제안. 언어 결정론과 언어 상대성
2. 어휘 차이
- 기억색의 효과 : 사과색, 포도색 등의 어휘를 지니고 있는데, 붉은 색상을 기억할 때 이것을 사과색으로
기억하면 나중에 실제 지각된 색상보다 더 붉은 색을 보았다고 반응할 가능성으로 → 어휘가 색상의 기억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증거가 됨
55
3. 문법 차이
- 언어와 사고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또 다른 증거는 어순에서 찾아볼 수 있음
- 언어의 문법 구조의 차이가 사고의 차이를 반영할 가능성이 높음
4. 문화와 인지
- 사용되는 언어체계에 무관하게 색에 대한 인지체계가 존재한다다는 것은 언어가 인지를 결정하기보다는
인지가 언어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 됨
- 언어와 사고의 관계는 상호작용적
- 언어 상대성 가설의 가장 큰 약점은 그들이 주장하는 강한 입장의 증거를 확보하지 못하였다는 점
title 3 사고 유형과 과정
1. 사고 유형과 과정
- 사고 : 기억에 저장된 지식정보를 사용하는 내적 인지의 과정으로, 심상, 개념, 언어 등의 인지 표상이 사
용된다. 사고의 세부 유형은 개념과 범주, 문제해결, 추리 및 판단과 결정 등이 포함된다.
2. 개념과 범주
- ‘사과’라는 단어가 제시되면 생각에서 떠오르는 표상들이 있으며, 사과는 인형과는 매우 다른 대상임을 알고
있다. 사과는 과일의 범주에 포함되지만, 인형은 장난감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사실도 알고 있기 때문이다.
- 속성 정보로 의미적 표상을 구성한다. 즉, 개념과 범주는 대상과 행위를 지각적·기능적·공간적 차원에서
얼마나 유사한지에 따라 표상된다.
ex) 사과와 인형은 크기, 색상, 모양 등의 지각적 속성이 다르며 사과는 음식이고 인형은 장난감이라는 기
능적 속성, 사과와 인형이 서로 위치하는 물리적 공간에서도 차이가 있다.
1) 위계성과 전형성
① 위계적 구조 : 대상이나 행위 등의 개념은 속성 차원의 범주에 근거하여 위계적 구조로 표상되어 있다.
상위개념 : 추상적 특성
기본 수준 개념
하위개념: 구체적 대상
[개념 범주의 위계적 구조]
56
② 전형성에 따라 표상
ex) 과일에는 사과, 복숭아, 키위 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과일의 범주를 기억인출 하라고 하면 사과가 가
장 먼저 떠오르고 키위는 잘 떠오르지 않는다. 사과가 다른 과일의 속성을 가장 많이 공유하고 있기 때문
이다. 이때, 사과는 원형(한 범주에서 가장 전형적인 대상이나 행위)이 된다.
- 그러나 위계성과 전형은 고정된 표상이 아니다. ex) 과일의 전문가는 초보자에 비해서 구체적 개념 사
용, 열대지방에서는 키위가 전형적인 과일이 되는 상황맥락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2) 고정관념
- 개념의 범주화는 복잡한 대상이나 행위의 개념을 단순화시키며, 유사한 대상이나 행위를 경제적으로 유
목화하는 역할을 하지만, 긍정적인 결과만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 사회적 범주의 고정관념, 성별, 인종, 직업, 경제 수준 등의 사회적 차원에 대한 개념으로 평가적 개념도
작용된다.
ex) 남성의 경우 강인한, 잘난 척, 여자의 경우 감성적, 수다스러운 등의 성별 범주
3. 문제해결
- 사고는 일반적으로 목적 지향적으로, 사고의 한 유형인 문제해결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전략을 구성하
고 다양한 전략 중에서 목표에 적절한 전략을 선택하는 심적 과정이다.
[아홉 점 연결 문제]
네 개의 선분을 사용하여 아홉 개의 점을 한 번에 모두 연결하시오.
○ ○ ○
○ ○ ○
○ ○ ○
[아홉 점 문제]
- 헤이스(1989) :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6단계로 구성된다.
-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는 문제를 표상하는 과정 : 현재의 문제상황을 심적 공간에 구성하는 것이
며, 목표 해결상황을 현재 상황과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57
1) 기능적 고착
문제 : 벽면에 촛불이 켜지게 하는 것으로 즉, 양초를 벽에 붙이는 문제
[던커의 양초 문제]
- 성냥, 초, 압정 상자 → 참가자의 43%만이 해결
- 성냥, 초, 압정과 압정상자 분리시켜 제시 → 참가자의 100%가 문제 해결
- 도식화된 지식을 있는 그대로 적용하여 문제해결을 시도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대상의 일반적 지
식에 고정된 해결방식의 결과이다.
- 일상에서 흔히 경험하는 문제의 대부분은 문제해결의 지식이 결여되기보다는 기존의 지식을 적절하게 적
용하지 못하거나 기존의 지식을 고집스럽게 한 방향으로만 적용하려는 문제해결 전략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다.
2) 창조적 문제해결
- 다른 사람이 생각하지 못하는 새로운 발견을 하는 경우이다.
- 창조적 문제해결 단계 준비단계 ⇨ 보존단계 ⇨ 조명단계 ⇨ 검증단계
① 준비단계 : 문제를 구성하고 초기 해결 시도
ex) 뉴턴이 물리적 법칙을 찾기 위해 실험실에서만 가능한 해결책 시도
② 보존단계 : 목표 문제를 떠나 다른 문제에 전념하게 됨
ex) 휴식을 취하기 위해 찾은 곳에 마침 사과나무가 있는 곳이었고, 여러 생각에 잠김
③ 조명단계 :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 문제를 해결
ex) 그 순간 사과가 나무에서 떨어지는 것 관찰하고, 갑자기 새로운 생각을 구성하게 됨
④ 검증단계 : 해결된 문제를 검증하고 최종 해결이 결정됨.
ex) 급하게 실험실로 돌아와 그 사건에 대해 물리학적 해석을 하고, 만유인력에 관한 실험
4. 추리
- 일반적으로 주어진 전제의 가정에 근거하여 어떤 결론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사고의 과정
- 실제 사람들의 추리과정은 합리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음
1) 연역 추리 : 일반적 혹은 보편적 전제 사실에 근거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사고(하향적 추리)
2) 귀납 추리 : 확증되지 않은 전제 사실에서 결론을 유도해 내는 일종의 가설검증 사고(상향적 추리)
- 과거와 현재의 사건을 관찰하여 앞으로 일어날 불확실한 사건에 대한 추리를 해야 하는 경우. 앞으로 일
어날 사건에 대한 추리를 해야 하므로, 판단과 결정의 과정이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됨.
58
다음의 논리가 타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아래의 어떤 카드를 선택해야 하는가?
문제 : 만약 앞면이 모음이면 뒷면은 짝수이다.
E K 4 7
문제 : 만약 앞면이 맥주이면, 뒷면은 18세 이상이어야 한다.
맥주 콜라 22세 16세
5. 판단과 결정
- 판단하고 결정하는 사고의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전략 및 오류 : 판단과 결정의 과정에는 많은 사고의 전략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들 전략의 사용이 성공
적인 판단과 결정을 초래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는 것
① 도박자 오류 : 과거에 일어난 확률을 알고 있는 경우에 미래에 일어날 확률 판단에 오류를 범하는 경우
ex) 도박의 경우 대부분 무선적인 경우가 많지만 계속적인 시행을 거치면서 주관적인 확률 규칙을 만들게
되므로, 도박자가 코인을 넣을 때마다 이길 수 있는 확률은 매 시행에서 거의 동일하다고 봐야 함
② 적은 관찰 오류(가용성 오류) : 자신이 경험한 제한된 표집에 근거하여 전체 모집단의 성향을 판단하는
오류로, 자신이 경험한 한정된 표집 빈도의 기억에 근거하여 전체 사건 빈도를 추정하는 오류인 것
ex) 자신이 다니는 학과에 강원도 출신이 10명, 경기도 출신이 5명이라고 하면 강원도민의 수가 경기도민
의 수보다 많다고 생각하게 됨
③ 과신 오류 : 자신이 믿는 방향으로 판단을 결정하는 오류. 자신의 지식이나 신념과 일치하는 지에 따라
서 논리적 타당성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나타남
[믿을만한 논법] [믿을 만하지 않은 논법]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고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모든 사람은 도덕적이다
히틀러는 사람이다.
고로 히틀러는 도덕적이다.
- 판단과 결정이 논리적이고 합리적 기준에 근거하여야 한다고 생각하나, 자신의 기억, 태도, 믿음 및 경험
등이 판단과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흔하다.
◆ 정리하기
- 사고 : 기억에 저장된 지식정보를 사용하는 내적 인지의 과정
1. 개념과 범주
1) 위계성과 전형성
2) 고정관념
2. 문제해결
1) 기능적 고착 [던커의 양초 문제]
2) 창조적 문제해결
3. 판단과 결정
- 판단과 결정이 논리적이고 합리적 기준에 근거하여야 한다고 생각하나, 자신의 기억, 태도, 믿음 및 경험
등이 판단과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흔함
59
Chapter 7. 발달심리
title 1. 발달심리학
1. 발달심리학의 성격 : 제 2의 심리학
- 변화하는 심리현상을 ‘마인드의 변화’로 보고, 마인드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생명처럼 변화하고 진화하는
것으로 생각
- ‘마인드가 어떻게 형성되며 또 어떻게 나타나며 변화하는가’ 에 초점을 두고, ‘특정 행동과 심리과정이 어
떻게 출현하며 이것이 어떻게 변화하는가’ 에 관심을 두었다.
- 각기 다른 발달 시기에 어떤 마음의 변화가 있는지를 연구하기에 발달심리학이 심리학의 소우주 또는 제2
의 심리학이라 불리는 이유이다.
2. 발달심리학의 성립배경
1) 인간발달 : 천성과 양육 또는 유전과 환경의 문제
- ‘유전과 환경(nature-nurture)’, ‘성숙이나 경험’, ‘본능 또는 학습’ 간의 논쟁
① 경험론자인 로크는 인간 발달에 미치는 양육(외적 힘)의 영향을 강조
② 자연주의자인 루소는 태어나기 전부터 가지는 소질(내적 힘)을 강조
2) ‘발달’ 현상을 연구한 사람
- 프레이어(1882) : 발달심리학의 발전과 보급의 중심인물, 발달심리 연구를 태동시킨 선구자이자, 현대의
개체발생 심리학을 발전시킨 최대 공로자
- 비네, 프로이트, 게젤, 발드원 : 현대 발달심리학의 창시자가 됨
(1) 다윈의 진화론
- 다윈의 ‘생물은 창조되는 것이 아니고 변화하고 진화하는 것’이라는 생각은 발달이라는 개념에서 마음의
진화를 연구하는 기초 원리가 된다.
- 급진적인 진화론에 기초한 아동관 : 인간을 포함한 동물종의 발달은 점진적이고 연속적인 동시에 순응
적인 과정이다.
- 인간의 기원은 아동을 연구함으로써 가능하다는 생각이 발달심리학 연구의 토대가 된다.
(2) 프레이어(Preyer)
- 영아기와 유아기 초기의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감각, 운동 활동, 표현, 정서, 언어, 사고를 어른과 비교
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1950년대 아동 심리학 교과서의 토대가 되었다.
ex) 어른은 색을 보지만, 아동은 언제부터 그러한 색을 볼 수 있는가? 어른은 이야기를 하지만 아동은 언
제부터 이야기를 하는가 등
(3) 홀(Hall)과 비네(Binet)의 아동연구운동과 지능검사
▶ 홀(Hall) : 아동연구운동
- 발달을 아동기뿐 아니라 생애발달로 보고, 인생을 ‘유아기, 아동전기, 아동후기, 청년기, 성인기’의 다섯
개의 발달단계로 설정하였다.
- 기본적 발상은 ‘인간은 수정에서 출생까지 하등동물로부터 인간 유아로 인류의 진화적 진전을 반복한다.’는
헤겔의 진화재현설에 바탕을 두었다. 청년기를 괴테나 밀러의 문학작품에서 빌려와 ‘질풍노도기’라고 보았다.
60
비조직적인 관찰과 주관적인 해석으로 - 비판을 받고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아동연구는 지능연구의 도입으
로 시작되었다.
▶ 비네(Binet) : 지능검사
-프랑스 정부는 보통지능의 아동과 지능발달이 지체된 아동을 구별해야 하게 되어 심리학자 비네에게 위
촉하였다.
- ‘개인차’ 가 심리학의 주요 연구 과제라는 사실을 선언하면서 그것은 지능의 개인차를 측정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믿었으나, 비네의 지능연구는 발달이론과 관계없이 이루어졌다.
(4) 최초의 정신발달 이론가 : 볼드윈(Baldwin)
- ‘사고의 발달’이 ‘학습 과정’이라는 선구적인 생각으로 나중에 피아제가 사고(정신)의 발달, 즉 인식의
발생과정을 탐구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 순환반응 : 어린 아동은 최초로 경험한 자극의 쾌감을 재현시키기 위하여, 이 자극을 환기하는 반응을
스스로 반복함
- 유기체적 선택 : 순환반응에 의해 여러 가지 활동 가운데 그 사태에 가장 적합한 활동이 선택되는 것.
이것에 의해 아동은 새로운 자극에 대해 조절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유기체적 선택설은 한 세대에서 다
음 세대로 어떤 일정한 방향으로 변이가 일어나는 것을 설명함
(5)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 ‘어린 시절 경험이 성인기의 심리에 영향을 미친다.’는 아동 성욕론에 바탕을 두고, 아동기의 성적 경험
은 어른이 되고 나서의 성격의 기초가 된다고 보았다.
- 프로이트의 기여
* 발달이 이루어지는 강력한 요인으로 무의식을 언급 → 발달단계, 정신구조, 무의식의 동기유발, 초기
경험의 효과 등의 다양한 개념이 도덕성, 성의 표현, 동일시, 가족 역학, 애착, 공격성, 의존성 등의 다양
한 발달 개념으로 발전하게 만듦
* 프로이트는 인지발달 연구에 중요한 기여와 비판을 한 사람으로 인지발달 연구에서 정서와 동기유발의
측면을 새롭게 인식하게 만듦 → 대부분의 사고는 아동 자신이 느낄 수 없으므로 정서에 지배되기 때문
에 아동의 생각은 종종 왜곡된다는 사실을 지적
* 교양 있는 사람들의 육아관에 영향 → ex) 생리적 통제기제의 발달이 불충분한 시기에 억지로 아동의 행
동을 통제하거나, 벌이나 강요와 같은 엄격한 규율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함
(6) 아동양육과 개인발달 평가를 한 게젤(Gesell)
- 성숙은 모든 새로운 기능과 재능의 출현을 지배하는 내적인 조정 기제, 연령의 진행과 함께 나타나기도
하고 없어지기도 함 → ‘성숙’을 확인하기 위해 아동행동발달에 관한 ‘표준’을 설정하여, 영아의 행동발달
을 관찰하면서 발달척도를 작성 → 표준발달진단을 통해 여러 형태의 아동에 대한 소아과적인 진단
- 이론의 정밀함보다는 실용적 가치로 인정받았으며, 교사와 부모를 위한 아동발달 기준을 제시하였기에
오늘날 아동학 연구의 토대가 되었다.
3. 아동연구에서 발달 심리학으로
1) 미국의 발달심리학 : 아동 실험심리학 (1960년대)
- 미국에서의 발달심리학 존재이유는 아동양육과 아동교육을 위한 응용
- 스키너 : 강화이론을 제시하여 아동은 조작적 조건형성의 전문가인 ‘행동기술자’에 의해 길러지거나 강화
되어야 한다고 주장 ex) 자제심과 독립심 같은 행동특징은 강화되고, 질투나 비능률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특성은 단절되어야 한다.
- 반두라 : 학습원리를 모든 인간행동에 적용하듯이 아동에게도 적용하고자 함 ex) 모방이나 타인으로부터
의 교시, 또는 강화에 의한 대리학습이 바로 발달 현상이라고 봄
61
학습에 관한 실험연구는 인간발달의 주요 - 요인을 탐색하는 데 기여하였지만, 발달적 변화를 기억이나 정
보처리와 같은 아주 제한된 영역에 머물게 하였다는 한계가 있음
2) 피아제의 발달연구 : 지능과 적응 (1960년대 후반)
- 인간의 발달과정은 단순한 행동의 습득이나 특정 정보의 수용에만 있지 않으며, 자신이 살고 있는 세상
에 대해 새로운 인식과정인 ‘적응과정’이 있다고 봄
- 학습을 행동주의적으로 정의하다가 인지론적으로 정의하게 되는 큰 전환점 : ‘자극-반응의 심리학’과는
인연을 끊고, ‘구조와 규칙에 대한 심리학’을 지지하는 기반을 가짐
- 가설-생성적인 개체 : 아동은 자극에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생물체가 아니라 그들이 생활하는 환경을 구
축하는 데에 적극적임
- 피아제 : 생물학적-진화론적인 개념을 이용하여 인지와 지능에 관한 ‘발생적 인식론’을 체계화 함 → ‘발
달단계 또는 수준’이라는 생각들이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였으며, 복잡한 발달현상이 다양한 발달수준으로
구분되는 방식과 아동의 성장과 더불어 나타나는 학습의 질 변화가 인정된 것
▶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의 핵심
① 인지는 모든 생물계를 통해 나타나는 유기체와 환경 간의 하나의 ‘순응 형식’(adaptive format) : 인지
는 일종의 생물학적 적응과정이며, 모든 유기체는 태어나면서 환경에 순응하는 경향을 가지며, 순응의 형
태는 동물종이나 개체, 성별, 발달단계에 따라서 서로 다르다.
② 인지는 ‘동화’와 ‘조절’이라는 방법을 통해 진행된다.
* 동화 : 외적인 사상을 자신이 현재 가지고 있는 구조에 합치시키는 것을 의미
* 조절 : 외적인 사상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구조를 변화시키는 것
→ 적응 : 자기의 구조에 대한 외부의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동화)와 외적 사상에 따라 기존의 구조를 수
정하는 것(조절)로 구성된다.
- 피아제에게는 인지적 적응도 생물학적인 순응과 마찬가지로 동화와 조절 간의 균형화이며, 동화와 조
절의 비율은 발달단계에 따라 다르며, 발달단계의 변화는 균형화의 결과이다.
* 동화가 조절보다 훨씬 많이 일어난다면 사고는 자기중심적 내지 자폐적인 방향으로 발전한다.ex) 상징
놀이, 허구성 게임 등
* 조절이 동화보다 우세하면 행동은 모델이 되는 사물이나 행동을 그대로 따라한다.
ex) 모방
- 발달단계의 향상 또는 인지발달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은 행동으로 직접 나타나는 모방이 점차 지연반
응으로 변화하면서 모방행동이 내면화·상징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3) 마인드의 재발견 (1970년대)
- 피아제 이론의 핵심 : 아동이 자신의 행동과 물질 세계가 어떤 관계를 맺는지를 이해하려는 지적인 노력,
즉 개인이 스스로 확장된 세계에서 의미 있는 틀을 찾고 만들어 간다.
- 인지(지적)발달 : ‘아동이 주체적인 조작 활동을 통해 자신의 인지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지식은 주체
와 객체 사이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생겨나는 것이며, 주체가 어떻게 해서 점차로 객체를 알게 되는가를 분석
하는 것 → 지식을 자기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점차 객체에 접근하는 일련의 주체적 활동이 필요하다.
- 지능이 발달한다는 것 : ‘내적 심리구조’ 즉, 인지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이며, 아동에 의해 복잡해지는 방
향으로 구성될 뿐 아니라, 각 단계마다 재구성되며 정교해진다.
- 구조가 형성되는 과정 : 개인이 객체에 대해 수행한 행동이 개체에 피드백을 주고 이것에 의해 다시 그
유기체의 행동이 수정되면서 그 객체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인간은 자신의 발달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수동적 존재가 아니다.
62
4) 동물행동학과 진화 심리학 : 생태환경, 문화의 영향
- 발달심리학은 역사적으로 진화생물학의 영향을 많이 받아, 생물의 특성과 개체적인 유기체의 심리를 연
결시키려는 ‘인간 진화과정의 적응기제’를 발견하고자 했다.
- 볼비의 애착이론 연구 : 볼비는 진화적 입장에서 발달현상과 동물행동학을 연결시킨 영국의 정신분석학
자이다. “양육자에 대한 ‘애착’은 무력한 영아를 포식동물로부터 보호하고, 비바람에 바래지 않도록 하여,
유기체의 생존을 도와주었기에 진화해 올 수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 정리하기
- 발달심리학의 성격 : 제2의 심리학
1. 발달심리학은 어떻게 성립되었나?
1) 인간발달 : 천성과 양육 또는 유전과 환경의 문제
2) ‘발달’ 현상을 연구한 사람
- 프레이어(1882)
- 비네, 프로이트, 게젤, 볼드윈
2. 아동연구에서 발달 심리학으로
1) 미국의 발달심리학 : 아동 실험심리학 (1960년대)
2) 피아제의 발달연구 : 지능과 적응 (1960년대 후반)
3) 마인드의 재발견 (1970년대)
4) 동물행동학과 진화 심리학 : 생태환경, 문화의 영향
title 2 발달심리학의 주요 연구주제
1. 인지발달과 사회 행동
- 심리학의 궁극적 목적은 총체적 인간 심리나 행동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이들 세부 영역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
고자 하며,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발달의 요소들은 독립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인식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 유아의 지각과 지식의 발달
1) 지각발달
- 유아들은 태어났을 때, 자극에 감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으며, 이들 감각들 중 발달의 측면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것이 시각적 감각이다.
① 형태재인
- 어린 유아들은 같은 종류의 자극형태를 좋아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이미 보았던 것 이상의 새로운 형
태도 좋아한다.
- 격차원리(제롬 케이간1972, 1984) : 유아들은 익숙해진 것들과는 다른 무언가의 대상에 더 많은 흥미
를 가지고 있다는 제안함. 유아들은 활발하게 물체의 특별한 카테고리들의 정신적인 개념들 또는 도식들
을 만든다. 이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도식들을 확장시킬 수 있는 대상들에 가장 흥미를 느낀다.
② 높이지각에서의 운동경험의 역할
- 생후 1년의 후반기 이후부터 아기는 여러 가지 비사회적인 대상이나 자극에 대해서도 정서반응을 보이
기 시작한다. ex) 고소 공포
63
- 아기가 깊이지각 능력을 획득하더라도 이 깊이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지 못하는 일종의 발달적 격차(decalage)
현상에서 초기에 경험하는 깊이지각은 아무런 두려움의 의미도 가지지 않으나, 아기가 움직일 수 있게 되고, 또
떨어져 본 경험을 가지게 된다면 깊이는 위험에 대한 중요한 단서가 되어 공포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2) 초기 지식의 발달
- 물체를 지각하는 것은 물체의 감각적 경험을 물체에 대한 내적 표현인 범주 또는 도식과 조화시키는 것이
므로, 지각은 지식을 요구한다. → 어린이의 활동적 선택과 움직임들은 그들의 지적 성장에 중요하다.
① 탐색행동과 인지발달
- 탐색행동에 관한 연구 : 유아들이 자극과 그들 자신의 생득적 움직임간의 관계에 특히 관심을 가진다.
ex) 2개월 된 아기들은 스스로 통제하지 못하는 물체 속의 움직임보다는 그들 자신이 스스로 운동을 통제
할 수 있는 모빌과 같은 것에 더 흥미와 기쁨을 보임
- 발생인식론(피아제) : 아이 스스로가 지식을 찾고 만들어가는 사람이다.
- 감각운동기(피아제) : 유아가 사물에 눈을 맞추거나, 빨거나, 붙잡는 행동 등에서 가장 기본적인 지적 발달이
시작된다. 이 단계에서의 지식은 유아들의 행동으로부터 일어나는 직접적인 감각 피드백과 물체를 향한 운동행
동이며, 유아가 행동을 하고 그 행동의 결과가 또 다른 반복적 행동을 보이게 하는 ‘순환적 행동’을 가져오다.
- 스키마(셰마, schema) : 반복적인 행동을 통해 정신적 도식을 수립한다. 특정 사물이나 개념을 나타내
는 지각적 형태의 도식적인 정신형태로 피아제는 스키마의 개념을 유아의 행동과 연결시킨다.
- 같거나 유사한 물체에 대한 반복되는 순환적 활동은 유아가 그 대상에 대한 행동 형태의 스키마를 만들
수 있게 한다. ex)엄마 가슴, 엄지손가락, 고무젖꼭지→빨기 스키마 형성
- 스키마의 발달로 아이들은 물체가 없어도 명백한 움직임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사고를 시작한다.
② 세상의 인지관점 : 대상영속성의 발달
- 대상영속성 : 물체를 발견하는 능력은 잘 발달된 지각능력, 한번 발견된 물체를 인식하는 능력뿐만 아니
라 물체가 보이지 않을 때 마음속에 물체를 유지하는 능력이다.
- Piaget의 연구결과 : 유아나 아동이 특정 능력을 표현하는 시기가 있다.
3. 논리적 사고의 발달 (Piaget의 연구)
1) 아동의 추론과 사고능력
- 성인의 정신 특히 세상에 대해 객관적으로 추론하는 성인의 능력이 아동기의 초보적인 능력에서 어떻게
더 발달해 가는가를 이해하기 위해 특정한 문제를 아동에게 제시하여 풀기를 요구하거나 아이들이 제시한
해결책에 대한이유를 설명해 보도록 한다.
(1) 자기중심성 : ‘이기적’이란 의미는 아니고 어린 아동이 타인의 관심을 수용할 수 없으며, 다른 사람들이 보거
나 아는 것이 자신이 보거나 아는 것과 반드시 같은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 피아제의 세 산 모형 : 아이들은 앉은 위치에 따라 크기가 서로 다른 세 산의 모습을 위에서 보도록
하고 나서 다른 쪽에 앉아 있는 아이가 보는 산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를 고르게 한다. - 대부분의 4, 5세
아동들은 정확한 그림을 택할 수 없었다.
64
보존개념 아동은 물질의 표면적인 모습의 변화가 (2) : 그 물체의 양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보
존’의 원칙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한다. 어떤 물체가 있다면 그 물체가 눈에서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여전히
같은 크기라는 원리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보존개념]
(3) 인과관계 : 아주 어린 아동은 성인처럼 인과적 관계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한다.(Piaget. 1926. 1927)
[Piaget는 실험] 7, 8세경의 아동들에게 “왜냐하면”이라고 끝나는 문장을 주면서, 주어진 문장에 대한 이유
를 달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 결과 아동들이 주어진 문장의 내용과 일치하는 순서대로 대답을 못하였다.
(4) ‘과학자’로서의 인간발달 : 가설-연역적 추론
- 가설을 생성하고 체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능력은 아동이 약 11세에서 13세가 될 경우에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 9살 아동과 13세 아동사이의 주된 차이 : 어린 아동은 “현재 있는 것”만 생각할 수 있지만 나이든 아동
의 경우에는 “가능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65
2)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는 ‘정신은 구체적인 행동특성을 가진 스키마에서부터 보다 정교하고 추상적인 사고가 가능한 새로
운 스키마를 형성하게 하는 여러 단계를 거쳐 발달한다.’고 주장했다.
▶ 인지발달의 구조(4단계론)
- 어떤 사람도 이전 단계를 거치지 않고 다음 단계로 나아가지 못하며, 비록 각 사람마다의 차이는 있지만
이 단계의 순서는 불변하다고 봄
감각운동기
(출생~2세)
아동의 사고 : 유아가 대상에 대해 보여주는 실제 행동에 국한되어 있음
주요과제 : 이런 행동의 schema를 내재화하고, 실제 근육의 움직임없이 순수하게 정신
적으로 이 행동을 일으킬 수 있음. schema가 점차로 내재화됨에 따라 유아는 현재 눈에
보이지 않은 대상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으며, 어떤 목표지향적인 행동이 가능. 상징적
단어 사용 가능
전조작기
(2~7세)
대상이나 사건의 고정적인 특성을 상징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되므로, 아동은 보이
지 않은 사물을 생각할 수 있게 되며, 사물들을 나타내는 새로운 상징을 만드는 것을 즐
거워하기도 함. 대상의 특성에 대해 알 수는 있지만 그 대상에 대해 자신이 가할 수 있
는 어떤 행동들(조작)에 관해 논리적으로 생각할 수는 없어 보존과제 실패하게 됨
구체적조작기
(7~12세)
조작 : ‘가역적인 행동’ 즉 다른 행동에 의해 취소될 수 있는 행동
이 단계에서부터 아동은 점차로 구체적인 행동을 정신적으로 표상할 수 있는 schema를
가지게 되며, 이 능력은 새로운 추론능력을 발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보존개념에 대
한 분명한 이해가 가능하고, 상대방이 보는 행동을 자신의 관점으로 돌려보는 조망수용
의 경험이 가능하다. 하지만 여전히 아동의 사고와 정신적 조작은 구체적으로 눈에 보이
는 사물이나 현상에 국한되어 있음
형식적조작기
(12세 이상)
거의 청소년기가 시작될 때부터 시작됨
이 단계에서의 schema는 구체적인 경험과는 독립되어 추상적 개념이나 사상적 생각에
대해 추론할 수가 있게 된다. 실제 경험에서는 가역적이지 않더라도 이론적으로 가능한
것에 대해서는 조작적 사고를 적용할 수 있고, 형식적 내용을 지닌 수학이나 이론적 과
학이 이 시기부터 가능함
3) 인지구조의 발달 : 스키마의 변화
- 각 단계에서의 아동 자신의 행동과 사고는 그 단계에서 지배적인 스키마를 계속적으로 확장하여 뻗어나
갈 수 있게 하여, 결국에는 다음 단계로의 급격하게 변화하는 전이가 이루어진다.
- 스키마의 변화 : 동화와 조절로 이루어진다.
- 동화 : 새롭게 이루어지는 경험들이 기존의 스키마에 통합되어지는 과정. 새로운 대상을 경험하여 기존의
schema에 맞출 수 있게 되면 그 대상을 동화시키게 된 것이다.
- 조절 : 기존의 schema에서 일어나는 변화인데, 이는 동화의 결과로 발생하게 된다. 기존의 스키마와 완전히
일치하는 자극은 거의 없으므로 기존의 정신구조는 어느 정도 수정되어야 한다. 이런 수정이 조절이다.
4. 피아제 이론의 응용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도덕적 딜레마에 대한 이야기 : 어떤 약사가 어떤 병을 치료할 수 있는 약을 개발하였는데, 그 약사는
약값으로 2,000달러를 요구했다. 남편은 모을 수 있는 돈을 모았으나 2,000달러가 되지 않았다. 남편
은 약사에게 나머지는 외상으로 하고 약을 팔도록 부탁하였으나 약사는 이를 거절했다. 자포자기를 하
게 된 남편은 그 약국에 침입하여 약을 훔쳤다.
→ 남편의 행위가 옳은지 그른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답하도록 요구함
66
전인습적 수준 처벌에 1) : 대한 공포와 이득을 얻으려는 욕구가 좌우하는 기본적 도덕성
1단계 - 처벌과 복종지향 : 행위 결과 따라 옳고 그름을 결정한다. 처벌을 피하거나 권위에 무조건인
복종 자체가 도덕적 가치이다.
2단계 - 도구적 상대주의 지향(쾌락주의) : 자신이나 타인의 욕구를 도구적으로 충족시키는 것이 옳은
행위이다. 공정성, 상보성, 분배의 평등성을 인식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가 나타나지만 궁극적으로는 이
득이 돌아오리라는 희망 때문이다.
2) 인습적 수준 : 인습에 따라 선악을 정의하는 단계로 타인의 승인이나 사회적 질서유지를 위해 규칙
과 사회적 규범을 따른다. 집단에 동일시 충성하고 사회적 칭찬과 비난에 대한 회피가 도덕적 행위의
동기이다.
3단계 - 대인간 조화/착한 소년소녀 지향 : 타인을 기쁘게 하거나 돕고 인정받는 행동이 옳다. 행위의
도를 고려해 평가한다.
4단계 - 법과 질서 지향 : 법과 규칙이 사회질서를 유지한다 믿어 법적 규칙을 따른다. 권위, 고정된
규칙, 사회질서를 지향한다.
3) 후인습적 수준 : 정의의 원리에 의해 옳고 그름 판단한다. 도덕적으로 옳은 것과 법적 타당성은 항
상 같지 않다.
5단계 - 사회적 계약지향 : 개인의 권리 존중하고 사회 전체가 인정하는 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옳은
행위하다. 법은 개인의 자유 규제가 아닌 극대화 위해 제정되었고 사회적 약속은 대다수 성원의 이익
위해 바뀔 수 있다. (도덕적 융통성)
6단계 - 보편적 윤리지향 : 옳고 그름은 개인의 양심에 비추어 판단한다. 양심의 원리는 구체적 규율
이 아니고 추상적 보편적 정의와 개인의 권리에 대한 원리이다. 사회적 처벌 보다 양심이 가하는 처벌
이 더 고통스러운 이상적 단계이다.
- 콜버그의 수준과 연령 사이에는 대략적 상관관계가 존재하나, 최고 수준에 해당되는 답을 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하다.
- 한계 : 도덕적 원리를 기술하는 개인의 능력에 관한 것일 뿐, 개인의 실제 행위는 이와 다를 수 있다.
◆ 정리하기
1. 유아의 지각과 지식의 발달
1) 지각발달
2) 초기 지식의 발달
2. 논리적 사고의 발달 (Piaget의 연구)
1) 아동의 추론과 사고능력
2)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3) 인지구조의 발달 : 스키마의 변화
3. 피아제 이론의 응용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1) 기본적 도덕성
(2) 인습에 따라 선악을 정의하는 단계
(3) 자신의 것으로 내재화된 도덕적 원리가 존재하는 단계
67
title 3 발달심리의 확장
사회 및 정서 발달과 청소년기와 성인발달
1. 사회 및 정서 발달
- 사회발달이란 사회적 관계를 이루는 사람의 역량발달을 말하며, 이런 관계가 계속적으로 발달하게 되는 것을 의미
- 유아기 : 신체적으로 정서적으로 돌보아 주는 사람에게 의존
- 아동기 : 다른 아이와 어울리는 것이나 사회의 규칙과 규범을 지키는 것을 배우게 됨
- 청소년기 : 낭만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게 되며, 인생의 가치와 미래의 계획을 의식
- 성인가 : 가족과 타인을 위한 역할을 수행
1) 유아기의 사회발달
(1) 신체적 접촉의 중요성
- 르네 스피츠는 1940년대 미국과 캐나다의 고아원에 있는 유아들의 발달 연구 : 충분한 음식과 청결상태
가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발달이 부진함을 발견함
- 존 볼비의 애착이론 : 존 볼비는 유아가 그들의 주 보호자와 형성하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정서적 유대를 애
착이라고 명명함. 르네스피츠의 발견을 설명하기 위해, 어린 아동이 자신들의 물리적 필요뿐 아니라 정서적 필요
에 민감하게 반응해 주는 한두 명의 성인과의 의존적인 관계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발달이론을 제시함
- 해리 할로우(Harry Harlow)의 실험
① 새끼원숭이들을 어미로부터 떼어 내어 각기 다른 우리에서 기름
② 한 원숭이는 철사로 만들어져 있으나 젖꼭지가 있는 인형과 하나는 두터운 담요로 만들어져 있으나 젖
꼭지가 없는 대리 엄마를 줌
③ 실험결과 : 담요로 된 인형에 더 많은 시간 매달려 있음
④ 실험분석 : 먹이가 아닌 접촉위안(contact comfort)이 어린 원숭이가 어미에게 형성하는 애착에 더 중
요한 변수라고 결론을 내림
- 접촉의 중요성 : 티파니 필드와 그의 동료들의 실험에서 인큐베이터 속에서 정기적인 치료만을 받은 미숙아
집단과 그런 치료에 부가하여 하루에 45분씩 약 10일 동안 손으로 마사지를 받은 미숙아 집단을 비교하였다.
주어진 음식의 양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마사지를 받은 유아는 거의 50%이상의 몸무게가 증가하였으며, 더
욱 활동적이고 더 성숙된 운동협응능력을 보여 다른 집단의 유아에 비해 평균 6일 먼저 퇴원하게 됨
(2) 기질과 성격특성의 발달
- 기질 : 각 개인에게서 분명히 구분되며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정서 반응으로 선천적으로 다고 태어나는
생물적 또는 생리적 특성이다. 기질은 사람들의 행동 특성이나 정서발달에 분명한 개인차를 일으키고, 인생
의 초반에서부터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 기질이 독특성과 개별성에 대한 기초를 제공해 준다고 하더라도 기질적 특징의 궁극적 중요성은 이런 기
질적 특징들이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 영향을 주는 방식에 달려 있다.
68
특정한 기질적 특징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 결과는 어떤 것도 객관적이거나 미리 결정되어 있지 않
다. ex) 생생함과 활기는 어떤 사회적 맥락 속에서는 높이 평가될 수 있지만, 다른 사회적 맥락 속에서는
불안정함과 공격적 행동으로 낮게 평가될 수 있다.
- ‘환경이 동일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라는 지능과 달리 성격의 경우 동일한 발달 경험에 대해 아이마다
다르게 반응한다. ex) 한 아이에게 아주 재미있고 자극적인 경험이 다른 아이에게는 아주 힘들도 나쁜 경험
이 될 수도 있다.
2) 사회 및 성격발달 : 애착과 사회성 발달
(1) 유아 애착 행동의 초기 표현
- 주 양육자에게 분명한 애착을 보이는 것은 대략 7, 8개월경부터 나타난다.
- 진화론적 관점 : 혼자 있게 되거나 낯가림에 대한 두려움은 유아가 기기 시작하는 시기와 일치한다.
- 인지발달의 측면 : 애착행동의 출현은 유아가 세상에 대한 이해를 발달시키는 것, 특히 친숙하고 안전한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을 구분할 수 있게 되는 것과 관련 있다.
(2) 낯선 상황 : 애착 행동의 측정
- 어린 유아에 대한 어머니의 즉각적인 반응이나 민감성과 나중의 안정적인 애착의 정도와의 사이에 유의
미하게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 에인스워스의 ‘낯선 상황 검사’ : 친숙하지 않은 상황에 유아를 두고 미리 계획된 방식으로 엄마나 친숙한 보
호자가 같이 있거나 없거나 하면서 낯선 사람이 들어왔을 때와 나갔을 때 유아가 보이는 불안행동을 측정한다.
① 안정 애착 : 낯선 상황에서도 엄마가 같이 있을 때 활달하게 놀았으며, 적극적으로 탐색한다. 엄마가
없거나 낯선 사람이 같이 있을 때는 약간 놀라며 탐색 행동이 줄어든다. 다시 엄마가 돌아오면 엄마에게
적극적으로 접근하여 접촉한다.
② 불안정 애착 : 엄마가 같이 있더라도 낯선 상황에서 더 놀랐으며 엄마가 돌아오면 적극적으로 접촉하
려고 하지도 않고 거부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3) 에릭슨(Erikson)의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
- 정신분석적 모형에서 발달된 것이나 전 생애를 통한 발달이라는 점과 자아를 성격의 중심적 구조로 보고
있다는 점에서 프로이드와 구분된다.
- 프로이드가 삶의 원동력을 원초아로 보는 데 비해 에릭슨은 자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자아는 사회화
과정, 사회와의 관련성을 전제로 한다.
- 인간을 제대로 파악한다는 것은 개인과 사회와 시간성의 관계를 이해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고 보는 것
이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이다.
- 발달이란, 개인의 심리적 발달과 개인이 만든 사회적 관계들이 병행하여 성장해 나가는 이중적 과정이다.
- 심리사회적 발달은 8단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마다 부과된 사회적 요구(발달과업)가 따르고 이 요구는 하나
의 위기로 해결 여부가 개인에게 인생의 전환점이 된다. 성공하면 성숙하고 실패하면 왜곡된 성장을 하게 된다.
69
- 성격의 점진적 발달
단계 심리 사회 바람직한 결과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
생후1년 신뢰감 vs 불신감
환경과 다가올 사건들을 믿음
다가올 사건에 대한 의혹과 두려움
생후2년 자율성 vs 수치와 의심
자기 통제감과 자기 효능감
수치심과 자기의혹
3~5세 주도성 vs 죄책감
자신의 활동에서의 자율감
죄책감과 부족감
6~사춘기 근면성 vs 열등감
사물을 이해, 조직하는 능력
이해, 조직하는 데 열등감
청년기 자아정체성 vs 역할혼미
자기정체성의 확립
자기가 누구이며 무엇인가에 대해 혼미
성인 초기 친밀감 vs 소외(고립)감
타인을 위해 봉사, 사랑할 수 있는 능력
애정 관계를 형성하지 못함
중년기 생산성 vs 침체감
가정과 사회에 대한 책임감
자신의 복지와 번영에만 관심있음
노년기 자아통합성 vs 절망감
통합과 성취감 속에 기꺼이 죽음을 직면
생에 대한 불만과 죽음에 대해 낙심
(4) 자아의 표현과 자아 정체성
- 정체감 = 심리사회적 정체감(객관적 측면) + 개별적 정체감(주관적 측면)
- 심리사회적 정체감 : 개인이 속하고 있는 귀속감 또는 일체감을 의미 ex) 나는 한국 사람이다. 나는 **대
학의 학생이다.
- 개별적 정체감 : 집단적인 정체의식 속에서도 개인이 자신은 타인과 다른 고유한 존재라는 의식을 갖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 개별적 정체감 = 개인적 정체감 + 자아정체감
- 개인적 정체감 : 시간이 흐르거나 상황이 바뀌어도 자기 자신이 동일한 존재라는 자기동질성과 자기연속
성에 대해 지각한다. ex) 상황이 바뀌고 시간이 지나도 ‘나는 홍길동이다’라는 자기 존재에 대한 인식으로,
우리에게 안정감의 근원이 된다.
- 자아정체감 : 보다 넓은 의미를 내포하는 것으로 자기동질성과 자기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사회적 상호작
용 속에서 다양한 충동과 욕구, 능력, 역할, 가치 등을 통합하여 추출해 낸 통합된 자기구조 내지 자기참조
적 심상들을 자아정체감이라고 한다.
- 자아 정체감은 개인을 과거에서 현재와 미래로 연결해 주는 연속성 내지는 동질성을 내포하고 있는 동시
에 또 개인을 타인과 구별해 주는 독특성도 지니고 있다.
2. 청소년기와 성인발달의 인식
1) 청소년기의 심리적 특성
- 청소년기 : 자신이 누구며,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사고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
회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만드는 시기
(1) 과도기적 심리 전환
- 복잡한 기술사회가 사회적, 경제적 독립과 성인 사회에서 입문 시기를 늦추어, 청소년기의 의미는 현대사
회에서 더 크게 부각된다.
- 과도기가 언제, 그리고 어떻게 끝나는가는 문화적 전통이 큰 구실을 한다.
70
(2) 개인의 정체성의 발견
- 정체감 위기 : 에릭슨에 따르면 성인에게서 분리되려는 것은 청소년들이 진실로 성취하려 하는 바의 한
가지 표현일 뿐이다. 이 시기의 주요 목표는 자신이 진정 어떤 존재인가를 알려는 그들 나름의 정체성을 찾
으려는 것이다.
2) 성인기의 발달적 변화
- 복잡계(complex system)로서의 인간발달을 의미한다.
- 인간발달은 전 생애를 포괄하여 생명의 시작에서부터 죽음까지 계속되며, 노년기에 이르기까지의 하강적
변화까지도 발달에 포함된다.
발테스(Baltes, 1987)의 전 생애 접근법의 특징
다중방향성
* 모든 연령단계에서의 발달 : 성장과 함께 감소도 포함하는 ‘적응을 위한 다양한 변화’
* 인간발달의 어떤 단계에서도 성장과 감소가 있으며, 같은 연령대에서도 개인차가 있다.
가소성
인간이 가진 행동과 심리적 특성에서의 ‘변화 가능성’을 의미한다. ex) 지적 능력을 상실
한 노인도 특별한 훈련과 연습을 통해 어느 정도 회복 가능
역사적・사회적 맥락 발달과정에서 인간은 역사적․사회적 환경과 영향을 주고 받으며, 사회적 변화에 의해 인
간발달이 영향을 받기도 하고, 환경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ex) 대공황이 아동발달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다학제적 접근
인간발달에 대해 어떤 특정 학문이 완벽하게 설명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인간발달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기 시각이 다른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 간의 다학제적 접근
이 필요하다.
- 인간 발달의 각 단계는 이전 단계에 의해 영향을 받고 이후 단계에 영향을 미치며, 각 발달단계는 나름
대로 독특한 가치와 특성을 지닌다.
◆ 정리하기
1. 사회 및 정서 발달
1) 유아기의 사회발달
(1) 신체적 접촉의 중요성
(2) 기질과 성격특성의 발달
2) 사회 및 성격발달 : 애착과 사회성 발달
(1) 유아 애착 행동의 초기 표현
(2) 낯선 상황 : 애착 행동의 측정
(3) 에릭슨(Erikson)의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
(4) 자아의 표현과 자아 정체성
2. 청소년기와 성인발달의 인식
1) 청소년기의 심리적 특성
(1) 과도기적 심리 전환
(2) 개인의 정체성의 발견
2) 성인기의 발달적 변화
71
Chapter 9. 동기와 정서
title 1. 동기와 동기의 구성요소
1. 동기란 무엇인가?
- ‘동기’(motive)의 어원 : ‘움직인다’(movere) 과연, 무엇을 움직이게 하는가?
- 동기의 기능 : 행동하게 하는 힘의 근원(각성상태 : 유기체의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생리적 에너지)으로서
의 기능과 행동을 조절하는 힘을 가진 행동의 조절자로서의 기능
▶ 동기
- 사람을 특정방향으로 움직이게 만드는 내적과정
- 행동을 시작하게 하고, 방향을 결정하고, 끈기와 강도를 결정하는 힘으로 이와 관련된 개념으로 욕구
(need), 추동(drive), 동기화 또는 동기유발(motivation)이 있으며, 이 세 가지 개념은 서로 연관성을 가짐.
- Hull(1943) : 욕구란 생리적 혹은 심리적인 상태로 개인을 목표로 향해 움직이도록 만드는 일종의 내적
결핍상태로, 이 욕구상태는 내적 불균형 상태를 초래하므로 생체항상성을 깨뜨림 → 모든 유기체는 생체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본능 때문에 회복의 노력을 함 → 추동은 이러한 욕구발생의 결과로 생기는 관찰 가
능한 행동의 변화 → 동기는 행동이 대상을 향하게 하거나 멀리하게 만드는 추동
① 동기(Motivation) : 사람을 특정방향으로 움직이게 만드는 내적과정
② 욕구(Needs) : 바람직한 신체적, 심리적 상태에 도달하고자 하는 소망 (욕구는 동기와는 달리 목표지
향성가지고 있지 않음)
③ 추동(Drive) : 욕구에 의해 유발된 심리적 긴장과 각성의 상태로 그 긴장을 해소시킬 수 있는 행동을
하도록 만듬
ex) 체내에 수분이 부족하면 물을 마시고 싶은 욕구 → 물을 찾아 움직이는 추동 → 물을 마시는 행동
의 직접적인 원인인 동기를 유발시킴
- 욕구, 추동, 동기는 상태를 의미하며, 행동으로 나타나는 과정을 동기화 또는 동기유발
2. 동기의 근원
- 내재동기 : 힘의 근원이 내부의 흥미, 호기심, 의지, 사고 등에서 오는 것임을 강조
- 외재동기 : 외적인 보상이나 벌, 혹은 강압 등에서 오는 것임을 강조
3. 인간 동기의 구성요소
1) 생물학적 요소
▶ 행동생물학 : 행동이란 유전구조의 산물로, 유전자가 지시하는 대로 행동을 시작하고 방향을 결정한다고
가정. 때로는 폐쇄적 프로그램이 아닌 개방적 프로그램을 따르는 경우도 있다고 보며, 학습의 영향을 받는
정도의 차이로 보기도 함.
▶ 행동신경과학 : 두뇌의 아편, 엔돌핀을 분비하는 보상중추가 동기와 관련된다고 주장.
2) 학습된 요소
- 성장하면서 서서히 획득되는 추동, 즉 권력, 성공, 성취에 대한 욕구 등과 관련된 것이다. ex) 강화, 보상
등은 행동의 근원이 되는 동기의 학습된 요소
72
3) 인지적 요소
- 인간의 기대, 목표, 신념, 태도 등이 동기를 결정한다는 것.
4. 동기이론
1) 초기 접근
▶ 에피쿠로스(그리스 철학자)의 쾌락주의 원리 : 인간은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이나 불쾌를 회피하려는 것
에 의해 동기화되고 행동한다고 주장. 프로이드와 헐의 추동이론의 근간이 됨. 이원론(육체와 정신은 분리
되어 있고, 육체는 정신에 의해 조정된다)에서는 본능(동물이 개체와 종족 보존을 위해 필요한, 창조주에
의해 주입된 목적적 행위들로 봄)이라는 개념으로 동기를 설명.
▶ 데카르트(중세) : 육체란 생리적 욕구에 반응하는 기계적 실체며, 정신이란 의지를 가지고 있는 능동적
이고 목적지향적인 실체로 봄.
2) 현대 동기이론의 기초
(1) 프로이드의 추동이론
- 행동의 원인을 무의식적 충동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함.
- 행동은 충족되지 못한 강한 충동이나 소망에 대한 상징적 표현 → 이러한 강한 충동은 두려움이나 죄의
식을 수반하는 무의식적 추동으로 작용하여 긴장을 발생 → 이러한 무의식적 추동의 대부분이 성적인 충동
이나 욕구 때문에 생겨나는 것으로 보고 이러한 힘을 ‘리비도’라고 부름.
- 인간은 리비도를 해소하기 위해 행동하고, 그 행동에 의해 불유쾌한 추동은 감소되고 유쾌한 상태는 회
복된다.
(2) 헐의 추동감소이론
- 인간의 행동은 유기체 내부에서 특정한 결핍에 의해 발생되는 욕구를 해소하기 위한 추동을 감소시키려
는 목적에서 유발된다는 것
- 유기체에게는 생체항상성 유지 기능이 있는데, 만약 어떤 생물학적 추동이 존재하고, 그에 대한 특정 반
응이 그 추동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면 항상성의 혼란이 감소하게 되고, 그 반응은 강화될 것이라는
것을 통해 유기체는 욕구를 충족시키는 행동을 배우는 것이 된다고 함.
- 그러나 생리적 욕구충족과 아무 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이는 많은 강력한 강화인자들이 있다는 사실은 추
동감소이론을 오래 지속시키지 못하게 됨.
(3) 각성이론
- 프로이드와 헐의 이론에서는 행동의 근원이 긴장이고 행동의 목표는 그 긴장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나, 각
성이론에서는 사람들은 긴장이나 각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행동한다고 함. ex) 암벽등반, 스카이다이빙 등
- 여크스와 돗슨(1908)의 거꾸로 된 U형 함수관계 : 중간수준의 각성상태에서 수행수준이 가장 높고, 너무
낮거나 높은 수준의 각성상태에서 수행수준이 낮음을 보이며, 중간수준의 각석이 가장 높은 수행수준을 가
져옴으로 최저각성수준이라고 부름.
ex) 지나친 각성은 시험불안, 지나치게 낮은 각성은 졸음
(4) 조건화 이론
- 사전에 학습된 바람직한 반응을 유도해 낼 가능성이 높은 방식으로 자극을 선택하고 배열하고 짝 짓거나
제시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행동을 유발시키기 위한 조건이나 환경을 조성하는 것과 관련되어 유인물 혹
은 유인체계라는 개념으로 동기이론에 포함되기도 함.
- 강화나 벌을 포함하는 자극을 주의깊게 선택하고 통제함으로써 인간행동을 발달, 유지, 변화시킬 수 있으
며, 미리 방지할 수도 있다고 믿음.
73
강화이론에서는 동기의 근원을 유기체 외부에서 - 찾아, 유기체의 모든 행동이 학습에 의한 것이며 동기화
된 또는 조건화된 행동이라고 주장.
- 강화인자의 외재적 동기로써의 특성은 특정 상황에서 내재적 동기를 소멸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면서, 비판 받음.
(5) 욕구위계이론
- 행동주의 강화이론의 개인의 내적 측면을 무시하는 것에 반발하여 개인의 욕구나 내적상태 등을 강조
- 매슬로 : 자기상, 자기개념, 사회적 수용이 행동의 개시, 방향 설정, 강도와 끈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삶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기실현으로 개인의 잠재적 능력을 실현하려는 심리적 욕구라 함.
- 욕구의 위계이론 : 궁극적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욕구가 그것을 선행하는 기본적인 욕구에서 위계적으로
발전된다고 보는 이론 제시.
[매슬로의 욕구위계]
결핍욕구 : 생리적, 안전, 애정과 소속감, 자존의 욕구
존재욕구 : 성취, 심미적 이해, 자기실현의 욕구
- 하위 단계가 충족되면 다음 단계의 욕구가 생긴다는 의미에서 위계적이며, 결핍욕구는 일단 충족되면 더
이상 그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동기가 감소하지만 존재욕구는 완전하게 달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인간의
잠재적 능력을 실현하려는 자기실현의 욕구는 끊임없이 생성된다는 것
- 하위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경우에도 사위 수준의 욕구 충족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 있다는 증거들로
비판을 받기도 함
◆ 정리하기
1. 동기란 무엇인가?
행동을 시작하게 하고, 방향을 결정하고, 끈기와 강도를 결정하는 힘
① 동기(Motivation) : 사람을 특정방향으로 움직이게 만드는 내적과정
② 욕구(Needs) : 바람직한 신체적, 심리적 상태에 도달하고자 하는 소망
③ 추동(Drive) : 행동이 대상을 향하게 하거나 멀리하게 만듦
2. 동기의 근원
- 내재동기 : 힘의 근원이 내부의 흥미, 호기심, 의지, 사고 등에서 오는 것
- 외재동기 : 외적인 보상이나 벌, 혹은 강압 등에서 오는 것
74
3. 인간 동기의 구성요소
1) 생물학적 요소
▶ 행동생물학 : 행동이란 유전자가 지시하는 대로 행동을 시작하고 방향을 결정하지만, 어느 정도 학습의
영향을 받는 정도의 차이로 보기도 함.
▶ 행동신경과학 : 두뇌의 아편, 엔돌핀을 분비하는 보상중추가 동기와 관련된다고 주장.
2) 학습된 요소
성장하면서 서서히 획득되는 추동, 즉 권력, 성공, 성취에 대한 욕구 등과 관련된 것
3) 인지적 요소 : 인간의 기대, 목표, 신념, 태도 등이 동기를 결정한다는 것.
4. 동기이론
1) 초기 접근
▶ 에피쿠로스(그리스 철학자)의 쾌락주의 원리 : 인간은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이나 불쾌를 회피하려는 것에
의해 동기화되고 행동한다고 주장.
▶ 데카르트(중세) : 육체란 생리적 욕구에 반응하는 기계적 실체며, 정신이란 의지를 가지고 있는 능동적이
고 목적지향적인 실체로 봄.
2) 현대 동기이론의 기초
(1) 프로이드의 추동이론 : 행동의 원인을 무의식적 충동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며, 행동을 충족되지 못한
강한 충동이나 소망에 대한 상징적 표현이라고 봄.
(2) 헐의 추동감소이론 : 인간의 행동은 유기체 내부에서 특정한 결핍에 의해 발생되는 욕구를 해소하기 위
한 추동을 감소시키려는 목적에서 유발된다는 것
(3) 각성이론 : 사람들은 긴장이나 각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행동한다고 함
(4) 조건화 이론 : 동기의 근원을 유기체 외부에서 찾아, 유기체의 모든 행동이 학습에 의한 것이며 동기화
된 또는 조건화된 행동이라고 주장.
(5) 욕구위계이론 : 궁극적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욕구가 그것을 선행하는 기본적인 욕구에서 위계적으로
발전된다고 보는 이론.
title 2 현대 동기이론
1. 성취동기이론
- 머레이(1938)이 욕구분류체계 : 20가지 심인성 욕구들 중 하나로 성취욕구를 포함시키면서, “어려운 일을
달성하려는 것, 숙달하려는 것, 탁월하려는 것, 다른 사람과 경쟁하고 이기려는 것, 장애물을 극복하고 높은
기준을 달성하려는 것에 대한 욕구”라고 정의. 이러한 욕구 측정 위해 주제통각검사(Thematic Apperception
Test: TAT)를 개발하여 연구.
- 맥클리런드와 동료들(1953) : 머레이의 성취욕구를 성취동기라는 용어로 명명하고, 탁월하려는 욕구 그리
고 우수함과 성공을 향한 욕망으로 정의하면서 체계적인 동기이론을 발전시킴.
(실패에 대한 기피동기, 실패가능성, 실패에 대한 부적 유인가)

성취경향성(성취행동) = 성공에 대한 접근경향 - 실패를 기피하려는 경향
↳ (성취욕구, 성공가능성, 성공하였을 때의 유인가)
- 결과성취동기 : 성취경향성은 두 대립된 경향의 강도의 차이이다.
- 앳킨슨은 성취동기이론을 수학적 모형으로 수정하여 성공에 대한 접근 경향성과 실패를 기피하려는 경향
성 간의 차이가 만들어 내는 결과성취동기가 개인의 성취상황에서의 동기를 결정한다고 주장
75
2. 학습된 무기력이론
- 셀리그만과 마이어(1967)의 학습된 무기력 : 통제불가능한 상황에서의 반복적인 실패경험이 학습, 정서,
동기에서의 장애를 초래하는 것을 보여주는 현상.
- 도피학습 훈련을 받던 개 중에서 학습된 무기력을 경험한 개는 그 충격을 피하기 위해 그들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통제불능성에 대한 기대를 학습한 것.
- 그러나 실패경험이 상황에 따라서는 긍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보여준 연구들을 통해 건설적 실패
이론이 대두되기도 함.
3. 귀인이론
- 귀인 : 어떤 사건의 결과에 대한 원인을 찾는 것.
- 와이너(1972)의 동기에 대한 귀인이론 : 어떤 행동의 결과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사람들의 후속 행동이 달라진다는 것으로, 개인의 행위 결과에 대한 설명이나 정당화가 어떻
게 후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명하는 것
내적
(내부에서 원인찾기)
외적
(외부에서 원인찾기)
안정 불안정 안정 불안정
통제 가능 절대 공부 안 함
그 시험을 위해
공부하지 않았음
교사가 편파적임
친구들이 도와주지
못했음
통제 불가능 낮은 적성 시험 당일 아픔
학교의 요구사항이
너무 높음
운이 나빴음
- 학생들이 자신의 실패원인을 어디에 돌리느냐에 따라 후속 행동이 영향을 받음.
- 내적-불안정-통제 가능 : ‘그 시험을 위해 공부하지 않았음’은 다음 번 시험에서는 노력하면 할 수 있다고
믿게 된다.
- 내적-안정-통제 불가능 : ‘낮은 적성’은 자칫하면 학습된 무기력으로 빠지게 할 원인이 됨. 적성은 노력한
다고 쉽게 변하는 것이 아니고, 스스로 통제하기 어려운 내적 원인이기 때문에 무기력감을 느끼게 되고, 아
예 노력할 시도조차 하지 않게 됨.
4. 내재동기이론
- 내재동기 : 심리적 욕구, 개인적 호기심 그리고 타고난 성장을 향한 노력으로부터 자발적으로 생기는 것.
- 내재동기를 유발시키는 결정인자를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혹은 내재동기를 어떻게 측정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이론 제시
1) 효능동기이론
- 화이트(White, 1959)는 인간이 자신의 삶이나 환경의 어떤 측면을 변화시키고 수정하거나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서 행동한다고 주장하며, 주변에 있는 사물에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인간은
유능감을 획득한다고 주장.
2) 인지평가이론
- 디시(Deci, 1971)는 개인의 내적 통제 소재와 능력에 대한 지각이 높아질수록 내재동기가 증가한다고 주
장. 즉, 보상이 유능감과 통제감에 대한 지각에 두 가지 형태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
76
정보적 기능 보상이 수행의 질이 높다는 - : 것을 알려줄 때. ex) 참 잘 했네. 국어 점수는 많이 올라가고,
영어 점수도 약간 올라갔네!
- 통제적 기능 : 보상이 행동에 대해 통제적 기능을 할 때 ex) 참 잘 했네. 우리 아들이면 이 정도는 해야지!
3) 과정당화이론
- 내재적으로 동기화되어 시작된 것으로 보이는 행동이 보상이나 다른 외적 제약과 연결되면 사람들은 그
행동이 내재동기와 같은 내적 요인보다는 위협이나 뇌물과 같은 외적 요인 때문인 것으로 귀인하는 경향이
있음. 내적으로 동기화된 과제에 외적 보상이 더해지면 그 행동에 대해 다중인과스키마가 형성되어, 내적
요인은 최소화하거나 절감하게 된다는 절감의 원리 발생.
ex) 사인펜을 가지고 그림그리기를 매우 좋아하는 유아원 아동들을 세 집단으로 나눠 실험
4) 자기결정이론
- 디시와 라이언(Deci & Ryan, 1985) : 자기결정성(자율성)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외재적 이유가 가능하다
는 것을 주장.
- 한 개인은 외적인 동기요인의 개입이 있다 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자기결정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동기들
의 관계도 단순히 대립적이라기보다는 상호작용하면서 공존하는 것으로 봄.
자기결정성의 연속선상에서의 동기의 위치
행동 비자기결정적 자기결정적
동기 무동기 외재동기 내재 동기
↙ ↙ ↘ ↘
조절
양식
무조절 외적조절
내사된
조절
확인된
조절
통합된
조절
내적 조절
인과
소재
없음 외적 약간외적 약간내적 내적 내적
관련
조절
과정
무의도,
무가치,
통제결여
외적제약
에 따름
자아통제
자아개입
내부보상
및 처벌
개인적
중요성,
의식적
가치부여
일치,
자각,
자기와의
통합
흥미, 즐거움,
내재된 만족감
- 무동기 : 자기결정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행동하려는 의지가 결핍된 상태
- 외적 동기 : 외재적 동기 중에서 자기결정성이 부족하고, 보상이나 마감시간과 같은 전형적인 외적 제약
에 의하여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
- 내사된 동기 : 행동에 대한 원인을 이제 막 내면화시키기 시작하는 단계로 자기 자신의 의지가 어느 정
도 개입되는 상태로서, 하지 않을 경우 생길 죄책감이나 책임감 때문에 행동
- 확인된 동기 : 개인이 행동의 목표를 자신의 것으로 완전히 내면화시키지는 않아도 그 가치를 확인하고
인정하여 수용한 상태
- 통합된 동기 : 자율적인 형태로써 개인이 자신의 가치에 부합하는, 자신과 완전히 동화되어 선택한 조절
에 의해 행위를 하지만 여전히 행위 자체의 고유한 속성 때문에 행동을 하는 것은 아닌 상태
- 내재동기 : 행위를 하는 그 자체가 만족스럽기 때문에 하는 경우 의미
77
5) 출현동기이론과 플로우의 경험
- 칙센트미하이(Csikszentmihalyi, 1978)의 출현동기이론 : 많은 활동이 예상하는 목표나 보상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 없고, 진행되는 행위 속에 직접 관여함으로써 나타나는(출현하는) 목표와 보상의 관점에서 설명
해야만 한다고 전제. 이러한 활동들은 목표와 보상이 행위로부터 ‘흘러나온다(flow)'는 것을 함의하는 플로
우라고 이름이 붙여짐
- 플로우 : 그 활동이 주는 즐거움 때문에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그 활동을 하려고 하는 것으로 행위에 완
전히 몰입한 집중상태를 말하며, 개인이 어떤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기술을 사용할 때 도전의 수준
과 자신의 기술 간의 적절한 조화를 이루면 플로우 상태로 들어가며, 이러한 상태에 들어가면 계속 흘러가
게 된다는 것.
- 도전수준이 너무 높고 기술수준이 너무 낮은 경우 불안상태에 빠지고, 도전수준이 자신의 기술수준보다
너무 낮은 경우는 지루함을 느끼게 된다는 것
ex) 게임에 몰두해 있을 때, 먹는 것도 잊고, 플로우 상태에 있으면 시간은 매우 빨리 지나가는 것처럼 느낌.
플로우 모형(Csikszentmihalyi, 1975)
5. 자기효능감이론
- 반두라(Bandura, 1977)가 발전시킨 사회인지적 동기이론으로 인간은 자신이 속해 있는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행동하는 자기조절자로서 기능.
- 자기효능감 :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활동을 조직하고 실행하기 위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 자기효능감은 특정 상황에서 자신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가에 대한 기대 혹은 신념으로
수행 수준을 결정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이다.
- 개인이 자신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정보를, ① 자신의 수행을 관찰함으로써 ② 모델이 수행하는 것을 관찰
함으로써 ③ 타인의 설득을 통해서 ④ 생리적 지표를 통해서 얻을 수 있다고 하고, 이러한 정보원을 통해서
효능기대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함.
6. 성취목표이론
- 성취동기이론에서 목표에 관한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발전된 이론으로, 목표지향성 개념으로부터 발전됨.
- 목표 : 개인이 성취하고자 노력하는 것으로서, 개인의 능력 범위 내에서는 높고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할수
록 수행수준도 높아진다.
78
목표지향성 - : 성취와 관련된 목표에 대한 신념의 종류를 의미
- 숙달목표지향성 : 과제 자체에 가치를 두고 이를 목표로 삼는 것으로, 수행하는 목표가 과제에 대한 이해
와 습득, 숙달로 자신의 능력의 향상에 관심을 두는 경향을 의미
- 수행목표지향성 : 타인의 인정과 같은 외적인 것에 가치를 두는 것으로, 남보다 우수하고 이기고 최고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 경우를 의미
◆ 정리하기
1. 성취동기이론
머레이의 성취욕구를 성취동기라는 용어로 명명하고, 탁월하려는 욕구 그리고 우수함과 성공을 향한 욕망
으로 정의하면서 체계적인 동기이론을 발전시킴
- 성취경향성(성취행동) = 성공에 대한 접근경향 - 실패를 기피하려는 경향
2. 학습된 무기력이론
통제불가능한 상황에서의 반복적인 실패경험이 학습, 정서, 동기에서의 장애를 초래하는 것을 보여주는 현상
3. 귀인이론
어떤 행동의 결과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사람들의 후속 행동이 달라
진다는 것으로, 개인의 행위 결과에 대한 설명이나 정당화가 어떻게 후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명하
는 것
- 학생들이 자신의 실패원인을 어디에 돌리느냐에 따라 후속 행동이 영향을 받음
4. 내재동기이론
심리적 욕구, 개인적 호기심 그리고 타고난 성장을 향한 노력으로부터 자발적으로 생기는
내재동기를 유발시키는 결정인자를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혹은 내재동기를 어떻게 측정하느냐에 따라 다
양한 이론 제시
1) 효능동기이론 : 인간은 주변에 있는 사물에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인간은 유능감을 획득한다고 주장
2) 인지평가이론 : 개인의 내적 통제 소재와 능력에 대한 지각이 높아질수록 내재동기가 증가한다고 주장.
즉, 보상이 유능감과 통제감에 대한 지각에 두 가지 형태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
3) 과정당화이론 : 내적으로 동기화된 과제에 외적 보상이 더해지면 그 행동에 대해 다중인과스키마가 형성
되어, 내적 요인은 최소화하거나 절감하게 된다는 절감의 원리 발생
4) 자기결정이론 : 한 개인은 외적인 동기요인의 개입이 있다 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자기결정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동기들의 관계도 단순히 대립적이라기보다는 상호작용하면서 공존하는 것으로 봄
5) 출현동기이론과 플로우의 경험 : 많은 활동이 진행되는 행위 속에 직접 관여함으로써 나타나는(출현하는)
목표와 보상의 관점에서 설명해야만 한다고 전제. 이러한 활동들을 하기 위해 자신의 수준과 기술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면 플로우 상태에 들어가게 된다는 것
5. 자기효능감이론 :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 수행수준을 가장 잘 예측한다고 함
6. 성취목표이론 : 성취동기이론에서 목표에 관한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발전된 이론으로, 숙달목표지향적이
냐, 수행목표지향적이냐에 따라 성취상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79
title 3 정서
1. 정서란 무엇인가
- 특정한 내적/외적 변인에 대해서 경험적·생리적·행동적으로 반응하려는, 유전적으로 결정되거나 습득된 동
기적 경향(Carlson & Harfield, 1992).
- 정서를 동기적 경향성으로 보는 이유 : 정서가 유기체로 하여금 정서를 유발시킨 대상에 접근하거나 회피
하는 행동을 유발하기 때문에, 정서는 개인의 적응행동의 진전에 대한 정보를 알려 주는 기능을 함. ex) 목
표 달성이 잘 될 때 기뻐하고, 실패할 때 괴로움 느낌
- 즉, 정서는 동기의 상태를 반영
2. 정서이론
1) 초기 이론
(1) 분트(Wundt)는 정서의 3차원 이론으로 쾌-불쾌, 긴장-이완, 흥분-우울
(2) 티치너(Titchener)는 쾌-불쾌
(3) 영(Young, 1961)은 기쁨-괴로움으로 정서 경험을 기술할 수 있다고 주장
(4) 제임스(William James, 1884)-랑게(Carl Lange, 1885) 이론
- 정서는 어떤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하는 신체적인 변화에 대한지각
- 정서 유발 상황에서, 행동이 정서 경험보다 선행한다는 것으로, 정서자극에 의해 내장기나 근육에 먼저
반응이 일어나고 이어서 이 반응이 대뇌피질에 전달됨으로써 정서를 경험
ex) : 자극(곰) → 반응(도망) → 감정(공포)
- 비판(Cannon) : ① 자율신경계의 신경전달 속도가 너무 느리다. 정서 체험은 자율신경계를 통해 신체적
변화에 대한 정보가 뇌에 전달되기 전에 일어난다. ② 약물을 이용해서 인위적으로 신체적 변화를 유도해
도, 정서 체험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③ 자율신경계의 흥분패턴이 상이한 정서들 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다
(공포와 분노는 유사한 교감신경계의 흥분 양상을 수반) ④ 대뇌와 말초신경계의 연결을 끊어도 정서 경험
이 일어난다)
(5) Cannon-Brad 이론
- 정서 체험과 신체 변화는 동시에 일어난다는 주장
- 뇌에 있는 시상의 흥분이 정서 체험과 신체적 변화를 동시에 유발시켜, 정서는 신체 변화에 대한 지각
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신체 변화와 동반한다.
2) 신경생리학적 접근
(1) Papez의 신경회로
- 뇌의 중심부에는 정서경험과 신체행동 조절의 기초가 되는 회로가 있고,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자극
의 흐름이 이동하는 통로가 있다고 주장
- 이 회로는 현대 뇌생리학에서 변연계라고 부르는 정서를 주관하는 체계다.
- 이러한 접근은 르두(Ledoux) 의해서 더욱 더 진전됨.
(2) LeDoux는 정서 뇌 (emotional brain)
- 정서를 신경계의 생물학적 기능으로 보고 정서가 뇌에서 어떻게 표상되는가를 알아내는 것이 정서를 이
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믿음.
80
정서자극이 반응으로 나타날 때까지의 흐름을 보여주는 회로(Ledoux, 1996)
감각시상에서 편도체로 가는 - 하위로(low road) : 무의식적으로 처리되어 신속하지만 거친 정서반응으로
나타나는데, 위험상황에서 유용한 기제
- 감각 시상에서 감각 피질을 통해 편도체로 가는 상위로 : 이성 뇌인 감각피질로 전달되어 부적절한 반응 방지
- 정서뇌와 이성뇌는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줌.
3) 정서에 대한 인지적 접근
- 정서는 처해 있는 상황이나 상황에 대한 평가나 해석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
(1) 샥터(Schachter)와 싱어(Singer)의 이요인이론(1962)
- 내적/외적 원인에 대한 해석, 소위 귀인이라고 부르는 해석에 근거해서 정서적으로 모호한 신체적 상태
를 설명함으로써 정서적 느낌이 만들어진다는 것.
ex) 곰 → 각성(심장 뜀) → 무서운 상황(labeling) → 공포
[샥터와 싱어의 실험(1962)]
① 참가자에게 에피네피린(흥분제) 투여
② 약의 효능을 알려준 집단/효능을 모르는 집단
③ 가짜 참여자(실험협조자)가 연기(즐거워하는 행동/화난 행동)
④ 결과 : 약의 효능을 알지지 않은 집단의 경우, 가짜 참여자의 연기와 일치하는 정서를 보고/
약의 효능을 알린 집단에서는 정서의 변화가 없음.
⑤ 해석 : 약의 효능을 모르는 참여자들은 생리적 흥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상황을 참고(인지
적 평가), 상황에 부합하는 정서를 체험 / 약의 효능을 아는 참여자들은 자신의 생리적 흥분을 약
의 효과로 귀인, 정서 체험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음.
(2) Arnold의 인지적 평가 이론 (cognitive appraisal)
- 샥터와 싱어의 이요인 이론에 빠진 것이 있음을 지적 : 정서 반응이 일어나면 어떻게 한다는 내용은 있
는데 무엇이 그런 반응을 만들어내는지를 설명하지 않았다고 주장.
- 인지적 평가 : 자극과 반응 사이에 있는 무엇. 인지적 평가는 무의식적으로 일어남, 그 효과는 행동 경
향성으로 전화되어 의식에 정서적 느낌으로 등록
ex) 곰 → 평가(무의식) → 행동 경향성 → 공포
81
(3) 자이언스(Zajonc)의 단순 노출 효과 (mere exposure effect)
- 자극에 대한 선호가 즉각적인 반응이며, 이전에 경험한 인지적 평가를 요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줌.
ex) 예전에 어떤 자극에 노출되었던 경험이 있으면, 기억을 못하더라도 그 자극을 더 좋아한다고 보고한
다는 것
- 정서가 인지에 선행하고, 인지와 별개이며, 인지가 없이도 정서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줌.
ex) 곰 → 무의식적 정서 → 공포
4) 정서의 종류에 대한 이론
(1) 비연속적 정서 이론 (discrete emotion theory)
- 모든 인간에게서 볼 수 있는 몇 가지 유형의 기본정서가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로 함.
- 정서를 몇 가지 종류로 구분
ex) Ekman(1992) : 행복, 놀람, 슬픔, 분노, 혐오, 경멸, 두려움 6정서는 문화적 보편성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음.
- 부정적인 정서를 표현하는 말들이 긍정적인 정서표현 말보다 훨씬 많은 이유 : 부정적인 정서가 진화적
관점에서 생존가치와 더 밀접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
(2) 차원적 접근 (dimensional theory)
- 분트의 이론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정서의 핵심요인은 쾌-불쾌와 각성수준이라는 것.
쾌-불쾌 차원과 각성수준 차원을 중심으로 위치시킨 정서 유형(Russell, 1980)
3. 정서의 표현
1) 언어 행동
- 사람은 자신의 감정상태를 말로 표현하여 언어를 가지고 표현할 수 있다.
ex) 면접, 자기보고식 설문지
2) 비언어적 행동 : 얼굴 표정, 몸동작을 통해 정서 상태나 감정 표현 등의 언어 이외의 모든 우리의 행동은
정서를 표현하는 방법이 됨.
- 얼굴 표정에 의한 정서표현은 문화적 혹은 개인차가 있음.
82
4. 동기와 정서의 관계
- 벡(Beck, 1990) : 바람(desire)과 혐오(aversion)는 동기와 동기가 초래하는 그 결과행동 사이에 존재하는
매개변인으로 기능한다고 함.
- 유기체는 원하거나 바람직한 결과가 예상되는 목표나 행위에는 접근하고, 불쾌하거나 혐오적인 결과가 예
상되는 목표나 행위는 회피한다는 것. 즉, 동기와 정서 사이에 바람과 혐오 개념이 중간에서 연결기능을 한
다고 보는 것.
- 즉, 동기와 정서는 분리할 수 없는 연결된 개념
◆ 정리하기
1. 정서란 무엇인가
- 특정한 내적/외적 변인에 대해서 경험적·생리적·행동적으로 반응하려는, 유전적으로 결정되거나 습득된
동기적 경향으로, 정서는 동기의 상태를 반영
2. 정서이론
1) 초기 이론
(1) 분트는 정서의 3차원 이론 : 쾌-불쾌, 긴장-이완, 흥분-우울
(2) 티치너 : 쾌-불쾌
(3) 영 : 기쁨-괴로움
(4) 제임스-랑게 이론 : 어떤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하는 신체적인 변화에 대한지각
(5) Cannon-Brad 이론 : 정서 체험과 신체 변화는 동시에 일어난다는 주장
2) 신경생리학적 접근
(1) Papez의 신경회로 : 뇌의 중심부에는 정서경험과 신체행동 조절의 기초가 되는 회로가 있고, 한 위치에
서 다른 위치로 자극의 흐름이 이동하는 통로가 있다고 주장
(2) LeDoux는 정서 뇌 : 정서를 신경계의 생물학적 기능으로 보고 정서가 뇌에서 어떻게 표상되는가를 알아내는
것이 정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하며, 정서뇌와 이성뇌는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줌
3) 정서에 대한 인지적 접근 : 정서는 처해 있는 상황이나 상황에 대한 평가나 해석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
(1) 샥터-싱어의 이요인이론 : 내적/외적 원인에 대한 해석, 소위 귀인이라고 부르는 해석에 근거해서 정서
적으로 모호한 신체적 상태를 설명함으로써 정서적 느낌이 만들어진다는 것
(2) Arnold의 인지적 평가 이론 : 샥터와 싱어의 이요인 이론에 빠진 것이 있음을 지적하며, 인지적 평가가
정서 반응을 만들어 낸다고 주장
(3) 자이언스의 단순 노출 효과 : 정서가 인지에 선행하고, 인지와 별개이며, 인지가 없이도 정서가 존재한
다는 것을 보여줌
4) 정서의 종류에 대한 이론
(1) 비연속적 정서 이론 : 정서를 몇 가지 종류로 구분
(2) 차원적 접근 (dimensional theory) : 정서의 핵심요인은 쾌-불쾌와 각성수준
3. 정서의 표현
1) 언어 행동 : 사람은 자신의 감정상태를 말로 표현
2) 비언어적 행동 : 언어 이외의 모든 우리의 행동은 정서를 표현하는 방법이 됨
4. 동기와 정서의 관계 : 동기와 정서는 분리할 수 없는 연결된 개념
83
Chapter 10. 성격이란 무엇인가
title 1. 성격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연구하는가?
성격심리학 ▶ : 개인 간에 생기는 개인차를 규명하고자 하는 학문
- 사람들 간에 생기는 차이를 기술(성격검사 개발) → 사람들이 왜 이런 행동을 하게 되었는지를 설명(성격
이론) → 이런 이해를 토대로 앞으로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를 예측하고자 하는 것.
▶ 성격심리학의 목적
- 개인 간에 나타나는 개인차를 찾아내고 분석하여 과학적으로 규명
- 이런 이해를 토대로 개인의 삶의 질을 개선
1. 성격의 정의
1) 올포트(Allport) : 환경에 대한 개인의 독특한 적응을 결정하는 개인내의 정신 신체적 체계들의 역동적 조직
① 성격은 개인 내의 여러 요소들(욕구, 감정, 가치관, 태도 등) 간의 역동적인 관계로 형성되는 것
② 정신적인 체계와 신체적인 체계 모두에 의해 형성되는 것
③ 성격은 각자의 독자적인 영역을 가지고 그 내에 또 다른 하위 시스템을 가지는 여러 가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음.
④ 성격은 개인이 겉으로 표출하는 외현적 행동, 사고, 감정을 결정하고, 그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
⑤ 성격은 개인이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독특한 속성을 가지게 해 주는 것
⑥ 성격은 외현적으로 나타나는 행동과 내적인 사고과정 모두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것
2) 리버트&리버트(1998) : 사회적·물리적 환경에 대한 개인의 행동과 반응에 영향을 주는, 한 개인의(신체・
심리적) 특징들의 독특하고 역동적인 조직
▶ 기질 : 유전적으로 타고나는 개인의 고유 특성으로, 감정적이고 충동적인 기질, 활달하고 사교적인 기질,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기질과 같은 특징을 말함.
▶ 품성 :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여겨지는 특성(습득, 부정적 상황 포함)으로, 사회적 판단이 개입되어 한
사회 시스템 내에서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특성을 주로 지칭하는 것.
▶ 성격 : 기질과 품성 등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태어날 때부터 유전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뿐 아니라
성장과 함께 학습하면서 생기게 된 것,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특성과 부정적인 특성 모두를 포함해
서 어느 한 개인을 다른 사람과 구별해 주는 것을 지칭.
3) 아들러(Adler) :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성격을 알아내는 간단한 두 가지 방법
- 첫째, 특정 개인에게 자신의 어린 시절을 얘기해보라고 한다.
- 둘째, 이 사람이 위기 시에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살펴보는 것.
ex) 어린 시절을 비관적이고 어둡게 기억하는 사람은 삶을 비관적이고 어둡게 보는 사람이며, 개인이 위기
에 닥쳤을 때나 어려운 상황에서 보여 주는 것이 그 개인의 참 모습.
4) 개인의 성격을 구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들
(1) 조선시대 이제마의 체질론 : 소음인, 소양인, 태음인, 태양인
(2) 히포크라테스 : 체액론
- 사람의 체액에 따라 개인 성격 특성이 결정
- 혈액-낙천・다혈질, 흑담즙-우울, 황담즙-성마름・화, 점액질-침착・냉담
84
(3) 셸던(Sheldon)
- 신체적 특성이 개인의 성격을 결정짓는다고 봄.
- 내배엽(사고적, 온화, 애정적), 중배엽(근육형, 힘이 넘침, 대범), 외배엽(내향)
▶ 비판
- 유형을 어떻게 나누어야 하는가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유형을 나누는 방법이 너무 많다 보니 유형 구
분에 따른 성격 특성이 옳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음.
- 개인이 어느 한 유형에만 속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유형에 속할 수도 있음.
- 어느 한 유형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 경계선에 속할 수도 있으며, 경계선이 모호할 수 있음.
2. 자신이나 남의 성격을 어떻게 알 수 있나
1) 사례연구법
- 한 개인 또는 소수의 집단을 종합적으로 관찰해서 보편적인 사람의 속성을 찾아내려고 하는 방법으로,
주로 임상연구에서 사용하던 방법
ex) 히스테리 환자들 연구를 통해 정신역동이론을 정립한 프로이드, 황혼이혼 부부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이들을 집단적으로 분석하는 연구 등
2) 실험연구법
- 하나 이상의 변인을 조작하거나 변화시킨 다음 이런 변화가 또 다른 변인에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되는지
를 알아보아, 관심 있는 변인 이외에 다른 변인이 주는 영향을 통제하므로 특정 변인이 미치는 영향을 확실
하게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
ex) 폭력적인 비디오를 본 아이들의 공격적 행동, 히르슈비겔 감독의 영화 [Experiment 실험]이라는 영화
3) 설문조사 연구법 : 가장 많이 활용
- 변인 간의 관계의 방향과 크기에 관심을 가질 때 사용되는 방법으로, 개인차, 측정, 변인 간의 통계적 관
계 등에 주로 관심을 갖는 경우에 활용되는 연구법
ex) 권위주의 성격 유형과 리더십, 자존심 및 자기통제능력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성격 연구방법 간의 장단점 비교
장점 단점
사례연구 및
임상연구
ㆍ실험실의 인위성을 피할 수 있음
ㆍ개인과 환경간의 복잡한 관계 연구
ㆍ개인에 대한 심층적 연구
ㆍ비체계적 관찰을 할 가능성
ㆍ자료에 대한 주관적 해석 가능
ㆍ변인 간의 관계가 복잡할 수 있음
실험연구 및
실험연구
ㆍ변인을 구체적으로 조작 가능
ㆍ자료를 개관적으로 기록할 수 있음
ㆍ인과관계를 설정할 수 있음
ㆍ실험실에서 연구할 수 없는 변인 제외
ㆍ일반화가 어려운 인위적 환경
ㆍ요구 특성과 실험자 기대효과의 영향을 받음
설문지연구 및
상관연구
ㆍ다양한 변인을 한꺼번에 연구
ㆍ많은 변인 간의 관계 연구
ㆍ많은 표본을 쉽게 구할 수 있음
ㆍ인과관계가 아닌 연합관계만을 보여줌
ㆍ자기보고 설문지의 신뢰도, 타당도의 문제
ㆍ개인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지 못함
▶ 성격을 연구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네 가지(Block, 1993)
① 생활기록자료(Life-record data) : 한 개인의 일생에 걸친 생활사적인 기록물
② 관찰자평정(Observer ratings) : 주위 사람들이 특정 개인에 대해 평가한 자료
③ 객관적 검사(Objective tests) : 표준화된 실험절차나 검사를 거쳐 나온 자료로 특정 영역에 대해 개인이
보여주는 검사기록
④ 자기보고자료(Self-report data) : 각 개인이 자신의 행동, 감정 및 사고에 대해 스스로 평정하는 자료
85
◆ 정리하기
▶ 성격심리학 : 개인 간에 생기는 개인차를 규명하고자 하는 학문
▶ 성격심리학의 목적 : 개인 간에 나타나는 개인차를 찾아내고 분석하여 과학적으로 규명하여, 이를 토대로
개인의 삶의 질을 개선
1. 성격의 정의
1) 올포트(Allport) : 환경에 대한 개인의 독특한 적응을 결정하는 개인내의 정신 신체적 체계들의 역동적 조직
2) 리버트&리버트(1998) : 사회적·물리적 환경에 대한 개인의 행동과 반응에 영향을 주는, 한 개인의(신체·
심리적) 특징들의 독특하고 역동적인 조직
3) 아들러(Adler) :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성격을 알아내는 간단한 두 가지 방법 제안(자신의 어린 시절
을 얘기, 위기 시에 어떻게 행동하는가)
4) 개인의 성격을 구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들
(1) 조선시대 이제마의 체질론 : 소음인, 소양인, 태음인, 태양인
(2) 히포크라테스의 체액론 : 사람의 체액에 따라 개인 성격 특성이 결정
(3) 셸던(Sheldon) : 신체적 특성이 개인의 성격을 결정짓는다고 봄(내배엽, 중배엽, 외배엽)
- 한계가 많아, 과학적 심리학을 지향하는 최근에는 잘 시도하지 않음
2. 자신이나 남의 성격을 어떻게 알 수 있나
1) 사례연구법 : 한 개인 또는 소수의 집단을 종합적으로 관찰해서 보편적인 사람의 속성을 찾아내려고 하는 방법
2) 실험연구법 : 하나 이상의 변인을 조작하거나 변화시킨 다음 이런 변화가 또 다른 변인에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되는지를 알아보아, 관심 있는 변인 이외에 다른 변인이 주는 영향을 통제
3) 설문조사 연구법 : 변인 간의 관계의 방향과 크기에 관심을 가질 때 사용되는 방법으로, 개인차, 측정,
변인 간의 통계적 관계 등에 주로 관심을 갖는 경우에 활용되는 연구법
▶ 성격을 연구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네 가지 : 생활기록자료, 관찰자평정, 객관적 검사, 자기보고자료
title 2 성격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1. 성격의 삼층 구조 : 이드, 에고, 슈퍼에고
성격의 삼층구조
86
▶ 의식, 전의식, 무의식
- 의식 (consciousness) : 어떤 특정 순간에 개인에 의해 지각되는 모든 감각과 경험으로 구성, 의식하는
모든 내용은 외부단서에 의해 선택적으로 여과되어 나타난 결과일 뿐
- 전의식 (preconsciousness) : 그 순간에는 의식되지 않지만 조금만 노력하면 의식할 수 있는 모든 경험,
이전 경험/기억들 ex) 지난 주 금요일에 내가 무슨 옷을 입었었더라?
- 무의식 (unconsciousness) : 의식의 범위 밖에 있는 충동, 욕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혀 의식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우리의 행동과 의식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침
1) 원초아(Id)
- 성격 중에서 생물학적이고 본능적인 요소를 지칭하는 것
-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는 가장 원시적이며 유전된 것, 성적인 것, 공격적인 에너지를 모두 포함하
는 것으로 인간이 가진 모든 충동, 즉 리비도의 저장고
- 쾌락 원칙 : 원초아를 움직이는 기본적이며 중심적인 원리이며, 반사적이고 일차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주
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욕망과 같이 기본적이며 반사적인 욕구에 따라 움직임.
- 일차적 처리과정
2) 자아(Ego)
- 외부 현실과 초자아의 제한 속에서 원초아의 욕구를 표현하고 만족시키는 정신기제로, 원초아의 힘을
안내하는 길잡이 역할
- 현실과 환상을 구분하고 적절한 양의 긴장을 유지하게 하며, 합리적이고 인지적으로 행동하게 하는 등의
지적 기능과 문제해결자 역할
- 현실 원칙 : 적절한 배출구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적합한 환경과 조건이 성숙될 때까지 원초아로부터
발생하는 본능적 욕구를 지연시킴으로써 유기체의 안정과 보존해 주는 역할
- 이차적 처리 과정 : 개인과 타인의 안녕을 해치지 않으면서 본능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알맞은 처리과정
을 발달시킨다는 의미로, 자아의 정보처리 과정은 이차적 처리 과정
3) 슈퍼에고(Super-ego)
- 프로이드의 성격구조에서 마지막으로 발달하는 체계로서 사회규범과 기준이 내면화된 것을 말함
- 인간은 사회화 과정을 통해 사회적 가치, 규범, 윤리 체계를 받아들이게 됨.
- ‘양심’과 ‘자아 이상’이라는 두 가지 과정에 의해 형성
① 양심 : 부모의 처벌을 통해 습득, 부모의 지적과 야단 및 비판이 내재화되면서 형성
② 자아 이상 : 부모의 인정, 중요하고 가치 있게 여기는 것을 내재화하면서 개인이 형성하게 되는 목표
및 포부를 말하며, 자아 이상을 달성함으로써 자부심과 자긍심이 키워짐
- 개인의 판단기준이 부모의 통제에서 자아통제로 바뀔 때 초자아는 완전한 형상 갖춤
2. 개인 무의식과 집단 무의식 (융, 1875~1961)
- Jung은 프로이드의 성격구조를 받아들이면서 무의식의 요소를 개인적 차원에서 집단적인 차원으로 확대
1) 개인 무의식
- 자아에서 억압되거나 잊혀진 경험이 저장되어 형성된 것으로 프로이드가 이야기한 무의식적 요소를 말함
- 어떤 새로운 것을 경험하였을 때 자신과 무관하다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여겨진 것들이나 너무 약해서 의
식에까지 도달하지 못한 경험들이 저장된 것.
- 개인의 콤플렉스(무의식에 저장된 감정, 생각, 기억이 연합되어 생긴 흔적들) 또는 과거 조상 경험에서
얻은 것이라고 생각.
- 개인무의식에 직접 접근하기는 어려워, 종종 꿈으로 나타나 꿈의 내용을 구성하는 역할
87
2) 집단 무의식
- 우리를 지배하는 생각, 감정, 욕구가 모두 현재의 자신에게 비롯된 것이 아니며, 과거 선조들의 경험이
다음 세대에 전달되어 우리 내면에 숨어들어 우리에게 영향을 주는 것일 수도 있다.
- 신화나 전설 및 민담과 같은 집단문화의 형태로 전승되어 우리에게 알게 모르게 영향을 주게 됨.
- 원형(archetype) : 조상에게서 전달되어 우리가 태어날 때부터 가지게 되고 미리 정해진 생각이나 기억, 즉 근원적 심상
ex) 어떤 나라에 태어나든지 인간은 누구나 어머니에 대한 공통적인 원형을 가지고 있음
▶ 성격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원형
① 페르소나 : 사회적 역할 수행에 따른 심상으로 남에게 보이는 모습
② 그림자 : 개인이 가지고 있는 어두운 면으로 성적으로 수용되지 않고 동물적인 것 즉, 무의식의 어둠
속에 있는 자신의 분신
③ 아니마 : 남성 속에 있는 여성성
④ 아니무스 : 여성 속에 있는 남성성
⑤ 자기 : 인간이 추구하는 합일, 완성, 만다라의 상태
융의 자기실현과정
◆ 정리하기
1. 성격의 삼층 구조 : 이드, 에고, 슈퍼에고
▶ 의식, 전의식, 무의식
1) 원초아(Id) : 성격 중에서 생물학적이고 본능적인 요소를 지칭하는 것
- 쾌락 원칙과 일차적 처리과정
2) 자아(Ego) : 원초아의 힘을 안내하는 길잡이 역할
- 현실 원칙과 이차적 처리 과정
3) 슈퍼에고(Super-ego) : 사회규범과 기준이 내면화된 것을 말함
- ‘양심’과 ‘자아 이상’이라는 두 가지 과정에 의해 형성
- 개인의 판단기준이 부모의 통제에서 자아통제로 바뀔 때 초자아는 완전한 형상 갖춤
2. 개인 무의식과 집단 무의식 : 무의식의 요소를 집단적인 차원으로 확대
1) 개인 무의식 : 자아에서 억압되거나 잊혀진 경험이 저장되어 형성된 것으로 프로이드가 이야기한 무의식
적 요소를 말함
2) 집단 무의식 : 우리의 생각, 감정, 욕구가 과거 선조들의 경험이 다음 세대에 전달되어 우리 내면에 숨
어들어 우리에게 영향을 주는 것일 수도 있다.
88
원형 조상에게서 전달되어 우리가 태어날 때부터 가지게 되고 미리 - : 정해진 생각이나 기억, 즉 근원적 심상
▶ 성격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원형 : 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마, 아니무스, 자기
title 3 성격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 마음 속 삼국 전쟁이 낳은 상처 : 프로이드
- 사람들이 발달 단계별로 원초아, 자아, 초자아 간의 갈등을 어떻게 극복하고 이해하였는지에 따라 개인의
성격이 결정된다고 봄.
- 원초아의 욕구나 충동을 자아와 초자아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조절하였는가에 따라 개인의 성격
이 형성된다.
- 충족되지 않으면 고착되거나 이전 단계로 퇴행을 보이게 되며, 이때의 흔적이 남아 개인의 성격을 형성한다고 봄.
- 자유 연상이나 꿈의 분석으로 무의식 속의 성격 요소를 알 수 있다고 주장
1) 구순기(구강기)적 성격 (출생~2세)
- 어머니와의 갖게 되는 수유 경험에서 형성되는 성격, 유아가 세상에서 처음 경험하게 되는 중요한 타인인
어머니와 갖게 되는 경험의 질에 의해 형성되는 성격
- 이때의 경험을 통해 인간은 의존, 신뢰, 신용, 독립심 등과 같은 일반적 태도를 형성
구강 수동적 성격
이빨이 나기 전에 젖을
수동적으로 받아먹게 되
는 단계에서 형성
지나친 낙관주의, 과잉 신뢰, 타인 평가의 지나친 의식, 마마보이→수동적 낙천주의에
빠져 자신이 어떻게 하든 세상이 자신의 욕구를 채워 주리라 기대하거나 수동적 비관
론에 빠져 자신의 처지를 개선하기 위해 아무것도 할 것 없다는 듯 행동
구강 공격적 성격
이빨이 난 후 적극적으
로 수유 행위를 시작하
는 단계에서 형성
논쟁적, 비꼼, 괴롭힘, 세상에 대하여 냉소적, 적대적→능동적 낙천성에 사로잡혀
자신의 욕구를 채우기 위해 주위 세계에 있는 모든 것을 취하려 하거나 능동적
비관론에 사로잡혀 세상에 대해 냉소적이고 적대적이며 무차별적인 공격성을 보
이기도 함
2) 항문기적 성격 (2~4세)
- 배변 훈련 : 세상의 질서, 욕구 관리 방법을 배우게 됨
항문기 고착
배변 훈련 시 실패에 대한 처벌, 조롱, 수치심을 느끼면 고착→질서, 인색함, 고집의 3대 항문기적 성격이
나타나게 됨
항문기 가학적 성격 (내보내기 성격) 항문기 보유적 성격 (지니기)
어지르기, 무질서, 부주의, 낭비벽, 사치벽, 무자비
함, 반항, 공격, 잔인, 파괴, 난폭, 적개심
과도한 청결주의, 시간 엄수, 신중성, 인색, 모으고
쌓아두기, 수동적 공격성, 정확하고 빠름
89
3) 남근기적 성격 (4~6세)
- 성정체성에 대한 생각 : 남녀 간 신체구조가 다른 것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고, 성인과 동일시하게 됨.
- 남아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여아 : 남근선망, 엘렉트라 콤플렉스
남근기에 고착된 남성 남근기에 고착된 여성
나르시시즘적 성격(자신의 아름다움과 비범함에 도
취하여, 남들로부터 끊임없이 인정받고 싶어 하는
것이 주요 특징), 경솔, 과장, 야심만만함, 강함과
남자다음에 집착, 바람기, 남성다움과 정력을 과시
하는 남근적 공격이나 나이 많은 이성이나 임자 있
는 사람만 유혹하는 특징
순진무구함과 난잡함의 공유, 유혹적이고 경박적인
행동, 지나친 자기 주장적 특성으로 남성을 능가하
고자 하는 모습, 외설스러운 모습과 옷차림으로 남
성을 유혹하려 하는 성향 등
2. 열등감의 극복과정과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 : 아들러
- 생활양식 : 인간이 선천적으로 가지게 되는 열등감을 어떻게 극복하고 받아들이는가에 따라 각자의 생활
양식이 달라지고, 이런 생활양식이 개인의 성격을 형성한다고 봄
- 출생순위 : 가족 내 개인의 사회적 조건이 성격 형성에 영향을 준다고 보아 출생순위별로 성격에 차이가
생긴다는 이론 제안
- 열등감 : 보다 나은 것을 추구하고자 하는 동기 유발의 근거가 되는 것이므로 인간 성장의 기폭제가 됨
- 병리적 성격 : 병적인 열등감이 원인(신체 기관의 결함, 지나친 애정, 과잉보호 하에 버릇없이 응석받이로
성장하는 것, 무관심과 방임의 경험, 부모의 지나친 기대 등)
▶ 성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
- 각 개인이 열등감을 극복해온 방식
- 부모의 양육 태도
- 출생 순위
- 각 개인의 사회적 위치
1) 첫째 아이
- 폐위된 왕에 비유
- 긍정적 요소 : 책임감, 배려심 등
- 부정적 요소 : 자신감 상실, 언제 일이 나빠질지 모른다는 두려움, 적대적이며 비관적인 성향, 보수적이
며 규칙을 중시하는 성향.
- 상실의 경험으로 인해 첫째 아이는 문제아나 부적응자가 될 소지 또한 많다고 함.
2) 둘째 아이
- 언제나 위의 형제들이 모델이 되고, 처음부터 애정을 형제들과 나누어 생활해야 한다는 것
- 긍정적 요소 : 야심적, 공동체 지향적, 적응력이 뛰어남
- 부정적 요소 : 반항적, 심한 질투, 항상 이기려함, 추종자가 되기를 거부
3) 막내 아이
- 따라가야 할 모델이 많고 여러 사람에게서 많은 애정을 받는다는 것, 애정을 나누기는 해도 쉽사리 밀
려나지 않음.
- 긍정적 요소 : 항상 많은 자극과 많은 경쟁 속에 성장하게 되고 형제를 앞지르고자 하는 욕구가 강함
- 부정적 요소 : 누구에게나 열등의식을 가질 수 있고, 과잉보호로 인한 부적응을 보일 가능성이 있음.
90
4) 외동 아이
- 부모님의 애정 독차지
- 남자아이의 경우 아버지와 경쟁하려 하고, 부모의 지나친 애정을 받게 되는 경우가 많음
- 긍정적 요소 : 자부심이 강하고 자기중심적, 독립적으로 일을 추진하려는 성향
- 부정적 요소 : 공주·왕자병, 남들과 경쟁 피함, 자신만이 옳은 듯이 행동하려는 경향
3. 개인이 가진 욕구와 압력의 상호 작용 : 머레이
- 개인이 처한 사회적 조건에 따라 다른 욕구를 가지고 욕구를 달성하나 방해하는 압력 경험 → 욕구와 압
력의 상호작용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 또는 주제를 형성 → 주제 형성의 차이가 성격을 구성
- 사람들 간에 차이를 만드는 것은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욕구
어떤 욕구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는 다섯 가지 기준
ex) 높은 성취욕구를 가지고 있는 A라는 사람
① 관련된 행동의 결과 : A는 거의 전 과목에서 A학점을 취득하고, 언제나 수준 높은 리포트를 작성함.
② 관련된 행동유형의 차이 : 수업 전에 언제나 부지런히 학업준비를 하고 친구들과 술을 마시는 등의
학업에 유해한 행동은 기피한다.
③ 여러 가지 자극에 대해 선택적 지각을 하고 반응 : 서점에 가게 되면 학업과 관련된 도서나 관련 내
용에 더 주의를 기울이게 되고, 학업성취와 관련된 자료에 더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진다.
④ 특정한 정서나 감정을 표현 : 공부를 하는 것이 즐겁다거나 학업과 관련되지 않은 상황에 있거나 있
어야 되면 짜증을 내게 된다.
⑤ 결과를 성취한 후에는 강렬하게 만족감을 표현하거나 실패하게 되면 아주 실망하였다는 감정을 표현
: 자신이 이루어 낸 결과에 대해 강렬한 감정표현을 나타낸다.
▶ 개인이 어떤 욕구에 지배를 당하고 있느냐가 개인의 성격을 형성하는 기본
- 1차 욕구 : 신체 발달, 생리 욕구
- 2차 욕구 : 서위, 친애, 지배, 과시, 질서, 유희, 성욕구
▶ 욕구 충족을 돕거나 방해하는 외부세계의 힘을 압력이라고 함.
- 알파 욕구 :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압력
- 베타 욕구 : 개인이 주관적으로 지각·경험한 환경
▶ 성격 발달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압력
- 가까운 가족의 지지 결핍
- 어린 시절에 겪게 되는 불운이나 위험
- 어린 시절의 결핍 경험이나 중요한 것을 잃어버리는 상실 경험
- 주위로부터 받은 무관심, 거부, 경멸의 기억
- 동생의 출현
→ 주제(theme : 개인의 역사, 개인의 성격 구성) : 어린 시절 겪는 위와 같은 압력들이 개인에게 작용하여
특정 욕구가 더 강하게 표출되거나 억압되게 만드는 데, 욕구와 압력간의 상호 작용으로 각 개인의 독특한
기억을 형성하고 되고, 개인사 형성 형성하게 되는 것
▶ 주제 형성 결정 요인
- 신체적 결정 요인 : 연령, 성별, 체형, 피부색, 육체적 힘, 신체 결함 등
91
- 집단 성원 요인 : 가족, 인종, 종교, 민족, 정치, 지역, 사회경제적 집단
- 역할 요인 : 문화, 직업, 성역할 등
- 상황 : 개인의 일상적 경험, 인간관계, 가족 순위, 이혼 부모 등
4. 자기를 바라보는 관점과 주관적 경험의 차이 : 켈리, 로저스
- 개인이 세상을 바라보는 차이에 의해 성격의 차이 발생
켈리 : 구성 개념적 대안론 로저스
- 현실에 대한 개인의 지각은 해석에 따라
가변적, 객관적 실체나 절대적 진리는 존재하
지 않음.
- 성격 : 사람들은 각기 다른 개인적 구성개
념을 가지고 있으며, 이 구성개념의 차이가
바로 성격.
- 구성개념 :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 세계를
해석하고 구성하는 사고 범주
ex) 의과대학을 졸업한 학생이 애초의 계획을
버리고 연인과 함께 전원생활을 하기 위해
떠나는 경우 → 보는 사람의 구성개념에 따
라 이 학생의 행동을 다르게 해석
-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자아의 개념 이해해야함
- 개인의 행위를 지배하는 것 : 자극 상황에 대한 개인의 해
석과 그것에 대한 개인적 의미
- 현재 “지금-여기(now and here)” 개인이 무엇을 지각하고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알아야 함
- 자기개념의 차이가 개인 간의 성격 차이를 나타내 줌(자기
개념 : 현재 자신이 어떤 인간인가에 대한 개인의 신념)
- 개인의 자기 개념의 발달 기제
① 유기체적 평가과정 : 자기실현 동기를 촉진시켜주는가의 여
부로, 좋고 나쁨이 평가된다.
② 긍정적 대우에 대한 욕구 : 완전히 기능하는 자기개념을 형
성하기 위해서는 무조건적 긍정적 대우의 경험이 필요
→ 개인이 어떤 경험을 하고 자랐는가와 개인이 현재 시점에
서 자신의 과거 경험이나 현실을 어떻게 바라보느냐가 개인의
성격을 결정해 주는 것
5. 인간이 가진 특성의 차이 : 올포트
- 특성(trials)의 차이에 의해 개인들 간에 성격 차이 : 특성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얼마나 안정적이고
일관되게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에 더 관심을 가짐
- 특성 : 많은 자극을 기능적으로 동등하게 만들고, 동등한(의미있게 일관성 있는) 형태의 적응적·표현적 행
동을 시작하게 하고 이끌어가는 능력을 지닌 신경 정신적 구조
▶ 특성의 특징
- 개인이 다양한 종류의 자극에 대해 동등한 양식의 반응을 보이게 해 주는 성향이 있음
- 인지된 동일성(유사성)을 기초로 결합되어 표현된다.
- 비교적 일반적이고 지속적이다.
- 성격구조의 필수 요소를 이루며, 초점을 가지고 있다.
- 단순히 상황 의존적으로 행동하지 않고, 상황 개척적으로 행동하게 한다.
▶ 특성
- 공통 특성 : 한 문화권의 사람들이 서로 상호 비교해줄 수 있는 소질
ex) Bic Five : 내향성, 성실성, 심리적 안정성, 친화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의 5요인으로 구성
- 개별 특성 : 개인간에 비교될 수 없는 특정 개인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징 (개인의 사례나 일기, 편지
및 개인적 기록으로 파악할 수 있음)
92
6. 모델에 대한 학습과 자기 효능감의 차이 : 반두라
- 성격 중 많은 요소는 우리가 받아 온 사회화 학습의 결과
▶ 사회학습이론
① 인간의 내부과정(동기, 충동, 욕구 및 여타 동기적 영향들)만으로 또는 외부 환경적 요인만으로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상호 결정주의적 입장을 취함
② 처벌이나 보상과 같은 외적 강화물이 우리 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역할은 많지 않다고 봄.
③ 인간의 행동, 특히 성인의 행동을 설명하려면 자기 규제와 인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봄.
→ 인간이 환경에 새로운 의미 부여, 재배치하는 것과 같이 창조적이며 자기 생성적인 모습을 가진다는 것 강조
▶ 개인의 행동 설명
① 대리 강화 : 타인의 행동으로부터 관찰된 대리적 결과(보상, 처벌)에 의해 행동이 규제된 것
② 자기 강화 : 개인이 자기 자신에게 부여해주는 강화, 자기 자신의 행동에 의해 자발적으로 생산된 결과
를 통해 자기 스스로 지배되는 것
ex) 스스로 목표 설정 → 실행 → 행동 평가 → 처벌/보상
→ 자기강화의 역사가 개인 간 성격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것
③ 자기효능감 (self efficacy) : 특정 시기에 특정 유형의 과제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
ex) 자신이 이번에 담당하게 된 과제를 잘 해 낼 것이라는 믿음
cf. 자존감과 구별 (자존감 : 자신에 대한 전반적 지각, 감정)
▶ 자기 효능감을 얻게 되는 근원
① 과거의 실제 경험
② 대리 경험을 통한 경험
③ 좋아하는 사람이나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의 언어적 설득
④ 생리적 각성
→ 자기효능감의 차이도 개인 간의 성격 차이를 나타내는 근원이 됨
ex) 자기 효능감이 낮은 사람은 불안, 우울, 무력감 또는 수치심을 지니는 경향
◆ 정리하기
1. 마음 속 삼국 전쟁이 낳은 상처 : 프로이드
사람들이 발달 단계별로 원초아, 자아, 초자아 간의 갈등을 어떻게 극복하고 이해하였는지에 따라 개인의
성격이 결정된다고 봄
1) 구순기(구강기)적 성격 (출생~2세) : 어머니와의 갖게 되는 수유 경험에서 형성되는 성격, 유아가 세상에
서 처음 경험하게 되는 중요한 타인인 어머니와 갖게 되는 경험의 질에 의해 형성되는 성격
2) 항문기적 성격 (2~4세) : 배변 훈련 : 세상의 질서, 욕구 관리 방법을 배우게 됨
3) 남근기적 성격 (4~6세) : 남극기에 고착된 남성과 여성의 성격
2. 열등감의 극복과정과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 : 아들러
- 인간이 선천적으로 가지게 되는 열등감을 어떻게 극복하고 받아들이는가에 따라 각자의 생활양식이 달라
지고, 이런 생활양식이 개인의 성격을 형성한다고 봄
- 가족 내 개인의 사회적 조건이 성격 형성에 영향을 준다고 보아 출생순위별로 성격에 차이가 생긴다.
93
3. 개인이 가진 욕구와 압력의 상호 작용 : 머레이
개인이 처한 사회적 조건에 따라 다른 욕구를 가지고 욕구를 달성하나 방해하는 압력 경험 → 욕구와 압
력의 상호작용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 또는 주제를 형성 → 주제 형성의 차이가 성격을 구성
4. 자기를 바라보는 관점과 주관적 경험의 차이 : 켈리, 로저스
- 켈리 : 개인이 세상을 보는 눈인 개인적 구성개념의 차이가 바로 성격
- 로저스 :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자아개념
5. 인간이 가진 특성의 차이 : 올포트
특성(trials)의 차이에 의해 개인들 간에 성격 차이가 나타난다.
6. 모델에 대한 학습과 자기 효능감의 차이 : 반두라
- 성격 형성에 개인 내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 간의 상호작용적 입장을 취하고, 개인의 사회학습과정을 통
한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성격을 형성한다고 봄
94
Chapter 11. 지능과 심리검사
title 1. 심리검사의 요건과 지능검사의 발달
▶ 심리검사와 심리평가의 구분
- 심리검사: 심리적 측정도구
- 심리평가: 심리검사+면접+행동관찰+전문적 지식(심리검사든, 평가든 개인차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
1. 심리검사의 요건
- 심리검사는 인간행동 표본에 대한 표준화된 측정도구임
- 인간의 심리적인 행동을 이해하고 측정하고자 함
- 한 개인이 갖는 심리적 특성은 직접적 관찰이 불가능하므로 간접적인 방법인 심리검사를 통해 그 특성을 알 수 있음.
- 심리검사는 그 과정이 객관적이고 타당한 방법일 때 의미가 있음. 만약 심리검사가 심리검사로서의 역할
을 다하지 못하게 되면 측정하고자 하는 본래의 목적에 충실 할 수 없으므로 안하는 것만 못함. 따라서 검사
를 통해 나오는 측정치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문제를 반드시 논의해야 함
1) 표준화(standardization)와 규준(norm)
- 표준화 : 검사의 실시와 점수화에 있어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는 것
- 규준 : 점수의 비교기준(심리검사의 점수는 절대적이지 않음, 상대적으로 해석해야함, 점수 그 자체로는
의미가 없음)
- 검사가 사용될 지반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인 규준집단으로부터 얻은 검사점수의 분포.
- 검사규준은 심리검사에서 특정 개인의 점수가 다른 사람의 검사점수와 비교하여 어느 곳에 위치하는 지
알려줌 ← 검사결과가 어떤 의미인지 알려줌.
2) 신뢰도(reliability)
-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게 재고 있는지의 정도 → 검사 결과의 일관성
- 신뢰성 있는 검사일수록 동일한 검사에 대해 반복 측정 시 동일한 혹은 유사한 검사결과를 산출.
(1)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
- 동일한 검사를 피험자에게 두 번 실시하여 각각의 결과에서 얻은 점수로 신뢰도를 추정.
- 상관계수 : -1 < r < 1 (상관계수의 크기는 검사의 일관성에 대한 정확한 지표가 되며, 상관이 +1.00에
가까울수록 검사의 신뢰도가 높아진다)
(2) 동형검사 신뢰도(equivalent-form reliability)
- 어떤 한 검사의 내용은 같으나 문한의 형태가 다른 두 개의 동형검사를 제작, 실시하여 두 동형검사에
서 얻은 점수 사이의 상관을 통해 신뢰도 추정.
(3) 내적 합치도(internal cosistency reliability)
- 검사에 포함된 문항 하나하나를 모두 독립된 한 개의 검사로 생각, 그들 간의 합치도, 동질성, 일치성
을 통해 신뢰도 추정
3) 타당도(validity)
- 검사가 측정하려고 하는 것을 얼마나 잘 측정하고 있는 가에 대한 것
95
(1)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 검사의 내용이 측정하고자 하는 영역을 잘 측정하고 있는지의 정도
(2) 준거관련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 개인행동의 특정 측면을 예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어떤 시점(기준)을 잡느냐에 따라 구분.
① 공인 타당도: 검사결과가 현재의 피험자의 특성과 얼마나 잘 일치하는가
② 예언 타당도: 검사결과가 피험자의 미래의 행동이나 특성을 얼마나 잘 예측하는가
ex) 예언타당도가 높은 운전면허 적성검사에서 좋은 점수 받은 사람일수록 미래에 낮은 사고율을 보임
(3) 구성 타당도(construct validity)
- 검사결과가 그의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과 목적이 이론적 내용에 비추어 얼마나 적합한가 하는 정도
- 가설적 구성개념: 눈에 보이지 않는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만든 개념
4) 심리검사의 유형
- 피험자의 수에 따라 혹은 검사의 내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누어짐
(1) 지능검사
- 원래는 개인의 일반적 정신능력을 추정하고자 여러 가지 유형의 능력을 표집함.
ex) WAIS, K-WISC-Ⅲ 등
(2) 적성검사
-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능력, 가능성을 측정. ex) 지능검사, 수학능력시험 등
(3) 성취검사
- 특정 영역에 관해 개인의 학습정도, 성패 및 성취 정도를 측정. ex) 교내 중간/기말고사, 과거 학력고사 등
(4) 성격검사
- 사람의 개별성을 표현하는 다양한 성격특성을 측정. 적성/성취검사와 달리 정답이 없음 ex)TCI, 로르샤
하 검사, MMPI-2, HTP 등
▶ 검사 형태에 따른 분류
객관적 검사
예) MMPI, PAI, MBTI 등
투사적 검사
예) HTP, Rorschach 등
장점
• 실시와 채점이 용이
• 신뢰도, 타당도 확보
• 객관성의 증대
• 반응의 독특성, 풍부함
• 방어가 어려움
• 무의식적 내용의 반영
단점
• 사회적 바람직성
• 반응경향성
• 문항내용의 제한성
• 신뢰도, 타당도 문제
• 반응에 대한 상황의 영향
2. 지능검사의 발달
1) 골턴(Galton)의 지능검사
- 지능이 유전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함.
- 색지각, 청각 및 반응속도와 같은 감각과정을 측정하여 선천적인 인지능력을 측정하려고 함
96
2) 비네(Binet)의 지능검사
- 프랑스의 정상 교육으로부터 능력미달 아동을 선별하기 위해 개발됨
- Simon과 함께 검사제작(1915)하여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지능검사를 최초 개발. 검사점수가 곧 정신수준(연령)
cf. 미국 Terman의 Stanford-Binet(1916) 검사 출간
(비율 지능)IQ = 정신연령 / 생활연령(실제나이) x 100
- 1937, 1960, 1972, 1986년에 개정됨. 1986년 판에서는 IQ라는 말을 쓰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능검사
점수 이외에 15개의 하위 검사 점수와 4개의 영역 점수를 제공함
- 마지막 판의 저자인 손다이크는 일반적 능력, 유동지능과 결정지능 및 단기기억, 언어 추리능력과 수리추
리능력 과 같은 3수준 위계 모형을 채택함
3) 웩슬러의 지능검사
- 뉴욕의 임상심리학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WAIS) 제작(1939).
- 지능을 언어성, 동작성으로 구분, 편차 IQ 사용.
(1) 성인용: 만 16~64세 대상
- WAIS(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1955)→WAIS-R(1981)(개정판)
cf. 국내에서는 KWIS(1963)→K-WAIS(1992)→K-WAIS-Ⅳ(2012)
(2) 아동용: 만 6~16세 대상
- WISC(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WISC-R(1974)(개정판)→WISC-III(1991)(3판)
cf. 국내에서는 K-WISC(1974), KEDI-WISC(1991)→K-WISC-III(2001)→K-WISC-Ⅳ(2012)
(3) 유아용: 만4~6.5세 대상
- 1967년 WISC를 수정하여 개발한 것 WPPSI(Wechsler Preschool &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cf. 국내에서는 개정판을 번안한 K-WPPSI(1996) →WPPSI-R(1989)(개정판)
하위검사명 측정내용 문항구성 문항구성
언어성
검사
기본지식 개인이 가진 기본지식의 정도 29
숫자외우기 청각적 단기기억, 주의력 14
어휘문제 일반지능의 주요지표, 학습능력과 일반개념 정도 35
산수문제 수개념 이해와 주의집중력 16
이해문제 일상경험의 응용능력, 도덕적 윤리적 판단능력 16
공통성문제 유사성 파악능력과 추상적 사고능력 14
동작성
검사
빠진곳찾기 사물의 본질과 비본질 구분능력, 시각예민성 20
차례맞추기 전체 상황에 대한 이해와 계획능력 10
토막짜기 지각적구성능력, 공간적표상능력, 시각-운동협응능력 9
모양맞추기 지각능력과 재구성능력, 시각-운동 협응능력 4
바꿔쓰기 단기기억 및 민첩성, 시각-운동 협응능력 93
97
◆ 정리하기
1. 심리검사의 요건
1) 표준화와 규준
- 표준화 : 검사의 실시와 점수화에 있어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는 것
- 규준 : 점수의 비교기준
2) 신뢰도 :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게 재고 있는지의 정도
(1) 검사-재검사 신뢰도 : 동일한 검사를 피험자에게 두 번 실시
(2) 동형검사 신뢰도 : 어떤 한 검사의 내용은 같으나 문한의 형태가 다른 두 개의 동형검사를 제작, 실시
(3) 내적 합치도 : 검사에 포함된 문항 하나하나를 모두 독립된 한 개의 검사로 생각
3) 타당도 : 검사가 측정하려고 하는 것을 얼마나 잘 측정하고 있는 가에 대한 것
(1) 내용타당도 : 검사의 내용이 측정하고자 하는 영역을 잘 측정하고 있는지의 정도
(2) 준거관련타당도 : 개인행동의 특정 측면을 예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
① 공인 타당도: 검사결과가 현재의 피험자의 특성과 얼마나 잘 일치하는가
② 예언 타당도: 검사결과가 피험자의 미래의 행동이나 특성을 얼마나 잘 예측하는가
(3) 구성 타당도 : 검사결과가 그의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과 목적이 이론적 내용에 비추어 얼마나 적합한가 하는 정도
4) 심리검사의 유형 : 피험자의 수, 검사의 내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누어짐
(1) 지능검사 ex) WAIS, K-WISC-Ⅲ 등
(2) 적성검사 ex) 지능검사, 수학능력시험 등
(3) 성취검사 ex) 교내 중간/기말고사, 과거 학력고사 등
(4) 성격검사 ex) TCI, 로르샤하 검사, MMPI-2, HTP 등
2. 지능검사의 발달
1) 골턴의 지능검사 : 지능이 유전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함.
2) 비네의 지능검사 : 프랑스의 정상 교육으로부터 능력미달 아동을 선별하기 위해 개발됨
3) 웩슬러의 지능검사 : 뉴욕의 임상심리학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 지능을 언어성, 동작성으로 구분,
편차 IQ 사용.
(1) 성인용: 만 16~64세 대상 ex) WAIS
(2) 아동용: 만 6~16세 대상 ex) WISC
(3) 유아용: 만4~6.5세 대상 ex) WPPSI
title 2 지능검사에 관한 기본 개념과 유전과 환경
지능검사에 관한 기본 개념과 지능에 대한 유전vs환경
1. 지능검사에 대한 기본개념
1) 지능검사의 측정 대상 : 잠재력 대 지식
- 지능검사는 지적 잠재력을 측정하는 것에도 목적이 있음. 그러나 피검자의 배경이 모두 달라 이 차이로
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임. 따라서 개발자들은 피검자로 하여금 아주 상식적인 지식을
적용하여 풀 수 있는 문항을 작성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려 하였음
98
2) 지능 검사 점수의 의미
- 웩슬러 검사는 정상 분포와 표준 편차에 바탕을 둔 점수 체계로 전한되었음. 즉 어떤 심리적 속성이 정상적
으로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대부분의 사람은 그 심리적 속성치가 분포의 중심(평균)에 몰려 있고, 그 중
심에서 양측으로 멀어질수록 그 심리적 속성치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함.
정상분포에서 정류가 다른 검사점수 간의 관계
- 웩슬러 지능검사의 분표 평균은 100, 표전 편차는 15. 만일 지능검사 점수가 115라면 이는 평균보다 1
표준편차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것을 의미. 평균에서 2 표준편차(30점) 미만으로 내려가면 지능을 정신지체
수준으로 분류.
- 대부분의 지능검사에서 평균(M)=100, 표준편차(SD)=15, 1SD: 85< IQ< 115, 2SD: 70<IQ<130
웩슬러 지능검사의 지능 진단적 분류
IQ 분류 백분율
130 이상 최우수 2.3
120-129 우수 6.7
110-119 평균 상 18.0
90-109 평균 48.6
80-89 평균 하 15.3
70-79 경계선 7.3
69이하 정신지체 1.8
3) 지능검사의 신뢰도
- 비교적 다른 검사들보다도 신뢰도가 높음.
- 단, 평가 동기가 낮거나 검사에 대한 불안으로, 검사 점수가 낮게 나오는 경우는 있음.
- 따라서 지능검사의 신뢰도가 매우 높다 할지라도 해석상 주의가 필요함.
4) 지능검사의 타당도
- 기존의 IQ 검사는 그 검사가 학교에서 필요한 지능을 측정을 하고 있는지의 관점에서 타당성이 있었지
만, 보다 포괄적인 의미에서의 지능을 재고 있느냐 하는 점에서의 타당도는 다소 의심스러움
- 지능검사 점수와 학교 성적 간의 상관관계는 일반적으로 .50~.60의 정적 상관을 보인다고 조사됨
- 실제 IQ검사는 학교에서의 성공에 핵심요인인 추상적 논리와 언어적 유창성의 측정에 중점을 두고, 사회
적 능력, 문제해결능력, 창의성, 기계적 능력, 예술적 재능 등은 등한시한 것이 사실임.
▶ 스턴버그(R. Sternberg)가 말하는 3가지 유형의 지능
- 언어적 지능
- 실용적 문제 해결 지능
- 사회적 지능
99
일반인과 전문가가 생각하고 있는 지능의 개념과 구성요인의 중요도 순위 비교
일반인 전문가
실용적 문제해결 능력
- 논리적 추론
- 개념 간 연결 발견
- 문제의 모든 측면 조망
- 열린 마음을 가짐
문제해결능력
- 직면한 문제해결에 지식의 적용
- 우수한 결정
- 가장 바람직한 방식으로 문제를 제기
- 상식적인 행동을 보임
언어 능력
- 분명하고 명료하게 말함
- 언어적으로 유창
- 우수한 대화능력
- 특정 분야에 대한 풍부한 지식
언어지능
- 풍부한 어휘를 보임
- 높은 이해도를 가지고 독서
- 지적인 호기심을 보임
사회적 능력
-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
- 실수를 인정
- 세상에 대한 관심 표명
- 약속 시간 준수
실용적 지능
- 사태 파악을 잘함
- 어떻게 목표를 성취할 것인지 결정
- 세상에 대한 인식
- 세상에 대한 관심 표명
5) 정신지체와 영재성
- 대부분 IQ 검사에서 70점 이하의 점수는 정신지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정됨
- 하지만 지능검사를 유일한 기준으로 삼아서 정신지체 여부를 판정하지는 않음. 이와 더불어 일상적 생황
을 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의 결함, 18세 이전 사람의 일반 정신능력을 더하여 판정함.
- 이처럼 나이에 제한을 두는 이유는 정신지체를 아동기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규정하기 위한 것임.
정신지체의 네 가지 수준과 전형적 행동 특성
수 준
학령전기
(출생~5세)
학령기
(6~12세)
성인
(21세 이상)
경도 지체
(IQ 50-55~70)
(정신지체의 85%)
・사회적, 언어적 기술을 발달시키는
것이 가능 : 감각운동영역에서 지체
가 덜하다.
・나이가 들 때까지 좀처럼 구분하기
가 쉽지 않다
・‘교육가능한’ 수준
・10대 후반에 6학년 수준의 학업기술
정도 가지 배울 수는 있음.
・일반적으로 높은 학업 과목을 배우
기는 어려움.
・특수교육이 필요함, 특히 중・고등학
교 수준(8~12학년)
・적절한 교육과 훈련을 받기 위한 사
회적, 언어적 능력이 충분함.
・심각한 사회적 또는 경제적 스트레
스가 있을 때에는 종종 지도가 필요

중등도 지체
(IQ 35-40~50-55)
(정신지체의 10%)
・말 할 수 있거나 의사소통을 배울
수 있다.
・사회적 자각이 낮다.
・그저 그런 운동 발달
・중간정도의 지도감독하에 자기관리
를 할 수 있다.
・특수교육을 받으면, 10대 후반에 4
학년 수준의 기능적인 학업적 기술
을 배울 수가 있음.
・숙련이 요구되지 않는 직업이나 반
숙련이 필요한 직업에서의 수행능력
은 있음.
・중간정도의 사회적, 경제적 스트레
스에서는 지도 감독이 필요함
중도 지체
(IQ 20-25~35-40)
(정신지체의 3~4%)
・낮은 운동 발달
・언어는 최소수준
・아주 제한적이거나 거의 의사소통
기술이 없음.
・일반적으로 자기관리 훈련을 해도
잘 안됨.
・말하기 또는 의사소통을 배울 수가
있음.
・초등학교 건강 작업에서 훈련받을
수 있음.
・기능적인 학업적 기술은 배우지 못함.
・체계적인 작업훈련이 필요함
・완전한 지도감독하에서는 부분적으
로 자조가 가능함.
・환경을 조율하는데 있어 최소한으로
유용할 정도의 수준으로 자기보호기
술을 발달시킬 수 있음.
심각한 지체
(IQ 20-25 이하)
(정신지체의 1~2%)
・감각운동 영역의 기능성이 최소한의
능력만 있음.
・전적인 케어가 필요함
・몇몇 운동 발달이 나타남. 자기관리
훈련이 소용이 없음. 전반적인 케어
가 필요함
몇몇 운동 언어 발달이 나타남 , . ・
・전체적으로 자기 관리에 무능력함.
・완벽한 케어와 지도감독이 있어야 함.
100
원칙적으로 영재는 일반적 지능 특별한 학문 - , 적성, 창조성, 리더쉽, 예술 활동, 신체활동의 여섯 개 영역
중 어느 하나에만 매우 우수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지의 여부로 판단
- 그러나 실제로 아동의 영재성은 주로 지능검사 점수를 근거로 판정하는데, 일반적으로 지능 점수가 평균
보다 2 표준편차 이상의 점수를 보이는 아동은 지능 면에서 영재성을 가지고 있다고 간주함.
6) 지능의 연령에 따른 변화
- 2~3세 정도의 취학 전 아동의 IQ점수는 매우 불안정함
- 7~8세가 되면 점차 IQ점수가 안정이 되고, 이것을 통해 비교적 정확하게 성인 IQ를 예측할 수 있음
- 많은 사람들이 IQ점수는 변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는 IQ 검사가 전적으로 선천적 능력을 측
정하는 것이라는 잘못된 믿음 때문임.
- 지능검사 점수에는 유전뿐 아니라 환경도 기여한다는 점을 인지해야함.
7) 지능검사와 직업적 성공
- IQ점수와 직업적 성공 지표(예, 업무수행평가)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음이 밝혀짐
- 지능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은 공식적인 교육훈련에서 다른 사라보다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
을 뿐만 아니라, 직무상의 경험을 통해서 직무상에 도움이 되는 지식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해 볼 수 있음.
- 그러나 IQ가 직업적 성취의 절대적 결정 요인은 아님. 직업적 적성, 직무 동기도 성취에 큰 영향을 줌.
- IQ와 직업 성공 간의 상관계수가 낮게 나오는 경우도 있음(예, 어떤 사람의 지능이 120정도며, 사법고시
에 합격하여 사법연수원을 수료한 판사라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이 120이라는 점수는 훌륭한 판사가 될
수 있을지를 예언하는데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한다.)
8) IQ 점수에 있어서의 인종 간 차이
- 어떤 인종에서건 모든 범위의 IQ 점수를 관찰 할 수는 있지만, 미국 내 흑인의 평균 IQ는 백인의 평균
IQ 보다 12~15점 뒤진다고 함. 인종간에 IQ 차이가 존재할 수 있지만, 왜 그런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것에는 논란이 있음.
(1) 유전 기여도
- 지능에 있어서 인종간이 차이는 유전 때문이라는 주장(A. Jensen, 1969)
- 비판 : 젠센은 유전적 기여도를 너무 높게 잡았다(80%)
- 더불어, 아무리 지능에 대한 유전 기여도가 높다 해도, IQ에 있어서 집단 간 차이는 전적으로 혹은 부
분적으로나마 환경의 영향력이 존재함.
(2) 문화적 열악성
- 미국의 흑인계 학생의 IQ가 낮게 나온 것의 이유로, 흑인 사회의 피폐한 환경을 지적함. - 미국 사회
의 흑인은 오랫동안 경제적 차별을 받았고, 이에 따라 하위계층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아서임. 하위 계
층의 양육에는 아동의 지적 잠재력의 발달을 방해하는 많은 문화적 불이익이 수반되는 경향이 있음.
2. 지능결정인자로서의 유전과 환경
1) 유전적 영향
▶ 쌍생아 연구
- 만약 일란성 쌍생아가 이란성 쌍생아보다 지능검사 점수의 유사성이 더 높다면, 이는 일란성 쌍생아가
유전적으로 보다 유사하기 때문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음
- 함께 양육된 일란성 쌍생아 간의 지능검사 점수의 상관관계 계수의 중앙값은 .85임,
- 따로 양육된 쌍생아 간의 상관은 .67에 이름 (결과적으로 일란성 쌍생아가 지능에서 매유 유사함을 시사함)
101
이란성 쌍생아도 로 일란성의 - .58 경우보다는 낮긴 하지만 여전히 지능 면에서 상당한 유사를 나타냄.
- 그러나 부모나 친지가 이란성 쌍생아에 비해서 일란성 쌍생아를 좀 더 유사하게 대하기 때문에 지능지수
가 그만큼 비슷해졌다는 의견도 있음.
2) 환경적 영향
(1) 입양아 연구
- 입양된 아동의 지능 지수와 양부모의 지능지수 간 상관의 중앙값은 .20으로써, 이들 간에는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임. 또한 함께 자란 형제들 사이의 IQ 점수가 따로 떨어져 자란 형제의 IQ점수보다 더 유사함.
이는 동일한 유전인자를 물려받은 일란성 쌍생아의 경우도 마찬가지임.
(2) 결핍된 환경과 풍요로운 환경
- 열악한 환경에서 자란 아동은 성장함에 따라 IQ가 점차적으로 감소
- 정상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으로 옮겨진 아동들의 IQ 점수는 풍요로운 환경으로 인하여 점차적으로 증가.
3)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 반응범위모형 : 여러 연구자들은 유전에 의해서 지능 잠재력의 상한성과 하한선이 정해지고 그 잠재력의
범위 내에서 환경적 요인에 의해 개인이 실제 나타내는 지능의 정도가 결정된다고 가정
- 이러한 반응 범위는 IQ 척도 상에서 20~25점의 간격으로 추정됨.
◆ 정리하기
1. 지능검사에 대한 기본개념
1) 지능검사의 측정 대상 : 잠재력 대 지식
2) 지능 검사 점수의 의미 : 어떤 심리적 속성이 정상적으로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대부분의 사람은
그 심리적 속성치가 분포의 중심(평균)에 몰려 있고, 그 중심에서 양측으로 멀어질수록 그 심리적 속성치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함.
3) 지능검사의 신뢰도 : 지능검사의 신뢰도가 매우 높다 할지라도 해석상 주의가 필요함.
4) 지능검사의 타당도 : 보다 포괄적인 의미에서의 지능을 재고 있느냐 하는 점에서의 타당도는 다소 의심스러움
5) 정신지체와 영재성
- 지능검사와 더불어 일상적 생황을 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의 결함, 18세 이전 사람의 일반 정신능력을 더
하여 판정함.
- 원칙적으로 영재는 일반적 지능, 특별한 학문 적성, 창조성, 리더쉽, 예술 활동, 신체활동의 여섯 개 영
역 중 어느 하나에만 매우 우수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지의 여부로 판단
6) 지능의 연령에 따른 변화
- 7~8세가 되면 점차 IQ점수가 안정이 되고, 비교적 정확하게 성인 IQ를 예측할 수 있음
- 지능검사 점수에는 유전뿐 아니라 환경도 기여한다는 점을 인지해야함.
7) 지능검사와 직업적 성공
- IQ점수와 직업적 성공 지표(예, 업무수행평가)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IQ가 직업적 성
취의 절대적 결정 요인은 아님.
102
8) IQ 점수에 있어서의 인종 간 차이
- 인종 간에 IQ 차이가 존재할 수 있지만, 왜 그런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것에는 논란이 있음
(1) 유전 기여도 : 지능에 있어서 인종간이 차이는 유전 때문이라는 주장
(2) 문화적 열악성 : 흑인 사회의 피폐한 환경을 지적함
2. 지능결정인자로서의 유전과 환경
1) 유전적 영향
▶ 쌍생아 연구 : 만약 일란성 쌍생아가 이란성 쌍생아보다 지능검사 점수의 유사성이 더 높다면, 이는 일
란성 쌍생아가 유전적으로 보다 유사하기 때문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음
2) 환경적 영향
(1) 입양아 연구
(2) 결핍된 환경와 풍요로운 환경
3)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반응범위모형 : 여러 연구자들은 유전에 의해서 지능 잠재력의 상한성과 하한선이 정해지고 그 잠재력의
범위 내에서 환경적 요인에 의해 개인이 실제 나타내는 지능의 정도가 결정된다고 가정
title 3 지능이론
▶ 지능이란 무엇인가
- 지능의 정의는 학자들마다 다양함.
- 웩슬러(1958)에 따르면 "지능이란 어떤 목적을 향하여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환경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개인의 총체적이고 전체적인 능력이다."
- 지적 요인이 아닌 것도 포함(불안, 목표지향성, 의욕동기, 성격, 지구력)
▶ 지능의 정의를 내리는 데 걸림돌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 인간의 행동 속에서 지능의 작용을 분리 추출한다는 것의 어려움
- 지능이란 하나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
1. 스피어먼(Spearman)과 g요인(일반지능요인 또는 이요인 이론)
- 다양한 정신능력 영역을 측정하고 있는 많은 심리검사 간의 상관을 요인분석(여러 변인들 간의 상관을
분석하여 밀접하게 관련된 변인군을 찾아내는 것)함.
- 일반요인 g(general factor) : 모든 개인이 공통으로 갖고 있는 능력으로 모든 정신작용에 존재함
- 특수요인 s(Special factor) : 특정분야에 대한 능력으로 여러 가지 다른 과제에서 각각 얼마나 높은 점
수를 얻느냐로 나타남
2. 서스턴(Thurstone)의 기초정신능력
- 다중요인분석 사용한 결과, 지능이 서로 독립적인 다양한 능력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
- 기초정신능력 요인 : 단어유창성, 언어이해력, 공간능력, 지각속도, 수리능력, 귀납적 추리능력, 기억력
103
3. 길퍼드(Guilford)의 지적구조모형
- 서스턴이 제안한 7요인으로는 지능의 구조를 설명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ex. 창의력)
길퍼드의 지적 구조 모형
- 지능을 3가지 주요차원(내용×조작×산출)으로 묶인다고 봄. 총 150개의 요인들로 구성
① 조작(5개) : 검사에 의해서 요구되는 지적 조작들이 포함됨.
② 내용(5개) : 수검자에게 제시되는 검사재료나 정보의 성격을 의미
③ 산출(6개) : 정답을 도출해 내기 위해서 뇌가 산출해야 하는 지적 구조의 유형
4. 커텔(Cattell)의 유동지능과 결정지능
1) 유동지능(fluent intelligence) : 주로 비언어적이며 비교적 특정한 문화적 환경에 국한되지 않는 형태의
정신능력으로, 선천적으로 타고난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포함됨.
-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 것을 요구하는 과제에서 유동지능이 사용됨.
- 문화적 영향 즉, 교육이나 경험에 크게 영향 받지 않는 선천적 성향을 띤 능력
- 15세경에 발달의 정점을 이루고 20대까지 최고의 능력을 발휘, 이후로 점점 퇴화
ex) 기억력, 공간지각력, 추리력, 추상화능력, 문제해결력 등
2) 결정지능 : 유동지능을 사용하여 학습된 것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학습된 반응을 요구하는 과제에 사용됨.
- 후천적 학습 즉, 경험, 학교생활, 문화, 개인적 노력, 동기 등에 영향을 받는 능력
- 환경조건과 학습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으며 30-60세경까지 계속 증진, 개발
- ex) 언어이해력, 개념형성, 일반적 추리력, 판단의 합리성, 창의적 사유 등
104
5. 스턴버그(Sternberg)의 3유형이론
요소적
지능
초요소
나머지 요소들의 활동에 방향을 정하고, 일종의 행정을 담당하는 지적 과정
으로써, 지적 문제의 성격을 규정하고 문제해결전략 선택하며, 해결이 완수
되었는지 확인
수행요소
단기기억과 연역추리 등과 같이 문제해결이나 과업수행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정신과정으로써, 기존의 심리검사를 통해서 가장 잘 측정되는 요소
지식획득요소
정보를 학습하고 저장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암기력 향상을 위해 채택하
는 전략
경험적
지능
새로운 과제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능력으로, 새로운 개념적 틀 내에서 학습하고 생각하는 능
력도 포함된다고 함.
맥락적
지능
적응행동 개인이 생존을 위하여 처해 있는 환경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계발하는 활동
선택행동
기존이 환경에 맞지 않을 때 자신의 요구와 재능에 적합한 새로운 환경을
찾는 활동
조성행동
새로운 환경의 선택이 여의치 않을 때 기존의 환경을 자신의 요구에 맞게끔
고치려는 정신적 활동
- 스턴버그는 기존의 지능검사가 경험적 지능과 맥락적 지능의 측정을 전적으로 간과하고 있고 요소적 지능
에서도 주로 수행요소의 측정에만 치중하고 있다고 주장.
스턴버그의 3유형 이론
6.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 지능이 여러 개의 독립적인 영역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다중지능 이론을 제시
ex) 특정 부분의 뇌손상을 입은 사람은 그림을 이해하지 못하지만 그 밖의 다른 능력은 여전히 유지할 수
있음, 레슬리 렘케(Leslie Lemke)는 정신지체자로 태어났지만, 음악적 분야에서는 뛰어난 재능을 보여 피아
노곡을 한 번만 들으면 그대로 다시 연주 가능
105
음악적 지능 악기를 쉽게 다루거나 음악적인 표현을 할 수 있는 능력
신체-운동적 지능 신체의 일부 혹은 전체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창조적인 표현을 하는 능력
논리-수학적 지능 논리력과 수리력 그리고 과학적인 능력
언어적 지능 논리적인 지능과 더불어 전통적으로 심리학자들이 ‘지능’이라 칭해 온 능력
공간적 지능 공간세계에 대한 정신적 모형을 만들어 그것을 조절하고 활용하는 능력
대인관계 지능 다른 사람의 동기나 생각, 의도를 이해하는 능력
자기이해 지능
자신의 욕망, 두려움, 재능 등을 정확히 이해하고 판단하여 효과적으로 삶을 영위해
나가는 능력
(자연 지능) 자연에서 새로운 패턴을 감지해 내는 능력 ex) 다윈
(영적 지능)
우주적이고 실존적인 문제에 관심을 갖는 능력과 삶의 궁극적인 의미를 발견하는
능력 등이 포함됨.
- (괄호 안의 지능)은 가드너가 최근(1998)에 덧붙여 몇 가지 영역을 추가로 제시한 것
- 반론 : 만약 여러 지능이 실제로 독립적이라면 특수한 재능을 지닌 정신지체자가 보다 많이 존재하여야
하지만 그렇지 않으며, 그들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재능도 자세히 조사해 보면 그다지 창조적이고 특출한
재능이라 할 수 없다는 주장도 있음.
◆ 정리하기
1. 스피어먼과 g요인
- 다양한 정신능력 영역을 측정하고 있는 많은 심리검사 간의 상관을 요인분석함.
1) 일반요인 g: 모든 개인이 공통으로 갖고 있는 능력
2) 특수요인 s: 특정분야에 대한 능력
2. 서스턴의 기초정신능력
단어유창성, 언어이해력, 공간능력, 지각속도, 수리능력, 귀납적 추리능력, 기억력
3. 길퍼드의 지적구조모형
1) 조작(5개) : 검사에 의해서 요구되는 지적 조작들이 포함됨.
2) 내용(5개) : 수검자에게 제시되는 검사재료나 정보의 성격을 의미
3) 산출(6개) : 정답을 도출해 내기 위해서 뇌가 산출해야 하는 지적 구조의 유형
4. 커텔의 유동지능과 결정지능
1) 유동지능 : 선천적으로 타고난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포함됨
2) 결정지능 : 후천적 학습에 영향을 받는 능력
5. 스턴버그의 3유형이론
1) 요소적 지능 : 초요소, 수행요소, 지식획득요소
2) 경험적 지능
3) 맥락적 지능 : 적응행동, 선택행동, 조성행동
6.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 지능은 여러 개의 독립적인 영역들로 구성되어 있다.
음악, 신체-운동적, 논리-수학적, 언어적, 공간적, 대인관계, 자기이해, (자연), (영적)
106
Chapter 12. 사회 및 건강심리학
title 1. 사회적 지각 및 관계
1. 사회적 지각
- 사람들이 타인을 이해하는 주관적인 과정
- 사회적 지각은 관찰, 귀인, 통합 및 확증 과정으로 이루어짐
사회적 지각과정 (Brehm, Kassin & Fein, 2005)
1) 귀인 : 개별 정보로부터 성향 추론
- 말이나 행동 또는 상황을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타인의 의도를 추론을 하게 되는 과정
- 타인이나 자신의 행동에 관해 인과적 설명에 이르는 과정
- 성격 특성이나 태도와 같은 타인의 내적 성향을 파악해야 효율적인 상호작용하고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
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1) 귀인 방식
- 외부 귀인 : 환경, 운, 과제 난이도와 같은 상황 요인에 귀인하는 경우
- 내부 귀인 : 대상의 성격, 태도, 동기, 능력과 같은 개인 성향에 귀인하는 경우
(2) 공변 모형
일관성 :
장동건을 볼 때 마다
항상 열광하는가?
합의성 :
다른 사람들도
장동건에게
열광하는가?
독특성 :
다른 배우에게는
열광하지 않는가?
외부귀인 :
장동건의 특성
때문이다.
내부귀인 :
수정이의
특성 때문
아니오
아니오
[영화배우 장동건에게 열광하는 여고생 수정이의 행동을 공변모형에 따라 분석한 예]
- 공변원리(Kelley, 1967) : 어떤 원인이 존재할 때만 어떤 효과가 나타나서 원인과 효과가 공변하면 그
효과를 그 원인에 귀인하게 되는 것
107
▶ 공변 모형의 요소
- 일관성 : 행위자의 행동은 다른 때나 다른 맥락에서도 항상 나타나는가?
- 독특성 : 그 행동은 특정 대상에게만 나타나는가?
- 합의성 : 다른 사람들도 그 상황에서 그렇게 행동하는가?
(3) 귀인편파
① 기본적 귀인오류 : 타인의 행동을 설명 할 때 상황의 영향은 과소평가 하는 것
② 자기기여편파 : 자신의 행동을 설명할 때 자신을 호의적으로 지각하고 드러내 보이려는 일련의 경향
- 거짓 합치성 효과 : 자신의 의견이나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의 보편성을 과대평가 함
- 거짓 특이성 효과 : 자신의 능력이나 바람직한 행동의 보편성을 과소평가하는 것
2) 통합 : 추론한 성형을 토대로 인상형성
(1) 인상 형성 과정
먼저 소수의 피상적인 인상 정보를 알게 되면, 이를 바탕으로 다수의 미확인 정보를 추론하고, 수집한 정보
중에서 최종 인상 판단에 사용할 정보를 선별한 후, 이 정보들을 통합하여 전반적인 인상을 형성하게 됨
① 인상정보의 추론
- 도식 : 어떤 대상이나 개념에 관한 조직화되고 구조화된 신념들
▶ 인상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도식
- 고정관념 : 어떤 집단이나 사회적 범주 구성원의 전형적 특성에 관한 신념
- 내현성격이론 : 성격 특성 간의 관련성에 관한 개인의 신념으로써 보이지 않는 성격을 판단하는 틀로
이용됨. ex) 어떤 사람과 대화를 나누어 보고서 그가 유머러스하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내현성격이론에 따
라서 그가 사교적이고 낙천적이며 부드러운 사람일 거라는 추론이 되는 것)
② 인상정보의 통합
- 평균 모델(Anderson, 1965) : 인상정보의 호오도(好惡度)를 평균한 값이 전반적 인상이라는 것
- 가중 평균 모형(Anderson, 1968) : 평균 모형을 수정하여 모든 정보의 호오도를 평균하되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인상을 형성한다는 것
(2) 인상형성에서의 편파
- 후광효과 : 하나를 알면 열을 안다는 속담처럼 타인을 내적으로 일관되게 평가하려는 경향 ex) 어떤 입
사 지원자의 외모가 단정하고 잘생겼으면, 성격도 좋고 능력도 뛰어날 것이라고 추론하는 것)
- 부정성 효과 : 인상형성 과정에서 긍정적 특성보다 부정적 특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 ex) 인기절정
의 연예인이 추문에 휘말리면 금방 대중들이 반감을 갖게 되고, 인기를 만회하기가 상당히 어려워지는 것.
3) 확증 : 인상에서 현실로
(1) 도식적 정보처리
- 인지적 구두쇠 : 사람들의 정보처리 능력은 한계가 있으므로, 사회적 정보를 처리할 때 지름길로 질로 가
고, 상황 파악에 대한 노력을 최소화 하는 것, 신속하고 효율적인 정보처리가 가능하나 그만큼 정확성은 떨
어지게 됨
▶ 도식적 정보처리의 장점
- 회상을 용이하게 함
- 정보처리 시간을 단축
- 누락된 정보를 메워 줌
- 규범적 기대를 제공
108
(2) 자성예언
- 타인에 대해서 어떤 기대나 신념을 가지면 타인으로 하여금 기대와 일치하는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여 자
신의 기대를 확증시키는 경향
2. 사회적 관계
1) 친밀한 관계
(1) 호감
▶ 매력을 느끼게 하는데 중요한 4가지 요소
① 근접성 : 물리적으로 근접해 있을수록 자주 만날 수 있고, 친숙해 지기 때문.
- 단순접촉효과 : 낯선 자극을 반복해서 접하게 되면 호감이 증가하는 경향. 단, 첫인상이 부정적이면 단
순접촉효과는 나타나지 않음.
② 외모 : 남녀노소 불문하고 잘생긴 사람을 좋아함. 외모는 동성보다는 이성 간의 관계에서, 그리고 관계
초기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지님. 이와 더불어 후광효과도 작용함
③ 유사성 : 유유상종, 사람들은 태도, 가치관, 성격 또는 배경 등이 자신과 비슷하다고 지각하는 사람을
좋아함. 유사성-매력효과는 외모-매력 효과보다 더 우세함.
- 걸맞추기 현상 : 데이트와 결혼에 있어서 외모나 기타 특성이 자신과 엇비슷한 상대를 선택하는 경향
④ 상대의 호의 : 자신을 좋아하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을 좋아하는 것. 자신에게 호의를 보이는 상
대를 좋아하는 이유는 상대에게 호의를 받은 만큼 자신도 동일한 정서로 보답해야 한다는 일종의 의무감
을 느끼게 되기 때문이라고 해석.
(2) 사랑
▶ 사랑의 세 요소(Rubin,1973)
- 상대방과 신체적으로 같이 있으면서 정서적인 지지를 하는 애착관계
- 상대방의 안녕에 관심을 가지는 보살핌
- 상대방과 가까우면서 비밀스러운 대화를 유지해 줄 수 있는 친밀감
▶ 사랑의 삼각형 이론(Sternberg,1986)
사랑은 열정(초기의 사랑으로서 신체적 매력이나 성적 흥분과 관련된 욕망), 친밀감(서로 가깝고 맺어져
있다는 느낌) 및 헌신적 태도(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다는 결정 및 그 관계를 유지하려는 의지)의 세 요소로
구성되며, 정삼각형처럼 세 요소가 각각 충분한 강도로 균형을 이룰 때 완전한 사랑이 된다고 하는 것
사랑이 삼각형 이론
109
사랑의 스타일(▶ John allan Lee, 1974)
- 낭만적 사랑 : 신체적인 미를 강조, 상대방과의 스킨십이나 감각적인 쾌감을 강조
- 유희적 사랑 : 상대방에 대한 깊은 관계에는 별로 관심이 없고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을 사귀고 헤어지는 사랑
- 소유적 사랑 : 상대방을 소유하고 집착하는 사랑의 형태, 질투로 얼룩진 사랑, 상대방을 소유하려 하기
에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사랑했다가 싸우고 하는 관계가 지속
- 열정적 사랑 : 상대방에 대한 사랑의 감정이 서서히 발전하지만, 지속적이고 안정된 관계를 유지
- 희생적 사랑 : 상대방에게 기대하는 것 없이 상대방을 위해 자기를 희생하는 사랑
- 실용적 사랑 : 서로가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면에 초점을 두면서 하는 사랑
▶ 자기 노출 : 상대로부터 노출을 받은 사람은 상대를 이해하고 신뢰하게 되며, 자신도 상대에게 노출함으
로써 두 사람은 친밀한 관계로 발전하게 됨. 또한 자기를 노출함으로써 자신을 더욱 명료하게 이해하게 되
고, 자신의 입장을 타당화 할 수 있으며, 감정이 정화되는 카타르시스를 경험할 수도 있음.
2) 편견
어떤 집단이나 집단 구성원에 대한 비합리적인 부정적 평가 (고정관념 : 어떤 집단이나 구성원의 특징에 관
한 인지적 신념 / 편견과 고정관념은 다른 의미임)
ex) 중국인은 게으르다는 생각은 고정관념, 그래서 중국인이 싫다는 감정은 편견임
(1) 편견의 발생원인
① 사회적 학습 : 편견은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일종의 사회적 규범으로써 어릴 때부터 학습됨. 편견을
습득하는 데는 부모, 또래집단, 매체 및 교과서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함.
② 현실적 집단 갈등 : 한정된 자원을 놓고 경쟁을 벌이다가 적대감이 서로에게 들면, 상대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게 됨.
③ 사회적 불평등 : 불평등한 지위나 분매는 만족스러운 쪽과 불만족스러운 쪽 모두 상대에 대한 편견을 갖게 만듦.
④ 범주화
- 대인지각과정에서 자연 발생하는 인지적 편파들이 고정관념과 편견을 초래. 사람들은 범주화를 해서 지
각하는 경향이 강한데, 이는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고정관념적으로 처리하여 오
류를 범할 가능성이 커짐.
- 사람들은 ‘우리’, ‘남들’과 같은 내집단, 외집단으로 범주화 하게 되면, 내집단 구성원을 무조건 호의적으로
평가하는 내집단 편애현상이 나타남 → 외집단 구성원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차별대우하도록 하게 함.
(2) 편견의 해소 방안
- 적대적 집단 간의 직접 접촉이 가장 중요, 그러나 아래 네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함
① 지속적인이고 친밀한 접촉
② 공동의 위협에 대처하거나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협동하고 상호의존해야 함
③ 두 집단이 동등한 지위를 가지고 접촉해야 함
④ 사회적 규범, 편견탈피나 평등을 지지해야 함
◆ 정리하기
1. 사회적 지각 : 사람들이 타인을 이해하는 주관적인 과정
- 사회적 지각은 관찰, 귀인, 통합 및 확증 과정으로 이루어짐
1) 귀인 : 개별 정보로부터 성향 추론
(1) 귀인 방식 : 외부 귀인(외부 상황 요인에 귀인하는 경우), 내부 귀인(개인 성향에 귀인하는 경우)
(2) 공변 모형
110
- 공변 모형의 요소 : 일관성, 독특성, 합의성
(3) 귀인편파
① 기본적 귀인오류 : 타인의 행동을 설명 할 때 상황의 영향은 과소평가 하는 것
② 자기기여편파 : 자신의 행동을 설명할 때 자신을 호의적으로 지각하고 드러내 보임
- 거짓 합치성 효과 : 자신의 의견이나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의 보편성을 과대평가
- 거짓 특이성 효과 : 자신의 능력이나 바람직한 행동의 보편성을 과소평가
2) 통합 : 추론한 성형을 토대로 인상형성
(1) 인상 형성 과정
먼저 소수의 피상적인 인상 정보를 알게 되면, 이를 바탕으로 다수의 미확인 정보를 추론하고, 수집한 정
보 중에서 죄종 인상 판단에 사용할 정보를 선별한 후, 이 정보들을 통합하여 전반적인 인상을 형성하게 됨
① 인상정보의 추론
- 인상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도식 : 고정관념과 인상정보의 통합
(2) 인상형성에서의 편파 : 후광효과, 부정성 효과
3) 확증 : 인상에서 현실로
(1) 도식적 정보처리
- 인지적 구두쇠 : 사회적 정보를 처리할 때 지름길로 질로 가고, 상황 파악에 대한 노력을 최소화 하는 것
▶ 도식적 정보처리의 장점 : 회상을 용이하게 함, 정보처리 시간을 단축, 누락된 정보를 메워 줌, 규범적 기대를 제공
(2) 자성예언 : 타인에 대해서 어떤 기대나 신념을 가지면 타인으로 하여금 기대와 일치하는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여 자신의 기대를 확증시키는 경향
2. 사회적 관계
1) 친밀한 관계
(1) 호감 : 근접성, 외모, 유사성, 상대의 호의
(2) 사랑
- 사랑의 세 요소 : 애착관계, 보살핌, 친밀감
- 사랑의 삼각형 이론 : 열정, 친밀감 및 헌신적 태도가 정삼각형처럼 각각 충분한 강도로 균형을 이룰 때
완전한 사랑이 된다고 하는 것
- 사랑의 스타일 : 낭만적, 유희적, 소유적, 열정적, 희생적, 실용적
- 자기 노출 : 상대로부터 노출을 받 사람은 상대를 이해하고 신뢰하게 되며, 자신도 상대에게 노출함으로
써 두 사람은 친밀한 관계로 발전하게 됨.
2) 편견
(1) 편견의 발생원인 : 사회적 학습, 현실적 집단 갈등, 사회적 불평등, 범주화
(2) 편견의 해소 방안 : 지속적인이고 친밀한 접촉, 공동목표를 향한 협동하고 상호의존, 동등한 지위에서
의 접촉, 편결탈피나 평등을 지지
title 2 사회적 영향 및 집단에서의 행동
1. 사회적 영향
1) 태도와 태도의 변화
▶ 태도 : 어떤 사람이나 대상에 대한 신념, 감정 및 행동 의도를 총칭하는 개념
111
(1) 태도와 행동의 관계
① 태도를 통한 행동의 예측
- 태도가 행동을 결정한다는 가설에 대해서는 여러 지지 및 반대증거가 혼재함
[ 여러 연구들의 결과, 태도와 행동 간의 일관성은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 태도가 강하고 명료할수록 태도와 일치하는 행동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 태도는 불안정해서 시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태도와 행동이 거의 동시에 측정될 때 일관성이 확
보될 수 있다.
- 일반적 태도보다는 행동과 구체적으로 관련된 태도를 측정하며 일관성이 더 높아진다.
- 하나의 행동은 일반적으로 여러 태도와 관련되어 있는데, 행동을 할 당시에 가장 특출한 태도에 따
라서 행동이 결정된다.
-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상황적 압력이 적을수록 일관성은 증가한다.
② 행동을 통한 태도의 예측
인지 부조화 이론 : 사람들이 심리적 일관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음을 가정하여, 태도와 행동의 불일치, 즉
부조화되면 불편감이 생겨서 조화상태를 회복하려는 동기가 유발된다는 것, 그런데 행동은 대개 취소하거나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주로 태도를 행동과 일관되도록 변화시킴으로써 부조화를 감소시키게 됨
(2) 태도 변화
▶ 설득 효과 : 설득효과는 네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짐
- 설득자 : 전문성이 높은 사람, 사심 없고 객관적이고 신뢰감을 주거나 매력적인 사람
- 설득 내용 : 설득 대상의 기존 태도와 적당한 차이가 있어야 함. 지나치게 크면 메시지 자체를 부정하게
됨. 설득 시 객관적 통계치를 제시하는 이성적 내용보다는 유머를 수사하여 기분 좋게 하거나 공포를 유
발하는 등 상대의 감성에 호소하는 것이 더 효과적
- 설득 대상
* 자아관여 : 설득 주체가 설득 대상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자아관여 수준이 높으면 대상은
설득 내용을 심사숙고해서 반응함. 반면 관여 수준이 낮으면 설득자의 외모와 같은 주변적 단서에 의해
반응이 좌우됨
* 태도면역 : 설득 대상이 자신의 태도에 대해 약한 공격을 받고 방어한 경험이 있다면, 강한 설득 메시
지에도 저항할 수 있음.
- 설득 상황 : 다소 주의가 분산되는 분위기가 효과적, 설득 대상이 설득 메시지에 주의 집중 할 수 있는
상황에서는 메시지에 대한 반대 주장을 떠올리기가 더 쉽기 때문.
2) 동조와 복종
(1) 동조 : 유향을 다르거나, 친구 따라 강남 가는 것처럼 타인이 어떤 행위를 하기 때문에 자의적으로 그
행위를 수행하는 것. 결정을 내리기 모호한 상황에서는 흔히 타인의 행위를 판단기준으로 삼아서 그대로 따
라곤 함. 이는 진실이 명확한 상황에서도 나타남
- 동조량 : 개인과 타인 간의 유대가 강할수록 커짐, 타인 중에 한명이라도 다른 견해를 표명하면 크게 감소함.
- 동조 이유 : 타인의 행동이 현실 판단에 유용한 정보가 되기 때문, 사람들은 타인에게 인정받거나 배척당
하지 않으려고 타인의 입장에 동조하기 때문
(2) 소수 영향 : 참신하거나 독특한 관점을 지닌 소수도 다수의 입장을 변화시킬 수 있음.
▶ 소수 영향의 조건
- 소수의 주장과 행동 양식이 힘 있고 일관성이 있어야 함
- 소수는 노리나 합리성 등으로 다수의 입장을 효과적으로 반박할 수 있어야 함
- 소수의 주장이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와 일치해야함
112
문제되는 행동이나 태도를 - 제외한 다른 측면에서는 소수가 다수와 유사하면 더 효과적.
(3) 복종
- 사람들은 권위 있는 인물의 명령에 대체로 잘 복종함. 심지어 권위 있는 인물의 요구가 자신의 소신이나
사회적 규범을 어긋나더라도 맹목적으로 복종하는 경향이 있음.
- 권위에 무조건 복종하는 현상이 감소되는 조건 : 피해자의 고통이 매우 심하다고 판단되거나 피해자가
근접해 있어서 서로의 얼굴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권위 있는 인물의 합법성이나 동기가 의문시되거나, 자
신의 행위에 대해서 개인적인 책임감을 느낄 때, 동조와 마찬가지로 불복종 모델을 목격한 경우.
2. 집단에서의 행동
1) 집단에서의 정체감
(1) 사회적 정체감 : 개인이 어떤 집단에 소속되어 그 집단에 동일시하게 되면, 개인적 정체감은 상실하고
새로운 정체감, 즉 집단이 한 구성원으로서 자신을 정의하는 사회적 정체감을 갖게 됨.
- 집단에 동일시하는 정도가 클수록 그 집단의 일원이라는 사실이 자기개념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며, 자신을 타인에게 소개할 때 그 집단의 일원임을 우선적으로 내세우게 됨.
- 사회적 정체감을 갖게 되면 내집단, 외집단으로 사람들을 구분하여 지각함
(2) 몰개인화 : 집단 내에서 구성원이 개인적 정체감과 책임감을 상실하여 집단 행위에 민감해지는 현상
- 집단 속에서 활동할 때 사람들은 자신의 가치관이나 특성에 대한 인식이 약해지고, 대신에 집단 구성원
의 행동이나 정서 또는 상황에 주의 집중하게 되어 개인적으로 도저히 행하지 못할 극단적이며, 비이성적
인 행동을 저지르기도 함.
2) 집단에서의 수행
(1) 사회적 촉진
- 혼자일 때보다 타인이 존재할 때 개인의 수행이 더 좋아지는 현상
- 타인의 존재가 오히려 방해가 되는 경우 : 과제의 특징에 기인됨, 대체로 쉽거나 잘 학습된 과제에서는 타인
의 존재가 수행을 촉진, 그러나 어렵거나 잘 학습되지 않은 과제에서는 타인의 존재가 수행을 떨어뜨림.
- 자이언스(Zajonc, 1965)는 과제 특성에 따란 차별적 효과를 종합하여 쉬운 과제에서는 성공이 우세반응
이며, 어려운 과제에서는 실패가 우세반응이므로, 사회적 촉진은 결국 타인의 존재가 우세반응을 강화시키
는 현상이라고 정의하기도 함.
▶ 사회적 촉진의 발생원인
- 추동이론(Zaionc, 1965) : 타인이 존재하면 개인의 추동 수준이 증가, 추동이 증가하면 우세반응 강화
- 타인이 왜 추동을 유발하는가?
* 평가우려설 :타인이 자신의 능력을 평가할 거라는 걱정이 추동을 일으킨다는 것
* 주의분산-갈등설 : 타인이 존재하면 과제에 집중하지 못하고 타인에게 주의가 분산되는데, 과제에 주
의하는 일과 타인에 주의하는 일 사이에 갈등이 생겨 추동이 증가한다는 것
(2) 사회적 태만
- 혼자 일할 때보다 집단으로 일 할 때 노력을 절감해서 대인 당 수행이 저하되는 현상
- 반면, 사회적 촉진 현상은 개인별 수행이 확인 가능할 상황에서 나타남
(3) 경쟁과 협동
① 죄수의 딜레마 게임
사람들은 집단 내에서 서로 협동할 수도 있고 경쟁할 수도 있을 때 어떤 선택을 하는가?
113
[죄수의 딜레마 게임의 예]
체포 되더라도 여죄를 절대 자백하지 않기로 굳게 약속한 A와 B 두 범죄자가 체포되어 각각 여죄를
추궁 받고 있다. 그들 모두 여죄를 자백하지 않으면 각자 1년 형을 받으며, 어느 한명만 자백을 하면
자백한 자는 집행유예로 석방되지만, 자백하지 않은 자는 15년 형을 받게 된다. 그리고 둘 다 자백하
면 각자 10년 형을 받는다.
가장 유리한 전략은 약속대로 자백을 하지 않는 방법(협동)임. 그러나 상대가 자백하지 않으리라고 확신하
다면 자백해서 (경쟁) 석방되는 편이 더 나음. 실험실 결과 대분의 피험자들은 경쟁을 선택함. 게임이 진행
될수록 경쟁하는 경향이 더 커짐.
→ 이유 : 상대가 과연 협동할지가 불확실하기 때문임. 그리고 단일, 또는 단기적 상황에서는 경쟁이 더
이익이 되기 때문임.
② 사회적 딜레마 : 개인에게 즉각적인 보상을 주지만, 장기적으로는 개인과 집단 전체에 해로운 결과를 초
래하는 것
▶ 사회적 딜레마를 해결하는 몇 가지 방안
- 공동선(共同善)을 성취하기 위한 법률이나 규제안 발현
- 협동적인 사람에게 보상을 더 주는 것, 협동을 유도
- 공동체 의식 증가, 사람들의 이타성에 호소
- 집단토의 등 의사소통 활성화 하여 상호 불신 해소
3) 집단의사결정
(1) 집단 극화 : 집단 토의와 같은 집단 상호작용 이후 구성원의 태도나 의견의 평균은 상호작용 이전의 평
균과 동일한 방향으로 더 극단화 되는 것.
▶ 집단 극화의 원인 :
- 설득효과 때문 : 혼자 생각 못했던 새로운 주장을 접하게 되는데, 이 주장 중에서 집단의 전반적 성향과
일치하는 주장이 설득적으로 지각되어 그 주장들의 방향으로 구성원의 의견이 변화된 결과
- 사회 비교를 통한 자기과시의 산물 : 자신을 호의적으로 나타내려는 자기과시욕구가 있어서 토의에서 비
교해 본 결과 자신의 입장이 타인보다 덜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면, 좀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자신의 입장을
바꾸게 되어 결과적으로 집단극화가 발생
- 사회적 정체감을 집단극화의 결정적 조건 : 집단 토의는 구성원으로 하여금 내집단 인식을 불러일으켜 지
단에 동일시하게 하는데, 집단에 동일시하면 구성원들은 지단 규범에 동조하게 됨. 그런데 대체로 집단 규범
은 집단 평균보다 약간 더 극단적으로 지각되기 때문에 규범에 동조하면 곧 집단 극화의 결과가 나타남
114
집단 사고 응집성이 높은 집단에서 (2) : 초래될 수 있는 비합리적이고 비생산적인 결정이나 판단
① 집단 사고의 원인
- 집단 응집성이 높고, 집단이 외부로부터 단절되어 있고, 집단 내에서도 대안을 심사숙고하는 절차가 미
비할 때, 리더가 지식적이고, 리더가 제시한 방안보다 더 좋은 방안을 찾을 가망이 없어서 스트레스가 높
을 때 → 내집단을 과대평가하고, 외부에 대해 폐쇄적인 입장을 취하며, 딥단 내에 획일성을 추가하는 압
력이 크게 작용하게 됨
② 집단 사고의 예방
- 리더는 구성원들에게 모든 제안들에 대한 반론과 의문을 제기하도록 권장
- 리더 자신의 견해를 표명하는 것을 삼가고, 자신의 선호를 밝힐 경우는 최후에 표명해야 하며, 구성원들
의 비판을 받아들일 자세가 되어 있어야 함.
- 적어도 한사람은 다른 구성원들의 아이디어에 비판만 하는 역할을 하도록 지명
- 외부의 전문가들을 때때로 초빙하여 집단 토의에 참여시킴
- 집단을 여러 개의 하위 집단으로 나누어 독립적으로 토의한 후 함께 모여서 차이를 조정하도록 함.
◆ 정리하기
1. 사회적 영향
1) 태도와 태도의 변화
▶ 태도 : 어떤 사람이나 대상에 대한 신념, 감정 및 행동 의도를 총칭하는 개념
(1) 태도와 행동의 관계
① 태도를 통한 행동의 예측 : 태도가 행동을 결정한다는 가설에 대해서는 여러 지지 및 반대증거가 혼재함
② 행동을 통한 태도의 예측
인지 부조화 이론 : 사람들이 심리적 일관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음을 가정하여, 태도와 행동의 불일치,
즉 부조화되면 불편감이 생겨서 조화상태를 회복하려는 동기가 유발된다.
(2) 태도 변화
설득 효과 : 설득자, 설득 내용, 설득 대상(자아관여, 태도면역), 설득 상황에 따라 달라짐
2) 동조와 복종
(1) 동조
- 동조량 : 개인과 타인 간의 유대가 강할수록 커짐
- 동조 이유 : 타인의 행동이 현실 판단에 유용한 정보가 되기 때문, 사람들은 타인에게 인정받거나 배척당
하지 않으려고 타인의 입장에 동조하기 때문
(2) 소수 영향 : 참신하거나 독특한 관점을 지닌 소수도 다수의 입장을 변화시킬 수 있음.
(3) 복종 : 사람들은 권위 있는 인물의 명령에 대체로 잘 복종함
2. 집단에서의 행동
1) 집단에서의 정체감
(1) 사회적 정체감 : 개인이 어떤 집단에 소속되어 그 집단에 동일시하게 되면, 개인적 정체감은 상실하고
새로운 정체감감을 갖게 됨
(2) 몰 개인화 : 집단 내에서 구성원이 개인적 정체감과 책임감을 상실하여 집단 행위에 민감해지는 현상
2) 집단에서의 수행
(1) 사회적 촉진 : 혼자일 때보다 타인이 존재할 때 개인의 수행이 더 좋아지는 현상
▶ 사회적 촉진의 발생원인 : 추동이론(원인 : 평가우려설, 주의분산-갈등설)
(2) 사회적 태만 : 혼자 일할 때보다 집단으로 일 할 때 노력을 절감해서 대인 당 수행이 저하되는 현상
115
(3) 경쟁과 협동
① 죄수의 딜레마 게임
② 사회적 딜레마 : 개인에게 즉각적인 보상을 주지만, 장기적으로는 개인과 집단 전체에 해로운 결과를
초래하는 것
3) 집단의사결정
(1) 집단 극화 : 집단 토의와 같은 집단 상호작용 이후 구성원의 태도나 의견의 평균은 상호작용 이전의 평
균과 동일한 방향으로 더 극단화 되는 것
(2) 집단 사고 : 응집성이 높은 집단에서 초래될 수 있는 비합리적이고 비생산적인 결정이나 판단
① 집단 사고의 원인 : 집단 응집성이 높고, 집단이 외부로부터 단절되어 있고, 집단 내에서도 대안을 심
사숙고하는 절차가 미비할 때, 리더가 지식적이고, 리더가 제시한 방안보다 더 좋은 방안을 찾을 가망이 없
어서 스트레스가 높을 때
② 집단 사고의 예방이 있음
title 3 스트레스와 질병 및 건강
1.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 반응으로 정의 ex) 나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심장이 뛰고 혈압이 올라간다.
- 자극으로 정의 ex) 앞에 두고 있는 중요한 시험이나 갚아야할 기일이 도래한 은행 채무 등
- 개인과 환경 사이의 부적합한 관계라는 관점에서의 정의(자신의 복지나 안녕을 위협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자신이 가진 자원에 부담이 되거나 자원을 초과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상황과 개인 사이의 부적합한 관계)
2. 스트레스 이론
1) 셀리에 이론
- 스트레스 유발 자극을 ‘스트레스원’,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스트레스’로 구분
- 일반 적응 증후군(GAS) : 자극의 종류에 관계없이 스트레스 반응은 비특징적으로 발생한다는 것
▶ 일반적응 증후군의 단계 : 경보반응단계 → 저항단계 → 소진 단계
① 경보반응단계 : 신체는 교감신경계를 주로 활용해서 긴급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일종의 전시 동원
체제를 마련함.
② 저항단계 : 유기체가 스트레스에 대하여 나름대로 적절한 반응을 보임
③ 소진단계 : 적응 에너지의 고갈이 특징으로, 인간이 소유하고 있는 적응 에너지는 무한하지 않기 때문
에 지속적 스트레스는 결국 적응 에너지의 소진으로 귀결됨.
- 유기체가 스트레스에 어떻게 반응하고, 질병이나 죽음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
를 제공하고 대중적 관심을 모았으나, 생리학을 배타적으로 강조하고 동물에 대한 연구를 인간에게도 적용
하여 인간의 인지적 평가 요인을 무시하고 있다는 비판
2) 홈스와 라헤 이론
- 사회재적응 평정척도(SRRS)를 개발하여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
- 스트레스 : 재적응 노력을 요구하는 생활의 변화하고 봄.
- 비판 : 각 생활사건의 의미가 개인마다 상당히 다를 수 있고, 긍정적 방향의 변화 사건은 질병과의 관련
성이 적고, 질병과의 관련성이 인위적인 것이라는 비판을 받음.
116
3) 라자루스 이론
- 스트레스 사건 자체보다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개인의 해석이 중요하다고 함.
- 사람들은 상황을 평가 할 때, 1차 평가(최초의 평가/상해나 상실, 위협 및 도전으로 평가), 2차 평가(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대처 자원에 대한 평가), 재평가(새로운 정보가 입수되어 평가가 변화하는 것)를 한다고 함.
- 대처 : 자신의 자원에 부담을 주거나 자원을 압도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상황의 요구를 처리하려는 끊임
없이 변화하는 인지적, 행동적인 노력
▶ 대처 자원의 종류 :
① 건강과 에너지 : 건강하고 힘이 넘치는 사람은 아프고 약한 사람보다 외적 및 내적 스트레스 요구들을
더 잘 관리할 수 있음
② 긍정적 신념 : 자신이 바라는 결과를 성공적으로 성취할 수 있다는 믿음이 강할수록 대처능력이 증진됨
③ 문제해결 기술 : 당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이 있으면 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④ 사회적 기술 :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협조하게 만드는 사회적 기술이 있는 사회적 지원을 끌어낼 수 있음
⑤ 물질적 자원 : 자동차가 고장 났을 경우 수리에 드는 비용을 댈 수 있는 충분한 돈이 있다면 그 스트
레스를 쉽게 극복할 것임
- 스트레스를 다루었던 종전의 관점을 넘어서서 스트레스의 역동적이고 변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틀을 제공. 인간의 핵심적 기능인 인지기능과 현상적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강점을 지닌 이론
3. 스트레스의 종합 모형
잠재적
스트레스

주관적인
인지적
평가
스트레스 반응
----------
정서적 반응
생리적 반응
인지, 행동적 반응
결과
------
긍정적 결과
부정적 결과
스트레스를 이겨나가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재 변인들
스트레스 과정에 대한 절충적 모형
1) 잠재적 스트레스원
- 물리적 환경, 직업, 대인관계, 생활사건
ex) 자연 재해, 전쟁, 부부사이의 격렬한 논쟁 등의 스트레스적인 평가를 일으키는 것, 이는 물리적 환경,
직업(직무 역할의 성질, 일이 요구하는 정도는 높은데 반해 일에 관한 의사결정의 통제력은 낮은 특징, 일
과 가족 의무 간의 갈등), 대인관계 및 생활사건(재난, 중요한 생활사건, 사소한 골칫거리 등) 등이 있음.
2) 주관적인 인지적 평가
- 라자루스의 이론의 1차 평가와 2차 평가 및 재평가 등에 해당하며 주관적인 인지적 평가 과정을 통해서
스트레스원은 개인마다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는 것
▶ 인지적 평가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성격
- 억압자 : 위협의 존재를 부정하려 하며 위협이 압도적이 되었을 때야 비로소 반응
- 민감자 : 억압자와 대조적, 작은 위협 단서에도 민감하고 이를 확대해서 반응
117
대처자원 대처자원을 얼마나 풍부하게 (2) : 지니고 있느냐, 그 스트레스원을 위협이나 상실로 평가하느냐
아니면 도전으로 평가하느냐 하는 정도가 달라질 것
(3) 친숙성 : 상황이 친숙할 것일수록 위협을 덜 느끼게 됨
(4) 위협의 긴박성과 지속기간 : 예상되는 위협의 긴박성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증가
(5) 지각된 통제력과 예측 가능성 : 일반적으로 문제에 대한 통제력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지각할수록 스트
레스 평가는 낮아짐.
3) 스트레스 반응
정서적, 생리적 및 행동적인 반응들로 구분될 수 있지만, 실제의 양상은 이런 반응들은 서로 섞이고 상호영
향을 줌.
(1) 정서적 반응
- 짜증, 분노, 격노
- 걱정, 불안, 공포
- 낙담, 슬픔, 비탄
(2) 생리적 반응
- 카테콜라민 :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지각할 때, 자율신경의 교
감신경계는 카테콜라민을 생산하는 부신수질을 자극함으로써 그
사람을 휴식 상태로부터 신속하게 각성
- 코티졸 : 뇌하수체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을 방출하고
이는 부신피질에 영향을 미쳐 코티졸 분비. 코티졸의 분비는 신
체가 에너지 자원을 동원하고 상처에 대비할 수 있게 도와줌
스트레스의 생리적
(3) 인지·행동적 반응
대처(coping) : 스트레스 상황에서 발생한 요구를 줄이거나 극복하거나 혹은 견디려는 인지・행동적인 노력
- 문제중심적 대처 :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노력하는 것으로, 자신의 대
처자원이나 기술을 믿으며 문제해결 노력을 지속하는 것
- 정서중심적 대처 : 문제 자체가 아니라 문제 상황에서 발생하는 부정적 정서상태를 완화하려는 노력을 의미
4) 스트레스의 결과
(1) 긍정적 결과
- 기본 욕구의 충족, 성장과 발달의 기회, 장차 스트레스에 대한 면역 효과
(2) 부정적 결과
- 인지적 기능의 손상 : ex) 주의의 폭이 좁아지고 사고의 융통성 감소, 주의집중력 저하
- 충격과 방향성 상실 : 기본적 방향성은 시간, 장소 및 자신에 대한 현실적 인식
- 소진 : 신체적ㆍ정신적ㆍ심리적 소진상태를 말함
- 사회적 관계의 붕괴
- 심리적 문제와 장애
- 신체적 문제와 질병
5) 스트레스를 이겨 나가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
- 사회적 자원 : 가까운 가족관계, 동료관계 등
- 성격 : 강건성(개입, 도전, 통제감), 높은 자기 효능감, 응집성, 낙관주의 등
118
◆ 정리하기
1.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자신의 복지나 안녕을 위협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자신이 가진 자원에 부담이 되거나 자원을 초과하는 것
으로 평가되는 상황과 개인 사이의 부적합한 관계
2. 스트레스 이론
1) 셀리에 이론
스트레스 : 수많은 스트레스원에 의해 야기되는 일반적인 신체적 적응반응
▶ 일반적응 증후군의 단계 : 경보반응단계 → 저항단계 → 소진 단계
2) 홈스와 라헤 이론
스트레스 : 재적응 노력을 요구하는 생활의 변화하고 봄.
3) 라자루스 이론
스트레스 사건 자체보다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개인의 해석이 중요하다고 함.
▶ 대처 자원의 종류 : 건강과 에너지, 긍정적 신념, 문제해결 기술, 사회적 기술, 물질적 자원
3. 스트레스의 종합 모형
1) 잠재적 스트레스원 : 물리적 환경, 직업, 대인관계, 생활사건
2) 주관적인 인지적 평가 : 주관적인 인지적 평가 과정을 통해서 스트레스원은 개인마다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는 것
▶ 인지적 평가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격(억압자, 민감자), 대처자원, 친숙성, 위협의 긴박성과 지
속기간, 지각된 통제력과 예측 가능성)
3) 스트레스 반응 : 정서적, 생리적 및 행동적인 반응들로 구분될 수 있지만, 실제의 양상은 이런 반응들은
서로 섞이고 상호영향을 줌
(1) 정서적 반응 : 짜증, 분노, 격노 / 걱정, 불안, 공포 / 낙담, 슬픔, 비탄
(2) 생리적 반응 : 카테콜라민, 코티졸
(3) 인지·행동적 반응 : 대처(문제중심적 대처, 정서중심적 대처)
4) 스트레스의 결과
(1) 긍정적 결과 : 기본 욕구 충족, 성장과 발달의 기회, 장차 스트레스에 대한 면역 효과
(2) 부정적 결과 : 인지적 기능의 손상, 충격과 방향성 상실, 소진, 사회적 관계의 붕괴 , 심리적 문제와
장애, 신체적 문제와 질병
5) 스트레스를 이겨 나가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 : 사회적 자원, 성격
119
Chapter 13. 이상행동의 심리학
title 1. 이상행동의 정의와 관점 및 접근법
이상심리학이란 이상행동을 이해하고 그 원인에 대해 과학적으로 연구하며 더 나아가 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상행동에 대한 치료방법을 제시하는 분야이다.
1. 이상행동의 정의
▶ 이상과 정상의 구분은 무엇인가?
1) 보편적이지 않은 행동
- 일상적이지 않은 행동
ex) 보통 사람들이 듣지 못하는 소리를 듣는다거나 보지 못하는 것을 봄, 흔하지 않은 빈도로 나타나는 태
도나 말, 특이한 행동 등
2) 사회적 일탈의 정도
- 사회의 규범에 적응하지 못하고 나타나는 일탈행동 (단, 문화적 상대성을 고려해야함)
3) 현실에 대한 지각이나 해석이 잘못된 경우
- 실재하지 않은 사물을 보거나 목소리를 듣는 경우(환각), 또는 근거 없는 생각이나 터무니없는 의심이나
공상을 현실처럼 굳게 믿는 경우(망상)
4) 주관적 고통이 심각한 경우
- 외견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이는데 당사자는 심각한 고통을 겪는 경우
ex) 우울증, 불안장애, 강박장애 등 당사자는 아무런 고통이나 문제를 느끼지 않지만 주변사람들이나 본인
에게 심각하고 해로운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
- 당사자는 아무런 고통이나 문제를 느끼지 않지만, 주변 사람들이나 본인에게 심각하게 해로운 결과를 가
져오는 문제의 경우
ex) 반사회적 성격장애, 정신병, 조증
5) 부적응적이거나 자기패배적인 행동
- 자기만족감보다는 오히려 불행감을 유발하는 행동
ex) 알콜 남용, 광장공포증, 강박성 성격장애 등
6) 위험한 행동
- 사회적 맥락을 고려했을 때 자신이나 타인에게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경우
2. 이상행동에 대한 관점 및 접근법
▶ 이상행동에 대한 시대적 관점
120
- 고대 : 귀신론, 초자연적 견해
- 기원전 4세기경, 히포크라테스- 정신장애를 혈액이나 담즙 같은 체액의 불균형으로 봄. 신체적 원인론, 생
물학적 원인론의 시초
- 기원전 3세기경, 동양 : 음양오행설, 정신병은 음양의 조화가 깨져서 생김
- 중세 : 종교적 입장, 귀신론적 견해가 지배적
- 중세 이후 : 인간심리에 대해 과학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
- 근대 : 여러 자연과학 분야 발전
* 크레펠린: 정신장애는 뇌의 기질적 병변에서 기인함. 정신장애에 대한 현대적인 생물학적 원인론의 토대
* 프로이트: 정신장애는 심리내적인 문제에 기인함. 정신장애에 대한 심리적 원인론의 시초
1) 정신분석적 접근
- 정신장애를 무의식적인 갈등과 내적 결핍의 표현으로 봄
- 성격구조는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 구성
- 원인 : 어린 시절의 쾌락과 규율 간의 갈등을 해결하지 문제로 인해 성격구조 내에 균형 와해 → 불안
유발 → 갈등과 해결하지 못한 문제들이 무의식에 묻힘 → 성인 된 이후 유사한 스트레스/갈등에 부딪히면
무의식에 잠재된 문제가 다양한 방식으로 반복, 경험됨 → 정신장애 발생
2) 인간중심적 접근
- 로저스의 이론으로, 인간은 누구나 자아실현과 성장이라는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변화하려는 의지가 있
고,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 자신을 확인하게 됨
- 원인 : 환경적인 위협이나 낯설거나 새로운 자극이 이미 조직화되어 있는 개인의 자기구조 안으로 동화
되지 못하거나 불협화음을 일으킬 때, 갈등과 부적응 문제가 발생
3) 실존주의적 접근
- 인간을 ‘세계를 지각하고 자신이 보고 듣고 느끼는 사실을 통합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존재’로 보고, 한
개인은 적극적인 과정을 통해 삶의 지향을 찾는다고 함
- 원인 : 인간은 선택과 결정의 과정에서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불안과 좌절을 직면하는 가운데 성장하는
데, 이에 대한 실패
4) 행동주의적 접근
- 원인 : 이상행동도 정상행동과 같이 학습됨. 혐오자극과 연합된 무해한 자극이 불안을 일으킴.(고전적 조건
화) 이상행동이 강화를 통해 유지됨(조작적 조건화). 이상행동이 관찰을 통해 모방(관찰학습)되는 것이다.
5) 인지적 접근
- 원인 : 이상행동은 인지적인 정보처리과정의 오류에 의해 발생하는 것. 같은 사건을 경험하더라도 사건
자체보다 개인이 사건을 어떻게 지각하고 해석하느냐가 중요. 아론 벡에 의해 인지적 접근 발전, 최근에 인
지 행동적 접근으로 발전
6) 생물학적 접근
- 정신장애가 신체가 기능하는 과정상의 이상에 기인한다는 견해에 기초하고, 주로 유전적이고 생화학적인
요인에 초점을 둠
7) 소질-스트레스 모형 접근
- 개인의 특성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강조. 즉, 특정한 유전적 소인이나 뇌신경계의 이상을 지닌 개인이 살
아가면서 특정한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특정한 정신장애를 일으키게 됨
121
◆ 정리하기
1. 이상행동의 정의
▶ 이상과 정상을 구분은 무엇인가?
1) 보편적이지 않은 행동 : 일상적이지 않은 행동
2) 사회적 일탈의 정도 : 사회의 규범에 적응하지 못하고 나타나는 일탈행동 (단, 문화적 상대성을 고려해야함)
3) 현실에 대한 지각이나 해석이 잘못된 경우 : 환각과 망상이 있을 경우
4) 주관적 고통이 심각한 경우 : 외견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이는데 당사자는 심각한 고통을 겪는 경우
나, 당사자는 아무런 고통이나 문제를 느끼지 않지만, 주변 사람들이나 본인에게 심각하게 해로운 결과를
가져오는 문제의 경우
5) 부적응적이거나 자기패배적인 행동 : 자기만족감보다는 오히려 불행감을 유발하는 행동
6) 위험한 행동 : 사회적 맥락을 고려했을 때 자신이나 타인에게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경우
2. 이상행동에 대한 관점 및 접근법
1) 정신분석적 접근 : 어린시절의 쾌락과 규율 간의 갈등을 해결하지 문제로 인해 성격구조 내에 균형 와해
→ 불안 유발 → 갈등과 해결하지 못한 문제들이 무의식에 묻힘 → 성인 된 이후 유사한 스트레스/갈등에
부딪히면 무의식에 잠재된 문제가 다양한 방식으로 반복, 경험됨 → 정신장애 발생
2) 인간중심적 접근 : 환경적인 위협이나 낯설거나 새로운 자극이 이미 조직화되어 있는 개인의 자기구조
안으로 동화되지 못하거나 불협화음을 일으킬 때, 갈등과 부적응 문제가 발생
3) 실존주의적 접근 : 인간은 선택과 결정의 과정에서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불안과 좌절을 직면하는 가운
데 성장하는데, 이에 대한 실패
4) 행동주의적 접근 : 이상행동도 정상행동과 같이 학습됨(고전적조건화, 조작적조건화, 관찰학습)
5) 인지적 접근 : 이상행동은 인지적인 정보처리과정의 오류에 의해 발생하는 것
6) 생물학적 접근 : 주로 유전적이고 생화학적인 요인에 초점을 둠
7) 소질-스트레스 모형 접근 : 개인의 특성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강조
title 2 이상행동의 실제-(1)
1. 정신병과 신경증
▶ 정신병
- 현실이 심하게 왜곡되는 보다 심각한 정신장애
- 현실검증력 상실되어, 망상 및 환각을 통한 주관적으로 왜곡된 해석을 한다.
122
사회생활 - 및 일상생활에 뚜렷한 어려움이 있으며, 입원 치료가 필요
- 통찰력 부족으로 자신의 문제를 인정하지 못함
ex) 정신분열증, 양극성 장애, 정신병적 우울증, 망상 장애 등
▶ 신경증
- 불안과 관련된 증상으로 사회생활에 심한 손상 없어, 통원 치료가 가능
- 자신의 문제에 대한 통찰력이 있으며, 자발적 노력을 함
ex) 불안장애(공포증, 강박장애, 공황장애 등), 신체형 장애, 해리 장애 등
▶ 정신병과 신경증 구분 이유 : 임상적으로 적절한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요
1) 정신분열증
▶ 증상 및 임상적 특징
-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사고장애(망상 등)와 지각장애(환각 등)
- 행동 : 의미 없는 반복적 몸짓 같은 운동장애를 보이기도 함. ex) 납굴증 증상(경직된 자세로 오래 동안 유지)
- 정서 및 사고 : 부적절한 정서 반응, 얕은 정서 상태. 심한 무기력/무반응이나 비현실적 사고 또는 실제
적인 기능의 이상이 분명한 경우
▶ 많은 경우 외부환경이나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회피적인 생활을 해 나가는 경우가 많음
▶ 원인
- 정신분석적 입장 : 불안에 압도되어 자아가 생기기 이전인 유아기로 퇴행하는 것. 초기 아동기의 적대적
/모순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아동이 점차 사람들로부터 철회하게 됨
- 행동주의적 입장 : 사회환경적 자극에 적절하게 반응하는 것을 학습하지 못한 것. 기이한 행동이 강화/습관화 됨
- 가족관계 요인 : 부모특성이 냉담/지배적/아동에게 갈등 유발시킬수록 정신분열증. 부모가 자녀에게 서
로 상반된 메시지를 동시에 전달하는 의사소통방식(이중속박가설)
▶ 치료 : 약물치료가 핵심. 집단심리치료
2) 주요우울증
▶ 증상 및 임상적 특징
- 우울한 기분을 주된 증상으로 하는 기분 조절 장애
- 일상생활에서 무기력, 죽음/자살 생각, 피로감, 식욕/체중 감소 및 증가, 불면증/과면증 의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될 때 주요우울증
▶ 원인
- 정신분석적 입장 : 사랑하는 대상의 상실에 대한 반응. 중요 대상 상실 후 그에 대한 분노/적개심을 무
의식적으로 자기 자신에게 돌림으로서 자신을 공격
- 인지적 이론 : 우울증은 인지적 정보처리과정에서 생기는 오류에 기인함. 우울증 환자는 우울도식이라는
인지구조를 가지고 있어 부정적 방향으로 해석
- 학습된 무기력 : 이론실패에 대한 반복적 경험이 무기력을 학습하게 함
- 귀인적 이론 : 부정적 사건을 경험한 후 그 사건을 내적 귀인함. 우울귀인양식
- 생화학적 이론 : 우울증은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과 관련됨 → 약물치료
▶ 치료 : 인지치료(우울증을 유발하는 인지적 요인을 찾아내 변화시킴)가 대표적
3) 양극성 장애
▶ 증상 및 임상적 특징
- 우울한 기분상태와 고양된 기분상태가 교대로 나타남(= 조울증)
- 우울증과 조증(고양된 기분, 안절부절, 활동수준 증가, 말 많고 빠름, 사고과정의 비약적 논리, 과대망
상, 지나치게 흥분)
▶ 원인 : 생물학적 원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및 도파민 등
의 신경전달물질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짐
123
- 정신분석적 입장 우울증과 핵심갈등은 같지만 에너지의 방향이 외부 환경이나 : 불특정한 대상으로 향하는 것
4) 불안장애 : 공황장애/공포증
ex) 공황장애, 공포증, 일반화된 불안장애, 강박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 등
(1) 공황장애
- 죽을 것 같은 극심한 공포감이 갑자기 느껴져 식은 땀나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신체적 반응을 경험하는
것. 광장공포증으로 발전되는 경우 많음
- 생물학적 입장 : 유전적 요인이 영향
- 심리학적 이론 : 공포에 대한 공포가설
(2) 공포증
- 불안이 어떤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강렬하고 비합리적인 공포에 집중되어, 공포에 의해 부적응적 회피행
동이 나타나는 것
- 정신분석적 입장 : 공포증은 원초아의 충동에 의해 유발된 불안을 상징적인 대상에 치환함으로써 방어하는 것
- 학습이론적 관점 : 중성자극과 유해자극에 연합에 의해 공포증 발생
5) 강박장애
▶ 증상 및 임상적 특징: 내적으로 조절하고 감당하기 어려운 불안/긴장이 강박사고/강박행동으로 표현되는 장애
▶ 원인
- 인지적 관점 : 강박장애 환자들이 부정적 상황에 대한 결과를 과대평가해서 그것을 회피하기 위해 강박
증상이 나타난다고 봄
- 정신분석적 입장 : 항문기에 가혹한 배변훈련으로 인해 통제되지 않은 성적/공격적 본능의 힘에 의해 생겨남
- 학습적 관점 : 강박사고/강박행동이 그 결과에 의해 강화되어 학습됨
- 생물학적 입장 : 세로토닌의 낮은 활동수준이 원인
6) 신체형장애
- 심리적 원인이 신체증상의 형태로 나타남
- 신체화장애 : 통증, 위장증상, 성적 증상, 가성 신경학적 증상 등
- 전환장애 : 신경학적인 근거 없이 근육운동기능이나 감각기능에 이상이 나타나는 것. 증상을 통해 이차적 이득
- 동통장애 : 여러 가지 통증을 호소하는 것이 특징
- 건강염려증 : 특정 신체기관에 질병이 있다고 주장. 질병에 걸렸다는 두려움이나 생각에 집착
- 신체이형장애 : 자신의 신체적 외모에 결함이 있다고 집착
▶ 원인
- 정신분석적 입장 : 어린 시절의 성적충동, 공격충동, 의존욕구가 억압되면 신체증상으로 전환 / 전환증
상은 무의식적인 생각/ 감정을 표현하려는 욕구와 표현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간의 현실적 타협
- 학습적 관점 : 전환증상은 강화에 의해 학습됨
- 인지적 입장 : 자신의 신체기능/신체적 이상을 확대해석
- 사회문화적 입장 : 심리적 문제 보다 신체적 문제가 더 용이하게 수용되는 문화
2. 성격장애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성격특성이 융통성 없고 부적응적이며 사회적/직업적 기능상에 중대한 손상이나 주관적
고통을 야기함. 신경증/정신병에 비해 비교적 오랜 기간 지속
- DSM-Ⅳ : A군(편집성, 분열성, 분열형 성격장애), B군(반사회성, 경계선, 연극성, 자기애성 성격장애), C
군(회피성, 의존성, 강박성 성격장애)
124
1) 의존성 성격장애
자신의 욕구를 타인의 욕구에 충족시키고 자신의 삶의 중요한 부분에 대한 책임을 타인에게 지움. 자신감
결여, 혼자일 때 심한 괴로움 호소
▶ 증상 및 임상적 특징 : 의존과 복종. 자기 확신 및 책임 결여. 친밀한 관계가 깨어질까봐 복종. 관계가
깨지면 자신을 돌봐줄 다른 관계를 시급히 찾음
▶ 원인 : 심리사회적 영향. 아이의 자율적 행동을 부모가 처벌하거나 부모와의 관계손상을 주입시킬 경우
2) 연극성 성격장애
▶ 증상 및 임상적 특징 : 타인의 관심을 집중시키기 위해 자신의 외모를 이용, 과장된 감정 표현, 타인의
조정/통제하려함. 관심을 못 받으면 불안. 타인의 태도에 민감
▶ 원인
- 정신분석적 관점 : 구강기에 모성 박탈 경험, 오이디푸스적 상황의 해결에 어려움으로 성적주체성 형성 못함
- 인지적 관점 : ‘내가 사람들을 사로잡지 못하면 나는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비합리적 신념
- 생물사회적 학습이론 : 타인의 일관성 없는 대인관계적 강화에 의해 형성
3) 편집성 성격장애
▶ 증상 및 임상적 특징: 타인에 대한 의심/불신(→ 타인에게 이용당하지 않을까 과도한 긴장) 잘 싸우며 불편
한 상황에서 감정조절 못함. 정의와 공평에 과도하게 집착하면서 자신의 권익을 보호하는데 지나치게 몰두
▶ 원인
- 정신역동적 입장 : 대상항상성 발달의 실패로 봄. 내적대상 표상과 사랑하는 관계를 유지 못해서 타인과
의 관계가 위험하고 불안정한 것으로 믿음
- 인지적 입장 : 편집적인 특정 인지 도식을 가짐
4) 반사회성 성격장애
▶ 증상 및 임상적 특징 : 타인의 권리를 무시하거나 침해함. 사회규범을 따르지 못하고 자신의 행동에 대
해 잘못을 느끼지 못함.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 결여, 거짓말, 자기중심적. 대인관계 형성 능력 결여
▶ 원인
- 생물학적 관점 : 공격성이 호르몬/신경생화학적인 요인과 관계있음. 자율신경계의 기능저하(→경험을 통
한 학습이 불가능), 신경계통 조절의 장애(난폭한 행동의 가능성이 높아짐)
- 정신역동적 관점 : 대상항상성 발달 시기에 어머니를 제3자/ 약탈자로 경험하여 정서적 애착 불형성(→
타인을 독립적 존재로 배우지 못하고 과격한 행동에 대한 죄의식 미발달) 내재화 기재의 심각한 손상(→
초자아가 정상적으로 발달 못 함)
5) 경계선 성격장애
▶ 증상 및 임상적 특징 : 감정기복이 매우 심하며 변덕스럽고 충동적임. 타인과 쉽게 가까워지다가 쉽게
멀어지는 극단적인 대인관계, 자해, 약물복용. 분노/불안을 보이지만 기본적 정서는 우울함/공허감
▶ 원인
- 대상관계이론 : 유아기의 분리-개별화단계에서 심한 갈등을 겪고 이 단계에 고착(어머니가 아이에게 안
정된 애정을 보여줄 수 없었거나 아이의 선천적 공격특성이 부모자녀간의 정성 형성을 방해)
- 사회학습이론 : 자기정체성 결여 (→ 확고한 목표가 없기에 충동조절 못하고 지속적인 성취 어려움. 타
인에게 의존하며 관계분리에 과도하게 민감해짐)
- 인지적 입장 : 흑백논리적인 인지 왜곡
125
◆ 정리하기
1. 정신병과 신경증
▶ 정신병 : 현실이 심하게 왜곡되는 보다 심각한 정신장애
▶ 신경증 : 불안과 관련된 증상으로 사회생활에 심한 손상 없어, 통원 치료가 가능
1) 정신분열증 :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사고장애(망상 등)와 지각장애(환각 등)
2) 주요우울증 : 우울한 기분을 주된 증상으로 하는 기분 조절 장애
3) 양극성 장애 : 우울한 기분상태와 고양된 기분상태가 교대로 나타남
4) 불안장애 : 공황장애/공포증
(1) 공황장애 : 죽을 것 같은 극심한 공포감이 갑자기 느껴져 식은 땀나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신체적 반응
을 경험하는 것
(2) 공포증 : 공포에 의해 부적응적 회피행동이 나타나는 것
5) 강박장애 : 내적으로 조절하고 감당하기 어려운 불안, 긴장이 강박사고, 강박행동으로
6) 신체형장애 : 심리적 원인이 신체증상의 형태로 나타남
- 신체화장애 : 통증, 위장증상, 성적 증상, 가성 신경학적 증상 등
- 전환장애 : 신경학적인 근거 없이 근육운동기능이나 감각기능에 이상이 나타나며, 증상을 통해 이차적
이득을 얻게 되는 경우
- 동통장애 : 여러 가지 통증을 호소하는 것이 특징
- 건강염려증 : 질병에 걸렸다는 두려움이나 생각에 집착
- 신체이형장애 : 자신의 신체적 외모에 결함이 있다고 집착
2. 성격장애 :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성격특성이 융통성 없고 부적응적이며 사회적/직업적 기능상에 중대한 손
상이나 주관적 고통을 야기함
- A군(편집성, 분열성, 분열형 성격장애), B군(반사회성, 경계선, 연극성, 자기애성 성격장애), C군(회피성,
의존성, 강박성 성격장애)
1) 의존성 성격장애 : 자신의 욕구를 타인의 욕구에 충족시키고 자신의 삶의 중요한 부분에 대한 책임을 타
인에게 지움
2) 연극성 성격장애 : 타인의 관심을 집중시키기 위해 자신의 외모를 이용, 과장된 감정 표현, 타인의 조정/
통제하려함
3) 편집성 성격장애 : 타인에 대한 의심/불신. 잘 싸우며 불편한 상황에서 감정조절 못함
4) 반사회성 성격장애 : 타인의 권리를 무시하거나 침해함. 사회규범을 따르지 못하고 자신의 행동에 대해
잘못을 느끼지 못함. 자기중심적. 대인관계 형성 능력 결여
5) 경계선 성격장애 : 감정기복이 매우 심하며 변덕스럽고 충동적임. 타인과 쉽게 가까워지다가 쉽게 멀어
지는 극단적인 대인관계, 자해, 약물복용. 분노/불안을 보이지만 기본적 정서는 우울함/공허감
126
title 3 이상행동의 실제-(2)
1. 유아기, 아동기 및 청소년기에 시작되는 정신장애
- 발달장애 : 정신지체, 학습장애 등
- 통제결여와 관련되는 장애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품행장애, 반항장애 등
- 과잉통제와 관련된 장애 : 학교공포증, 야뇨증, 틱장애, 격리불안장애 등
1) 학습장애
▶ 증상 및 임상적 특징 : 전반적인 지능 발달에 지체 없지만 듣기, 말하기, 읽기...등 특정학습영역에 어려
움이 있는 경우. (시청각 및 운동능력의 결함, 정신지체, 정서행동장애 및 환경적 결핍으로 인한 학습문제
는 학습장애가 아님)
▶ 원인 : 언어적/비언어적 능력의 발달, 통합 및 표현과 관련하여 신경학적 결함에 기원.
▶ 특징 : 학령기에 주로 발생하나 ‘굼뜨다’는 등으로 넘어갈 수 있음. 주의력결핍, 사회성 부족 및 정서적
문제가 동반되는 경우가 있음.
- 조기 발견이 중요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개입이 요구됨.
2)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장애
▶ 증상 및 임상적 특징 (학업, 직업, 사회 상황에서 전반적으로 드러난다)
- 부주의 ex) 학업이나 다른 과업에서 자주 실수를 범함, 일을 끝마칠 때까지 과업을 지속하지 못하고, 경
청하지 않는 것처럼 보임
- 과잉활동 ex) 잠시도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고, 상황에 맞지 않게 지나치게 뛰어다님.
- 충동성 ex) 질문이 채 끝나기도 전에 성급한 대답, 자기 차례 기다리지 못 함, 다른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간섭
▶ 원인
- 신경생물학적 입장 :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의 문제. 유전적 측면
- 부모의 성격과 양육방식(야단을 많이 치거나 일관성 없는 양육)
3) 자페성장애
▶ 증상 및 임상적 특징
- 상당수는 3세 이전에 발생
- 대인관계에서 정서적 표현을 이해 못하고, 감정 조절 능력의 결함. 사람보다 사물에 관심. 눈 마주침/신
체 접촉 피함, 애착 형성하지 못함, 타인의 행동 모방 않음, 공감능력 발달 하지 못 함
- 언어장애, 인지장애, 감각장애 동반
▶ 원인 : 명확한 원인은 없으나 심리사회적 요인으로 유전적/생물학적 요인에 의한 중추신경계 장애로 봄
- 만 5세 이전에 지능과 언어 구사 능력이 얼마나 발달되어 있는가에 따라 예후가 좌우되는 것으로 알려
져 있어, 가능한 한 빨리 진단하여 적절한 조기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중요
2. 기타 정신장애
1) 섭식장애
(1) 신경성 식욕부진증 : 날씬해야한다는 욕구가 높고 살찌는데 공포감 느껴 음식 섭취를 거부.
- 증상 : 과도한 체중감소로 신체적 이상 발생(무월경)
127
신경성 폭식증 충동적으로 폭식 (2) : 후 스스로 토하거나 이뇨제 사용하여 먹은 것 배설
▶ 원인
- 유전적 요인, 가족력 영향. 심리적/사회적 영향이 더 중요 → 자율성/자기감 결여
- 정신분석적 입장 : 엄마로부터 심리적 미분리된 상태임. 음식 거부는 엄마로 상징되는 신체의 성장을 막
으려는 무의식적 시도
2) 성기능장애, 성도착증, 성정체감장애
(1) 성기능장애
- 정상적인 성 반응이 억제되어 어떤 형태로든 성행위에 곤란 느끼는 경우에 진단
- 성적욕구의 장해와 성반응의 주기를 특징짓는 정신․생리적 변화가 특징으로 심한 고통과 대인관계의 어려
움을 일으킴
ex) 성욕감퇴장애, 성욕장애, 성적흥분장애, 절정감장애, 성교동통장애
- 원인 : 성과 성생리에 대한 무지와 같은 직접적 원인, 상대방과의 상호관계에 있어 불화 및 감정교류의
결핍, 성행위 시 성공적 수행에 대한 불안 등
(2) 성도착증 : 성적흥분을 비정상적인 대상이나 방법을 통해 추구하며, 이로 인해 사회적․직업적으로 심한 지장
ex) 노출증, 물품음란증, 마찰도착증, 소아기호증, 성적피학증, 성적가학증, 복장도착증, 관음증 등
- 원인 : 심리성적 발달단계에서 해결되지 않은 갈등이 반영(정신분석적), 도착적인 성행동을 모델링 및 강화,
자극연합 등을 통해 학습된 것(행동주의적), 호르몬 장애, 중추신경계장애, 염색체 이상 등(생물학적 관점)
(3) 성정체감장애 : 강하고 지속적으로 반대 성에 대해 동일시하는 것으로, 생물학적으로 지정된 자신의 성
역할에 고통을 경험
- 원인: 성호르몬의 비정상성(생물학적), 양육 시 부모의 태도, 아동의 기질 등(심리사회적), 이성의 부모를
과도하게 동일시한 결과(정신분석적)
3) 알코올중독, 도박중독, 컴퓨터중독
(1) 알코올중독(알코올 사용 장애)
- 원인 : 상당히 복합적(사회문화적․가족적 요인, 약물의 입수 가능성, 음주를 시작하는 기회, 개인의 정신
병리 등이 상호작용한 결과이며, 개인의 신체적 소인과 생물학적 요인들도 관계될 것으로 추정됨. 특히 유
전은 중요한 소인으로 여겨짐)
① 알코올의존 : 습관성 음주로 인해 내성과 금단증상이 존재(음주하다가 양 줄인 후 12시간 경과 후, 오
심과 구토, 무력감과 나른함, 불안, 우울, 입이 마르는 증상 등)함
② 알코올남용 : 알코올의 과도한 사용으로 가정이나 직장에서 역할수행에 지장
(2) 도박중독 : 만성적이고 점진적인 도박에 대한 충동과 내성과 금단증상(우울, 무기력, 불안, 초조 등)을 보
임, 돈이 모든 문제의 원인이고 해결책이라고 생각
- 원인 : 돈을 잃으려는 무의식적 욕구와 무의식적인 죄의식의 완화(정신분석적), 학습된 부적응적 행동(행
동주의적), 도박결과를 통제할 수 있다는 잘못된 신념에 기인(인지이론)
(3) 컴퓨터중독 : 컴퓨터에 탐닉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적 기능 또는 직업적 기능에 손상을 입음. 내성과 금
단증상이 나타나며 여러 가지 심리사회적 문제 수반
128
◆ 정리하기
1. 유아기, 아동기 및 청소년기에 시작되는 정신장애
1) 학습장애 : 전반적인 지능 발달에 지체 없지만 듣기, 말하기, 읽기...등 특정학습영역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2)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장애 : 부주의, 과잉활동, 충동성의 문제가 학업, 직업, 사회 상황에서 전반적으로
드러난다.
3) 자페성장애 : 대인관계에서 정서적 표현을 이해 못하고, 감정 조절 능력의 결함. 사람보다 사물에 관심.
눈 마주침/신체 접촉 피함, 애착 형성하지 못함, 타인의 행동 모방 않음, 공감능력 발달 하지 못 함. 언어장
애, 인지장애, 감각장애 동반
2. 기타 정신장애
1) 섭식장애
(1) 신경성 식욕부진증 : 날씬해야한다는 욕구가 높고 살찌는데 공포감 느껴 음식 섭취를 거부. 과도한 체
중감소로 신체적 이상 발생(무월경)
(2) 신경성 폭식증 : 충동적으로 폭식 후 스스로 토하거나 이뇨제 사용하여 먹은 것 배설
2) 성기능장애, 성도착증, 성정체감장애
(1) 성기능장애 : 정상적인 성 반응이 억제되어 어떤 형태로든 성행위에 곤란 느끼는 경우 (2) 성도착증
: 성적흥분을 비정상적인 대상이나 방법을 통해 추구하며, 이로 인해 사회적․직업적으로 심한 지장
(3) 성정체감장애 : 강하고 지속적으로 반대 성에 대해 동일시하는 것으로, 생물학적으로 지정된 자신의
성역할에 고통을 경험
3) 알코올중독, 도박중독, 컴퓨터중독
(1) 알코올중독(알코올 사용 장애)
① 알코올의존 : 습관성 음주로 인해 내성과 금단증상이 존재함
② 알코올남용 : 알코올의 과도한 사용으로 가정이나 직장에서 역할수행에 지장
(2) 도박중독 : 만성적이고 점진적인 도박에 대한 충동과 내성과 금단증상을 보임, 돈이 모든 문제의 원인
이고 해결책이라고 생각
(3) 컴퓨터중독 : 컴퓨터에 탐닉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적 기능 또는 직업적 기능에 손상을 입음. 내성과
금단증상이 나타나며 여러 가지 심리사회적 문제 수반
129
Chapter 14. 이상행동의 치료
title 1. 심리치료-(1)
이상행동의 심리치료 1
심리치료 두 사람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 : 이루어지며, 상호작용은 제스쳐, 얼굴표정, 감정 표현, 동작을
통해서도 이루어지지만 주로 언어를 통해서 이루어 짐
1. 정신분석 심리치료
1) 치료목표
성격문제나 이상행동이 주로 무의식적 욕구와 갈등에 기인한다고 가정하므로, 1차적인 치료목표는 증상 제
거가 아니라 무의식 속에 있는 추동이나 갈등을 찾아서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2) 치료기법 및 치료과정
▶ 전통적인 프로이트식 정신분석 : 분석회기(거의 매일, 일주일에 4~6회기), 카우치에 누워서 떠오르는 대
로 자유로이 말하거나 꿈을 보고함
▶ 분파인 정신역동 치료 : 치료 횟수를 줄이고 환자를 의자에 앉히기도 함. 그리고 역동, 즉 상호작용의 의미를 캠
- 통찰 : 환자의 과거와 무의식적 동기를 분석하면 환자의 증상을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
- 저항 : 애당초 환자가 무의식 속에 묻어 버린 것들은 용납할 수 없었던, 매우 고통스러웠던 내용이었으므
로 이를 직시하지 않으려고 함. 저항은 부인하기, 지각하기, 잡담하기 등으로 나타남
- 자유연상 : 프로이트는 환자의 저항 수준을 낮추기 위해 고안해 낸 절차로, 분석가는 환자의 생각이 자유
롭게 흐르도록 내버려 두면서, 여과 없이 마음속에 떠오르는 것은 무엇이든지 말하도록 하게 함
- 꿈의 분석 : 무의식적 욕구나 갈등을 찾아내고 해결되지 않은 문제에 대해 환자가 통찰을 얻게 하는 중
요한 절차. 잠자는 동안에 방어가 허술해져 꿈으로 표현된다고 믿음
- 전이 :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분석가와 환자의 관계는 점점 깊어지는데, 때로 환자는 치료자를 향해 사랑
하거나 미워하는 감정을 느끼게 됨, 이를 전이라 하고, 치료자는 이 전이를 분석하게 됨. 이를 통해 환자는
자신의 대인관계를 깨닫고, 현실과 환상을 구분하게 됨
- 훈습 : 환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몇 번 통찰했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님, 이를 지속
적으로 현실 차원에서 치료 효과를 연습하게 하는 것
- 프로이트의 초기 추종자들은 상당수가 프로이트와는 다른 접근법을 제창하였고, 그들 중에는 융, 아들러
등이 있었음
▶ 프로이드로부터의 이탈 : 신정신분석학파
- 융(분석심리학), 아들러(개인심리학), 랑크, 호나이, 프롬, 설리반(대인관계론적 심리치료) 등
- 프로이드의 생물학적이고 결정론적인 관점에 반대하며 사회문화적인 요인을 강조하였음
ex)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 개인의 생활방식과 목표를 다루면서, 개인이 자신을 이해하고 또 자신의 인생
에 대해 보다 더 현실적이고 공동체적인 견해를 갖도록 돕고자 함. 프로이드보다 낙관적인 인간관: 유아기
심리성적발달, 거세불안, 외디푸스 콤플렉스에는 거의 관심이 없음
ex) 대상관계이론(object relation theory) : 1940년대~1950년대 클라인과 페어번의 연구로부터 독자적으
로 발달하여, 타인과의 관계가 심리적으로 내면화된 것을 중시. 생애 초기(특히 외디푸스 이전)의 관계가
한 개인의 건강한 발달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영향 미친다고 강조
130
자기심리학 개인이 자존감 가치감 유지하는 데 외적 ex) (self psychology) : , 관계의 영향이 얼마나 큰지 더 강조.
인간이 심리적 안녕감을 유지하기 위해서 타인의 격려, 지지, 사랑과 같은 반응을 절실히 필요로 함을 보여줌
2. 인본주의 심리치료
인본주의 철학에 뿌리 : ‘사람들은 누구나 자기실현, 자기완성을 추구한다’는 가정을 둠
1) 내담자 중심 치료
- 로저스(Rogers, C.) : 비지시적 사담 후에 환자 중심치료 라는 이름의 접근법 창안함
- 치료기법 : 적극적 경청 , 공감적 경청의 중요성 강조 → 환자가 자기 자신을 더욱 극명하게 볼 수 있
게 도우며, 환자가 이를 느껴 자신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됨
▶ 치료기법
① 솔직성 : 치료자의 가장 중요한 태도로,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환자와의 관계에서 느낀 감정과 태도를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②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및 수용 : 환자를 한 인간으로 존중하며, 그의 감정․사고․행동을 평가하거나 판단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③ 공감적 이해 : 치료자가 ‘환자의 입장이 되어’ 깊게 주관적으로 이해하면서도, 결코 자기 본연의 자세
를 버리지 않는 것
2) 실존주의적 치료
- 환자들의 존재의 의미를 탐색하도록 함, 또한 삶의 중요한 문제들 - 죽음. 자유, 자유의지, 소외, 외로
움 등을 용감하게 맞닥뜨리도록 도움
- 삶이 과거나 상황에 의해 어쩔 수 없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운명을 선택하고 바꿀 힘이 자신에
게 있다고 믿도록 도우며, 실존치료자들은 인간의 존재 및 ‘지금-여기’에서 세상과 상호작용하는 현실의 경
험에 관심이 있다.
▶ 주요 인물
- 프랭클(1905-1997) : 프로이드의 결정론적 개념에 반대해 자유, 책임능력, 삶의 의미, 가치추구와 같은
기본 개념으로 심리치료의 이론들 정립. "의미를 통한 치료"를 뜻하는 logotherapy를 발달시킴. 우리 시대
의 비극은 일상에서 그리 바쁘지 않을 때 경험하는 무의미함, "실존적 공허". "삶의 이유를 아는 사람은 삶
의 방법도 안다"(니체)
- 메이(1909-1994) : 유럽 실존주의를 미국에 가져오고 중요개념 옮겨놓은 핵심인물. 실존 위해서 용기
필요, 자신의 모습은 자신이 선택. 갈등은 성숙과 독립 향하며, ‘의존의 안전성, 성장의 기쁨과 성장의 고
통’사이에 존재함
- 얄롬 <실존적 심리치료>(1980) : 획기적인 업적으로 간주. 프랭클을 그의 저술과 임상에 영향을 준 가
장 뛰어난 실용주의적 사고가로 생각. 죽음, 자유, 고립, 그리고 무의미성은 실존적 정신역동성의 핵심을
이룬다고 한다.
3) 게슈탈트치료(Gestalt therapy)
- 프릿츠 펄스(Fritz S. Perls) : 인간들이 자신들과 자신들의 삶에 대해 책임이 있으며 과거가 아닌 현재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
- 현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미해결 과제나 갈등의 잔여물들을 다루도록 도움
- 주된 목표 : 사람들이 자신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자신의 심리적 세계를 파악하는 것임. 치료자는 내담자
에게 힘들었던 과거 경험에 대한 현재의 감정에 집중하라고 함. 기법으로는 내담자가 말하는 방식을 바꾸게
하는 것들이 있다.
131
◆ 정리하기
1. 정신분석 심리치료
1) 치료목표 : 무의식 속에 있는 추동이나 갈등을 찾아서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2) 치료기법 및 치료과정
▶ 전통적인 프로이트식 정신분석 : 자유연상 및 꿈의 분석
▶ 분파인 정신역동 치료 : 상호작용의 의미를 캠
3) 프로이드로부터의 이탈 : 신정신분석학파
- 융(분석심리학), 아들러(개인심리학), 랑크, 호나이, 프롬, 설리반(대인관계론적 심리치료) 등
- 프로이드의 생물학적이고 결정론적인 관점에 반대하며 사회문화적인 요인을 강조하였음.
2. 인본주의 심리치료 : 인본주의 철학에 뿌리를 둠(‘사람들은 누구나 자기실현, 자기완성을 추구한다’)
1) 내담자 중심 치료 : 로저스
- 적극적 경청 , 공감적 경청의 중요성 강조
- 치료기법 : 솔직성,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및 수용, 공감적 이해
2) 실존주의적 치료 : 환자들의 존재의 의미를 탐색하도록 함
- 주요인물 : 프랭클, 메이, 얄롬 등
3) 게슈탈트치료(Gestalt therapy)
- 프릿츠 펄스 : 인간들이 자신들과 자신들의 삶에 대해 책임이 있으며 과거가 아닌 현재에 초점을 맞춰
야 한다고 주장
- 현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미해결 과제나 갈등의 잔여물들을 다루도록 도움
title 2 심리치료-(2)
1. 인지행동치료
- 인간의 인지나 사고가 심리적 장애의 주요 근원 중 하나라는 개념에서 출발
- 정의적 접근은 무의식적 정서 중심, 행동적 접근은 행동 중심인데 비해 인지적 접근은 의식 및 사고과정 중심
- 사고가 정서 및 행동을 중개 or 선도한다는 전제→ 사고과정을 수정․변화시켜 정서적․행동적 장애를 없애는 접근
- 인지행동치료의 범주에는 여러 이론적 개념과 다양한 절차들이 함께 포함되어 있음
- 가정 : 정서장애가 주로 부적응적 사고과정의 결과, 치료의 주요 과제는 잘못된 사고(인지)과정을 재구성하는 것
1) 행동적 기법
(1) 고전적 조건화와 관련된 기법
① 역조건화 : 기존의 자극에 대해 새로운 반응을 하도록 배우는 과정
ex) 비행기공포증 : 비행기 타기에 대해 불안과 공포라는 반응을 겪는데 역조건화를 통해 비행기 타기에 대
해 즐거움과 안락함이라는 반응을 하도록 배울 수 있음
② 체계적 둔감화 : 이완과 편안함이라는 반응이 불안반응에 대항해서 싸우도록 도움
ex) 불안 위계를 정하고, 이완된 상태에서 덜 자극적인 것부터 매우 자극적이고 불안을 유발하는 상황까지
조금씩 상상하게 한다.
132
③ 혐오적 역조건화 혐오적인 자극을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유발하는 : 자극과 짝지음으로서 나중에 개인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유발하는 자극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으로 반응하는 것을 중지하게 하는 것
ex) 알콜리즘 환자에게 알콜과 구토제를 연합시켜 술을 마시면 구토를 하게 만드는 방법
(2) 조작적 조건화와 관련된 기법
① 토큰경제 : 바람직한 행동을 즉각적으로 강화해 줌, 보편화되어 있는 문화
ex) 바람직한 행동을 할 때마다 스티커를 받던가 상장을 수여 받음
② 소거 : 강화물을 주지 않으면 행동이 소거됨
ex) 부모의 관심을 끌기 위해 부정적 행동을 하는 아이에게 무관심
③ 처벌 : 부정적인 강화물을 주는 것
ex) 커닝을 했을 때 매를 맞는 처벌
(3) 본뜨기 : 모델인 다른 사람이 본을 보이는 대로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과 방식을 체계적으로 학습
하는 과정
ex) 개를 무서워하는 아이가 친구가 개와 어울려 노는 것을 보게 됨
2) 인지적 기법
(1) 엘리스의 접근법 : 합리적-정서적 치료
- 엘리스는 1960년대에 합리적, 정서적 치료라고 불리는 접근법을 창시함
- 논리적․이성적인 사고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상행동은 잘못된 사고 패턴 이야기한다고 가정함
- 치료목표 : 비이성적인 신념을 심어 준 과거의 생활사건을 검토 → 비이성적인 사고패턴을 찾아서 줄이
고 → 보다 효율적 사고를 채택하도록 돕는 것
- 치료자의 역할 : 적극적이고 지시적인 입장을 취해서 내담자의 생각에서 엿볼 수 있는 허점을 파고들어
서 그 생각을 바꾸려고 함
- 비이성적인 사고의 ex) 모든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인정받아야 한다, 모든 일에 유능하고 성공해야 한다,
바라는 대로 일이 진행되지 않으면 끝장이다.
(2) 벡의 접근법
- 사람들의 비논리적인 생각을 바꾸는 것을 기본 목표로 삼음
- 합리적-정서적 접근법에서보다는 치료자의 스타일이 덜 직면적이며 덜 지시적이고, 내담자 자신이 치료
자 역할을 하도록 이끈다.
(3) 마이켄바움(Meichenbaum)의 접근법
- 사람들이 자신에게 무엇을 말하는지에 따라 행동이 결정된다고 믿음
- 자기 교습 훈련 : Meichenbaum에 의해 개발된 인지 재구성적 자기훈련. 인지․행동치료적 접근.
- 환자의 비합리적인 '자기말'(스스로의 다짐이나 마음속의 독백)등을 바꾸는 것으로써 환자의 사고방식을
변화시키고 이에 더하여 행동치료의 실제적인 행동연습 절차가 첨가됨
- 치료자가 적절한 자기언어의 본보기를 제시하면 이를 내담자가 역할연습을 통해 연습을 하고 자기언어를
내면적 자기교습을 통해 내면화하게 하는 것임
2. 집단치료
- 개인치료의 대부분의 치료법을 집단에 적용할 수 있음
- 집단치료 : 두 명 이상의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로, 대개 3~15명 정도의 내담자들로 구성된다.
133
- 이점 경제성 지지체계로서의 작용 자신의 존재가치 확인 및 자존감 : , , 제고, 상호작용 얻음, 모델링, 역할연습
- 집단의 특성이나 치료자의 접근법에 따라 종류가 달라짐
1) 사이코드라마와 참만남집단
- 사이코드라마 : 1920년대 모레노에 의해 창시된 집단치료기법으로서, 감정의 분출과 타인의 감정에 대한
반응에 초점을 맞춤
- 참만남집단 : 개인의 구체적인 문제를 해결한다기보다도 자기실현의 경험, 대인관계 개선에 초점을 맞춤
2) 가족치료
- 가족 : 서로의 행복을 바라는 집단
- 가족의 구조와 조직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가족 중 어떤 개인이 심각한 심리장애를 보인다 해도 그 개
인을 치료의 대상으로 보지 않음
- 가족시스템을 바꾸고자 함
◆ 정리하기
1. 인지행동치료
정서장애가 주로 부적응적 사고과정의 결과, 치료의 주요 과제는 잘못된 사고(인지)과정을 재구성하는 것
1) 행동적 기법
(1) 고전적 조건화와 관련된 기법
① 역조건화 : 기존의 자극에 대해 새로운 반응을 하도록 배우는 과정
② 체계적 둔감화 : 이완과 편안함이라는 반응이 불안반응에 대항해서 싸우도록 도움
③ 혐오적 역조건화 : 혐오적인 자극을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유발하는 자극과 짝지음으로서 나중에 개인이 바
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유발하는 자극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으로 반응하는 것을 중지하게 하는 것
(2) 조작적 조건화와 관련된 기법
① 토큰경제 : 바람직한 행동을 즉각적으로 강화해 줌, 보편화되어 있는 문화
② 소거 : 강화물을 주지 않으면 행동이 소거됨
③ 처벌 : 부정적인 강화물을 주는 것
(3) 본뜨기 : 모델인 다른 사람이 본을 보이는 대로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과 방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는 과정
2) 인지적 기법
(1) 엘리스의 접근법 : 합리적-정서적 치료
적극적이고 지시적인 입장을 취해서 내담자의 생각에서 엿볼 수 있는 허점을 파고들어서 그 생각을 바꾸려고 함
(2) 벡의 접근법 : 사람들의 비논리적인 생각을 바꾸는 것을 기본 목표로 삼음
(3) 마이켄바움의 접근법 : 사람들이 자신에게 무엇을 말하는지에 따라 행동이 결정된다고 믿음(자기 교습 훈련)
2. 집단치료 : 두 명 이상의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로, 대개 3~15명 정도의 내담자들
1) 사이코드라마와 참만남집단
- 사이코드라마 : 감정의 분출과 타인의 감정에 대한 반응에 초점을 맞춤
- 참만남집단 : 자기실현의 경험, 대인관계 개선에 초점을 맞춤
2) 가족치료 : 가족시스템을 바꾸고자 함.
134
title 3 생물 의학적 치료
1. 약물치료
1) 심리적 장애에 흔히 처방되는 약물
(1) 항정신병제 :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도파민의 수용기를 막거나, 둔감하게 만들고, 세로토닌 활동 수준
을 증가시키는 역할이 많음
- 망상, 환각, 사고 및 지각장애, 과잉반응과 같은 증상을 완화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대인관계에서의
회피, 무의욕, 무망, 집중 곤란 등의 증상은 효과를 잘 발휘하지 못함
- 향정신병제의 예 : 클로로프로마진, 할로페리돌, 클로자핀, 리스페리돈, 올란자핀, 케티아핀, 지프라사돈 등
(2) 항우울제 : 주로 우울, 불안, 공포증, 강박충동장애의 치료 목적으로 쓰임
- 주로 노르에피네프린이나 세로토닌 같은 모노아민계의 신경전달물질의 수준을 높이는 역할을 함
- 항우울제 부작용 : 입마름, 두통, 변비, 메스꺼움, 동요, 소화기 계통 장애, 체중증가, 성욕감소 등
(3) 진정제 : 일반적으로 우울이나 불안, 공황발작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가장 자주 처방되는 약물
- 바륨이나 아티반, 자낙스, 리보트릴과 같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임. 이는 주로 GABA의 활동을 증가시켜
항불안 효과를 나타냄
- 그러나 이러한 치료제들은 우울증이나 공황장애 자체를 없애 주는 효과는 없고, 단지 응급상황에서 잠시
평온한 마음을 가지게 돕기만 할 뿐, 장기치료 목적으로는 쓰이지 않음
- 종종 진정제 복용하는 사람 중, 약물 을 남용하고 금단현상과 내성을 보이는 경우가 있음
(4) 리튬 : 양극성장애를 관리하는 데 사용
- 양극성 장애 환자가 적정량의 리튬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기분이 차분히 가라앉은 상태를 지속시켜 주
고 조증 및 우울증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켜줌
- 리튬은 적량만을 복용해야 하며 혈중 약물 농도를 자주 체크해 봐야함. 이는 리튬을 너무 적게 먹으면
치료 효과가 없고, 너무 많으면 신경계에 독성을 나타내어 경련, 뇌손상, 불규칙한 심장박동 등과 같은 심
각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임
2) 약물치료에 관한 주의사항
(1) 위약효과 : 약물이 새로 개발될 때마다 이 약이야 말로 빨리 효과를 보는 치료제라고 기대하는 것, 그
열기로 인해 약의 효과가 있는 것처럼 보고되지만, 이는 금세 사그라들고 진실이 밝혀짐. 대부분의 약은 처
음 기대했던 것만큼 효과적이지도 않고, 누구에게나 효과가 있는 것도 아님. 신약이 개발될 때마다 이러한
과정이 되풀이 됨
(2) 높은 중도탈락률과 재발률
- 약 복용으로 인해 단기적 효과를 볼지 모르나 부작용 등의 이유로 반이나 2/3 정도의 환자들이 복용을 중
지함. 또한 우울증 환자가 삶의 어려움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여전히 모르는 채 항우울제만 복용한다면
살아가면서 계속 우울증이 재발되는 것은 당연함
(3) 장기적 위험
- 항정신병제의 장기복용은 다소 위험함
- 항우울제는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장기복용의 위험성에 관해서는 아직 모름
135
2. 수술과 전기충격요법
1) 뇌수술
- 심리적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수술이란, 결국 뇌 수술임
- 1940~50년대 경에 전전두엽(prefrontal) 절제술이 자주 시행되었음. 전두엽이 정서를 조절하는 부위라고
믿고 환자를 얌전하게 만들기 위해 손을 댄 것, 수술 후 실제로 환자는 놀랍도록 얌전해 졌으나, 자연스럽
게 나타나야할 정서도 사라짐
- 많은 의사들이 이 당시에 이 수술이 유행된 데 대해 심각한 오류였음을 인정함
▶ 현재 정신과적 치료를 위해 뇌 절제술이 거의 쓰이지 않는 이유
- 약물치료가 수술보다 효과적임이 입증됨
- 수술이 장기적으로도 효과가 있는지 의혹 이 확대됨
- 수술은 한 번 시행되면 돌이킬 수 없으므로 도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음
2) 전기충격요법 : 잠깐 동안 전기를 환자의 머리에 흐르게 해서 발작을 야기함. 다른 형태의 치료에도 낫지
않는 만성적이고 심각한 우울증에 사용
- 어떻게 해서 우울증을 경감하는지 확실한 기제는 규명되어 있지 않으며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보고되지
만, 부작용 또한 보고되고 있음
◆ 정리하기
1. 약물치료
1) 심리적 장애에 흔히 처방되는 약물
(1) 항정신병제 : 클로로프로마진, 할로페리돌, 클로자핀, 리스페리돈, 올란자핀, 케티아핀, 지프라사돈 등
(2) 항우울제 : 주로 우울, 불안, 공포증, 강박충동장애의 치료 목적으로 쓰임
(3) 진정제 : 일반적으로 우울이나 불안, 공황발작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가장 자주 처방되는 약물
(4) 리튬 : 양극성장애를 관리하는 데 사용
2) 약물치료에 관한 주의사항
(1) 위약효과 : 약물이 새로 개발될 때마다 이 약이야 말로 빨리 효과를 보는 치료제라고 기대하는 것
(2) 높은 중도탈락률과 재발률
(3) 장기적 위험
2. 수술과 전기충격요법
1) 뇌수술 : 많은 의사들이 이 당시에 이 수술이 유행된 데 대해 심각한 오류였음을 인정함
2) 전기충격요법 : 잠깐 동안 전기를 환자의 머리에 흐르게 해서 발작을 야기함. 다른 형태의 치료에도 낫
지 않는 만성적이고 심각한 우울증에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