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봄날엔가 당신이 까닭 없이 서러워져

               4월

​                엄 원 태

     밭모퉁이 빈터에 달포 전부터 베로니카 은하가 떴다.​ 봄까치꽃이라고도 한다.

    베로니카 은하에서 연보랏빛 통신이 방금 도착했다. 워낙 미약하여서 하마터면

    놓칠 뻔했다. 인근 광대나물 은하까지는 불과 몇십 미터이지만, 꽃들에겐 우주

    만큼이나 아득한 거리일 터.

     산자락 외진 무덤은 잔등에 쏟아부어놓은 듯 토종민들레를 뒤집어썼다. 노란

    산개성단은 산길 옆 양지꽃 은하수에도 가득하다. 무덤가 잔디밭엔 제비꽃 플

    레이아데스성단이 떴다. 좀생이별이라고도 한다.

     오늘은 탱자나무 울타리에 희고 둥근 꽃송이들이 가장자리를 환하게 밝히며,

    게자리 프레세페성단처럼 떴다.​ 이 외진 곳은 복사꽃이나 배꽃처럼 전폭적인

    초거대 별무리들로부터 수만광년쯤 떨어져 있어, 꿀벌 전령들도 어쩌다 힘겹게

    들르는 곳이다.

     어느 봄날엔가, 당신이 까닭 없이 서러워져 홀로 들길 걸어 집으로 돌아가던 때, 

    저 외진 지상의 별무리들에게 그렁그렁 눈물 어린 눈길을 주었던가. 그래선지

    오늘 내가 거기서 왠지 서러운 빛깔의 메시지를 받는다. 슬픔도 저리 환하다.

"4"은 온갖 꽃들이 천지에 가득하지요.

"복사꽃이나 배꽃처럼" 눈에 확 들어오는 꽃들도 꽃들이지만,

땅쪽으로 눈길을 주면 "봄까치꽃", "광대나물", "토종민들레", "양지꽃", "제비꽃" 등등 

얼마나 예쁜 꽃들이 많은지요!

정말 "우주"에서 "지상"으로 내려온 "별무리"같아요.

작고 미약해서 유심히 보지 않으면 그냥 스쳐지나게 되지만

눈여겨보면 제각각 고유한 아름다움으로 반짝반짝 빛나고 있어요.

 

"어느 봄날", "까닭없이 서러워"진 "당신"이 "눈물 어린 눈길"로 바라보던 그 마음, 

꽃들과 주고받던 "서러운 빛깔의 메시지"를 

조금은 알 것 같은 4월입니다.

[아시아경제 이규성 기자]

어느 봄날엔가 당신이 까닭 없이 서러워져

엄원태 시인(사진)의 본업은 대학교수다.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조경을 가르친다. 그는 무려 25년이나 병마와 싸웠다. 일주일에 세번씩 투석하며, 학교에서 학생을 가르치며 삶을 견뎌 왔다. 그는 "신체적인 고통과 불편함이 일상여서 삶을 어떻게 견뎌내야 할지 늘 묻곤 했다"며 "병과 공존하며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삶이 시를 쓰게 만들었다"고 토로한다.

그는 지난 6월 큰 수술을 받았다. 그는 "아내가 신장을 주고, 아들이 간을 줬다"며 "신체의 일부를 가족과 공유하게 됐다는 것이 설명하기 힘든 관념으로 다가왔다"고 설명한다. 이제 그는 완전한 회복을 꿈꾼다. 낮에는 학생을 가르치고, 밤에는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하는 삶이 끝나기를 기대한다. 그는 올 겨울엔 가족과 함께 여행할 계획이다. 또 봄이 와서 하루 빨리 학교로 돌아가고 싶어 한다.

그는 "하루 아침에 병마를 이길 수 없는 것처럼 삶의 기록도 단숨에 쓸 수 없었다. 그래서 천천히 집요하게 주어진 풍경을 그릴 수 밖에 없었다"고 고백한다. 네번째 시집 '먼 우레처럼 다시 올 것이다'이 '물방울 무덤' 이후 6년만에 출간하게 된 배경 설명이다. 그는 수술 받기 전 출판사에 원고를 넘기고, 수술 후 시집을 받아 봤다. 이번 시집은 아름다움과 애뜻함, 소멸에 대한 담담한 긍정을 담고 있다.그의 시에서 소멸은 불안하고 두려운 것이 아니다. 다만 "덧없이 사려져 가는 것에 대한 순환의 기록"라는 시인의 말처럼 소멸은 순환의 일부일 따름이다.

어느 봄날엔가 당신이 까닭 없이 서러워져

세번째 시집 '물방울 무덤'이 '사라지는 것의 애도'라면 네번째 시집은 제목에서도 알 수 있 듯 사라지는 것에 대한 순환성을 더한다. 그래서 우리는 시인이 시를 통해 삶을 어떻게 지탱해 내는 지를 배우게 된다.

"밭모퉁이 빈터에 달포전부터 베르니카 은하가 떴다. 봄까치꽃이라고도 한다. 베르니카 은하에서 연보랏빛 통신이 방금 도착했다. 워낙 미약하여서 하마트면 놓칠 뻔 했다. 인근 광대나물 은하까지는 불과 몇십미터이지만, 꽃들에겐 우주만큼이나 아득한 거리일 터.(중략) 어느 봄날엔가, 당신이 까닭없이 서러워져 홀로 들길 걸어 집으로 돌아가던 때, 저 외진 지상의 별무리들에게 그렁그렁 눈물 어린 눈길을 주었던가. 그래선지 오늘 내가 거기서 왠지 서러운 빛깔의 메시지를 전해 받는다. 슬픔도 저리 환하다."('4월' 중 일부)

세상은 언제나 생멸을 반복하고, 인간은 그 궤도에 잠시 올라탔다 내린다. 어느 인생이든 희노애락이 공존한다. 그래서 100% 순도 높은 행복만을 기대할 순 없다.

"이제 너는 타나호수로 돌아갔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다는 타나호수, 내 침침한 흉강 한쪽에 넘칠 듯 펼쳐져 있다. 거기에 이르려면 슬픔이 꾸역꾸역 치미는 횡경막을 건너야 한다. 고통의 임계지점, 수평선 넘어가면 젖가슴처럼 봉긋한 두개의 섬에 봉쇄수도원이 있다. 우리는 오래전 거기서 죽었다. 파피루스 배 탕크와는 한 때 내 몸이었다. 언젠가 다시 그곳에 가리라. 그때면 너는 물론 거기 없을 테지만, 한 무리 펠리컨들이 너를 대신해서 오천년 쯤 날 기다려주리라.(후략)" ('타나호수')

여기서 '너'는 소멸 혹은 소멸 직전에 나에게 뼈저린 고통을 주는 존재들이다. 너에게서 도망치 듯 멀리 하려는 것은 언제나 알고 보면 마음 속의 괴로움이거나 집착일 수 있다. 그렇다고 버릴 수 있는 건 아니다. 포용은 엄원태의 시가 지닌 고요하고도 적막한 힘이다.

"마음을 연 어미가/ 제 새끼 받아들여 핥아주고 젖을 물리듯/가슴 깊이 흐르는 강 같은 쓸쓸함으로/징한 새끼 같은 삶을 받아들이곤 한다네."(후스루흐 중 일부)

그토록 절절한 삶은 '언제나 죽음 지척의 일'(주저앉은 상엿집)이며 '한바탕 부유'(공중무덤)이다. 또한 '그것들을 가만히 내려다 보는 저녁 하늘 위 무심한 붉은 구름. 말없이 돌아가는 죽지 흰새 몇, 그 아래 조용히 팔을 거두어 들이는 잎 큰 후박나무들. 저 홀로 푸르러 어두워가는 느티나무 그늘 아래'(다만 흘러가는 것들)에서의 쓸쓸함, 그 견딤의 과정이다.

이규성 기자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