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 에 왜 팥죽 을 먹나요

우리에겐 작은 설(亞歲), 태양신을 숭배하던 문화권에서는 새해의 시작이었던 동지(冬至)가 머지않다. 하선동력(夏扇冬曆)이라 여름 단오날에는 부채를 겨울 동짓날엔 달력을 선물하는 미풍양속이다. 내년을 계획하라는 뜻이다. 동짓날 대표 시절음식은 동지팥죽. 속설에는 중국 요순시대 공공씨의 아들이 동짓날 죽어서 천연두를 관장하는 역귀(疫鬼)가 되었는데, 어릴 적 팥을 싫어했다하여 팥죽을 쑤어 먹고 주변에 뿌리기도 하여 돌림병을 예방하는 벽사가 되었다고 한다.

동지 에 왜 팥죽 을 먹나요

동지 팥죽

전설따라 삼천리같은 얘기다. 좀 더 수준을 높여 볼 수는 없을까. 가장 먼저 드는 의문.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 왜 하필이면 팥죽일까. 복선으로 감추어진 온갖 비밀을 풀어내는 음양학에선 동지를 음기운이 세력의 끝에 도달했다하여 음지(陰至)라 한다. 반대로 그동안 맥없이 짜부라지던 양기운은 동지를 기점으로 비로소 다시 세력을 키우기 시작한다. 태양의 부활이다. 양의 기운이 비록 미약해서 실감하지는 못하지만 음양의 세대교체다. 하늘의 기운변화가 이러한데 사람에게 영향이 없겠는가. 이 시점에서 사람에게 꼭 필요한 맞춤형 곡물이 바로 팥이다. 팥의 성질은 음양이 아울러 평하고 맛은 달고 시다.

붉은 색은 오행에서 화(火) 단 맛은 토(土) 신 맛은 목(木)이다. 목극토라 신 맛은 단 맛을 극(克)하나 절묘하게도 목생화·화생토라 껍질의 쓴 맛 즉 화가 이를 조화시킨다. 전체적으로 보면 아주 조심스럽게 양기운의 우세를 예견하는 형국이다. 천지기운과 딱 맞아 떨어진다. 팥죽을 먹어 우리 몸이 계절기운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준비시키는 거다. 기막힌 타이밍이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 올 해는 동지가 일찍 동짓달 상순에 드는 애기동지(兒冬至).

우리민족은 태음력과 태양력을 아우른 태음태양력으로 24절기풍속을 형성시켜온 지혜로운 민족이다. 음력과 양력 그 차이를 감안해 동지를 구분했다. 애기동지란 태양이 황경 270도에 위치했으나 기운으로는 음의 세력이 아직 끝이 아닌 시점. 그래서 팥죽 대신 팥시루떡을 먹도록 했다. 이건 또 뭔가. 여기에는 또다른 비밀이 감추어져 있다. 바로 팥의 조리법이다. 팥죽은 팥을 완전히 삶아 으깨고 체에 걸러 껍질을 제거하고 그 물에다 찹쌀로 만든 새알심을 보태 쑨 죽이다. 반면에 팥시루떡에 들어가는 팥은 완전히 으깨지 않는다. 부연하면 팥죽은 팥껍질을 완전히 터트려서 만들고 시루떡에 들어가는 팥은 일부만 터지고 껍질도 남아있다. 따라서 애기동지에는 팥껍질을 완전히 터트리지 않아 양기운을 조금 더 남기는 조리법을 사용한 팥시루떡을 먹는 것이다.

새알심

이런 조리법은 산에 사는 사람(仙)들에게만 전해오는 비술인 연단술(鍊丹術)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본격 수행에 들기 전에 정력과 기력을 강화시키는 비법인 지단술(地丹術)에서 여름에는 냉성(冷性)인 녹두를 먹는다. 바로 이 녹두조리법에서 양체질은 껍질을 반만 터트리고 음체질은 껍질을 완전히 터트리는 것은 물론 음기운을 더욱 약화시키기 위해 팥을 섞는다. 음양이 반대지만 원리는 같다.

천지자연의 기운을 꿰뚫어보신 소수 엘리트할아버지들의 혜안이 풀뿌리에 불과한 민간에 알려준 삶의 지혜가 미풍양속이라는 이름으로 전해진다는 사실, 가슴속에서 전율이 인다.

김인곤(수람기문 문주)

동영상 유튜브

동지 에 왜 팥죽 을 먹나요

(TGN 대전) 왜 동지에는 팥죽을 먹나요?

동지는 어떤 날?

동지(冬至): 겨울에 이르렀다.

동지는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동지를 기접으로 점점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풍속적·종교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날이죠!

동지에 팥죽을 먹는 이유

동지에 팥죽을 먹는 것에 대한 유래는 「형초세시기」에 나와있습니다.

“공공씨라는 사람이 재주 없는 아들을 두었는데 동짓날에 그 아들이 죽어 역귀가 되었다.

그 아들이 생전에 팥을 몹시 두려워했으므로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역질 귀신을 쫓는 것이다.”

이 이야기가 전래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려 말에도 팥죽을 먹은 기록이 있어 그전부터 팥죽을 먹어왔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팥죽의 효능은?

팥죽에는 단백질, 지방, 당질, 회분, 섬유질 등과 비타민 B1이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신장병, 각기병, 부종, 빈혈에 좋으며 숙취 해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밖에도 산후 붓기 제거, 설사, 해열, 산전산후통, 진통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산모들이 섭취하기에 적합하다고 합니다!

팥죽과 함께 즐거운 동짓날 보내세요!

[뉴스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올해 동짓날 `팥죽` 먹어도 되나요…팥 끓인 유래는

올해 동지는 11월 초순 찾아오는 애동지
아기 귀신 쫓는 팥죽, 애동지 기피했지만
동의보감도 인정한 영양…"마음 깊숙한 곳 열어주는 음식"
본래 단맛 덕에 대중화 성공…70년 장수제품 `연양갱`

  • 등록 2020-12-20 오전 11:28:04

    수정 2020-12-20 오전 11:28:04

  • 페이스북
  • 트위터
  • 메일
  • 프린트
  • 스크랩
  • url복사

[이데일리 전재욱 기자] 오는 21일 동지는 (冬至) 연중 밤이 제일 긴 날이다. 동지에 즐기는 팥은 음의 기운을 누르는 한편 영양까지 챙길 수 있는 식재료로 주목받는다. 가정간편식(HMR)과 디저트용으로 손쉽게 즐길 만큼 대중화에도 성공했다.

20일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을 보면 동지는 돌아오는 날짜가 음력 며칠에 해당하는지에 따라서 세 가지로 구분한다. 11월 초순이면 애(兒)동지, 중순이면 중(中)동지, 하순이면 어른(老)동지로 친다. 애동지는 보통 윤달이 끼는 해에 찾아온다. 올해 동지는 음력 11월7일이라서 애동지에 해당한다.

애동지는 팥을 즐기는 풍습도 약간 다르다. 통상 즐기는 팥죽보다는 팥 시루떡을 먹는 게 일반적이다. 우리 민족이 동지에 팥죽을 왜 먹기 시작했는지 유래와 연관돼 있다. 부산대 최덕경 교수가 쓴 `조선의 동지 팥죽과 그 사회성` 논문을 보면, 동지에 액과 잡귀를 물리치려고 제사를 지낸 팥죽을 문짝에 뿌린 내용이 19세기 쓰인 `동국세시기`에 소개돼 있다.

이런 풍습은 6세기 중국에서 쓴 `형초세시기`에 나오는 설화와 관련 있다. `중국 고대 전설에 등장하는 천신 홍공씨의 아들이 동짓날 죽어 귀신이 됐는데, 아들이 팥을 싫어했기에 동짓날 팥죽을 쑤어 쫓았다`는 내용이다. 동지는 한해 중에 밤이 제일 길어 음의 기운이 가득해서 원혼이 활동하기 좋은 날이라는 믿음과 관련 있다.

이런 이유에서 애동지에는 팥죽을 먹지 않는 게 풍습이다. 아이를 둔 집안에 아이 귀신을 쫓는 목적의 팥죽을 먹으면 탈이 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동지 팥죽은 아이 귀신을 쫓는 `축귀` 음식이라서 다른 음식을 먹은 것이다. 다만, 요새는 이런 믿음이 옅어져 음식을 크게 가려 먹는 분위기는 아니다.

팥은 영양으로 빠질 데 없는 식재료다. 특히 약재로서도 뛰어난 효능을 보여준다. 동의보감은 `적소두(赤小豆·붉은팥)를 달여서 죽을 쑨 죽을 먹으면 심규(心竅)를 열어 마음속 답답함을 풀어준다`고 전한다. 적소두죽은 오늘날 팥죽과 같다. 아울러 적소두의 잎은 술을 마시고 생긴 두통에 좋고 딸꾹질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음주가 잦은 연말에도 가까이하기 좋은 재료다.

팥이 대중화에 성공한 데에는 본래 가진 `단맛`이 무기가 됐다. 설탕이 귀하던 시절에는 단맛을 내고자 팥을 대용품으로 써왔다. 양갱에서 단맛이 나는 이유는 팥을 주재료로 하기 때문이다.

동지 에 왜 팥죽 을 먹나요

해태제과 연양갱이 대표적이다. 연양갱은 1940년대부터 만들어온 팥으로 만든 장수 과자다. 빙그레 붕어싸만코와 비비빅은 팥으로 맛을 낸 인기 아이스크림이다. 투썸플레이스와 카페베네는 팥으로 만든 라떼를 판매한다. 오리온은 팥초콜릿을 쓴 초코파이를 판매하고, 디저트 카페 설빙은 올해 내놓은 ‘통단팥죽’은 출시하기도 했다.

동지 에 왜 팥죽 을 먹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