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통신 중계기 설치 방법

로앤굿 | 변호사 사건의뢰는, 로앤굿

내 사건을 의뢰하고, 변호사 제안서 받으세요.

(주) 로앤굿

사업자등록번호: 668-86-01551 | 대표이사: 민명기 |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83길 18, 매직킹덤빌딩 5층

본 웹사이트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법률적 자문이나 해석을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 아닙니다. 본 웹사이트에서 취득한 정보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여 직·간접적인 손해를 입었다 하더라도 (주)로앤굿은 어떠한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웹사이트에서 취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어떠한 조치를 취하시기에 앞서 반드시 법률전문가와 충분한 상담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주)로앤굿은 공정한 수임질서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며 변호사법 및 기타 관련 규정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모든 법률상담은 로앤굿에 가입한 변호사 회원이 직접 진행합니다. 로앤굿에 표시된 변호사 회원의 정보는 해당 변호사 회원이 직접 제공한 것이며, 모든 변호사 회원은 소속 법률사무소에서 독립적으로 업무를 수행합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 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열 단위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는, 내부에 통신 중계를 위한 내장부품(101)이 마련되는 함체(100)와, 함체(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열을 함체(100)의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판부(110)와, 함체(100)의 외측에서 방열판부(110) 영역에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되어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방열량을 배가시키는 더미 방열유닛(400)을 포함한다.

함체(100)는,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중계기에서 대부분의 부피를 차지하는 부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부품(101)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한 부피를 갖는 사각 박스(box) 형태를 갖는다. 물론, 함체(100)가 반드시 사각 박스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함체(100)에는 함체(100)를 개폐하는 도어(102)가 마련된다. 도어(102)는 힌지(103, hinge)에 의해 함체(100)에 연결되어 함체(100)에 대하여 회동 개폐된다.

함체(100) 내에 구비된 내장부품(101)은, 통신 중계를 위한 다양한 통신모듈과, 이들 통신모듈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 그리고 이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내장부품(101)이 하나의 모듈 형 태, 즉 박스 구조의 모듈 형태로 마련되어 함체(100) 내에 마련된 후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내장부품(101)을 이루는 각 모듈들을 마치 단품과 같은 형태로 구현하고, 이들을 함체(100) 내에 배치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기존의 이동통신 중계기에서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의 부품들을 일일이 조립하는 등의 불편함 및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물론, 내장부품(101)이 도면과 같이 반드시 모듈 형태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PCB 등의 각 부품을 함체(100) 내에 조립하는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함체(100) 내에 설치되는 내장부품(101)은 수분이나 팽창공기, 또는 열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갖는데 특히, 열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갖는다. 내장부품(101) 중에서도 전원장치의 신호와 최종 출력단에 설치되는 증폭기 등에서 고열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고열을 함체(100)의 외부로 방열시키지 못할 경우 내장부품(101)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에서 함체(100)의 배면에는 내장부품(101)에 의해 발생된 고열을 함체(100)의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판부(110)가 결합되어 있다.

방열판부(110)는 열전도가 매우 우수한 재질로 선택되어 제작되며, 외기와의 접촉 면적 증대를 위해 다수의 판이 이격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부(110)는 함체(100)의 배면에서 하방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된 다수의 판(plate) 구조로 제작되며, 이에 따라 외 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열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열판부(11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그 사이즈(size)가 함체(100)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그에 대응되는 사이즈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현재 이러한 수준으로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함체(100) 내의 내장부품(101)이 고(高)발열 내장부품임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규격화된 사이즈의 방열판부(110)를 함체(100)에 적용하게 되면, 원하는 수준의 발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즉 내장부품(101)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완전히 방열시킬 수 없어 내장부품(101)이 손상되거나 고장나는 현상을 피할 수 없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대형 압출 방열판부(미도시)가 구비된 대형 사이즈의 함체(미도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고 또한 중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중계기를 전주(전봇대)에 설치할 때 전주에 가해지는 하중이 높아져 전주의 기울어짐이 야기될 수 있으며, 또한 운반 및 설치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방열판부(110)를 사용하기는 하되, 함체(100) 내의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방열량에 기초하여 만약 방열량을 배가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더미 방열유닛(400)을 더 사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방열량을 배가시킬 수 있어 내장부품(101)이 손상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함체(100)의 소형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전주의 기울어짐, 운반 및 설치 작업의 난해함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더미 방열유닛(400)으로서 방열판부(110)에 결합되는 방열 단위블록(400, 도 3 참조)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열 단위블록(400)은, 양쪽 방향으로 대칭되면서도 상호간 이격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410,42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11개의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410,420)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410,420) 중에서 제1 방열 날개부(410)의 단부에는 각각 홈부(4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부(411)는 도 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판(plate) 구조의 방열판부(110)가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장소로 이용된다.

이처럼 방열판부(110)가 홈부(411)에 끼워지면서 방열 단위블록(400)이 방열판부(110)와 연결되는 경우, 방열판부(110) 외에도 방열 단위블록(400)에서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방열량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410,420)들에는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410,420)들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절취되어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는 다수의 제1 및 제2 공기유동부(412,4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410,420)들 역시 상호간 이격 배치됨으로써 그 사이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어 방열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데, 이에 더하여 다수의 제1 및 제2 공기유동부(412,422)를 더 형성함에 따라 다수의 제1 및 제2 공기유동부(412,422)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더 이루어지면서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방열량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제1 및 제2 공기유동부(412,422)는, 상호간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1 방열 날개부(410)들에 형성된 제1 공기유동부(412)들의 개수는, 제2 방열 날개부(420)들에 형성된 제2 공기유동부(422)들의 개수보다 많게 마련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방열 날개부(410)들에 형성된 제1 공기유동부(412)들의 개수는 4개, 그리고 제2 방열 날개부(420)들에 형성된 제2 공기유동부(422)들의 개수는 3개가 마련되고 있는데, 이 경우 제2 공기유동부(422)들은 제1 공기유동부(412)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될 경우,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면서도 유입된 공기를 담아둘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방열량 배가의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1 및 제2 공기유동부(412,422)들의 개수는 도시된 것과 달리 적용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410,420)들의 일 영역에는 더미 방열유닛(400)으로서의 방열 단위블록(400)의 조립을 위한 다수의 조립 보스(430)가 더 마련되어 있 다. 조립 보스(430)는 방열 단위블록(400)을 함체(100)에 조립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혹은 도시된 것과는 달리 2개 이상의 방열 단위블록(400)을 사용하면서 이들이 상호간 조립되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방열 단위블록(40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즉 함체(100)의 방열판부(110)에 결합된 방열 단위블록(400)이 함체(100)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방열 단위블록(400)의 하부에는 지지브래킷(440, 도 2 참조)이 더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만약 내장부품(101)에 대한 방열량을 좀 더 높이고자 한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방열유닛(400)으로서의 방열 단위블록(400)을 함체(100)의 방열판부(110)에 결합시켜 사용하면 된다. 즉 방열 단위블록(400)에 형성된 홈부(411)들이 각각 방열판부(110)의 노출 단부에 끼워지도록 한 후, 조립 보스(430)들로 볼트를 체결하고, 이어 지지브래킷(440)을 통해 방열 단위블록(400)을 함체(100)에 대해 지지시키면 간단하게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더미 방열유닛(400)의 조립을 완료한 후,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중계기를 전주에 매달아 사용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장부품(101)의 방열량에 따른 원하는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중계기의 소형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전주의 기울어짐, 운반 및 설치 작업의 난해함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더미 방열유닛(200,3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소켓형 방열판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더미 방열유닛(200)은, 함체(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방열판부(110)에 배치되는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과,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함체(100)에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의 결합부(22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함체(100) 내에 구비되는 내장부품(101)이 고(高)발열 내장부품이기 때문에, 총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반드시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4개 사용할 필요는 없으므로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의 개수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방열량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고 있는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 모두는, 골부와 정부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상을 갖는 몸체부(211a~211d)와, 몸체부(211a~211d)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213a~213d)를 구비한다.

몸체부(211a~211d)를 파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유사한 부피라 하더라도 많은 영역에서 보다 많은 외기와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방열량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 쌍의 플랜지부(213a~213d)는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함 체(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이용된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결합부(220)는,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함체(100)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제1 결합유닛(230)과,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간 이격시키면서 함체(100)에 개별적으로 결합시키는 제2 결합유닛(240)을 포함한다.

물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유닛(240)에 의해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상호간 이격시키면서 함체(100)에 개별적으로 결합시킨다 하더라도, 제1 결합유닛(230) 및 제2 결합유닛(240) 영역에서 함체(100)와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이 모두 연결되기 때문에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열을 방열시키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제1 결합유닛(230)은,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의 플랜지부(213a~213d)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214a~214d, 도 6 참조)과, 다수의 볼트공(214a~214d)으로 삽입되어 함체(100)의 배면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볼트(21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함체(100)의 배면, 즉 방열판부(100)가 위치된 영역으로 하나씩 배열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체결볼트(215)를 다수의 볼트공(214a~214d)으로 삽입하여 함체(100)의 배면에 체결시킴으로써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함체(100)에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유닛(230)과 더불어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함체(100)에 결합시키기는 하되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상호간 이격시키면서 함체(100)에 개별적으로 결합시키는 제2 결합유닛(240)은, 함체(100)의 배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보스볼트(241)와, 다수의 보스볼트(241)와 최상단의 소켓형 방 열판(210a) 사이, 그리고 최상단의 소켓형 방열판(210a)과 나머지 소켓형 방열판(210b~210d)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다수의 보스볼트(241)와 함께 상호간 체결되는 다수의 이격볼트(242)를 구비한다.

제1 결합유닛(230)과는 달리 제2 결합유닛(240)은 소켓형 방열판(210a~210d)들의 중앙 영역에서 다수개 배치되어 함체(100)에 결합되는데, 다수의 보스볼트(241)와 다수의 이격볼트(242)가 상호간 체결되기 위해, 보스볼트(241)의 일측 내면에는 암나사산이, 그리고 이격볼트(242)의 일측 외면 및 타측 내면에는 각각 수나사산과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산의 구조에 의해,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보스볼트(241)와 다수의 이격볼트(242)는 함체(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호간 체결될 수 있고, 이로써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은 상호간 이격되면서 함체(100)에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중계기의 작용, 특히 조립 과정과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내장부품(101)에 대한 방열량을 좀 더 높이고자 한다면,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유닛(240)의 일 구성요소인 다수의 보스볼트(241)를 함체(100)의 배면에 조립한다. 함체(100)의 배면에는 방열판부(11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방열판부(110)와 간섭되지 않는 부분을 골라 다수의 보스볼트(241)를 함체(100)의 배면에 조립한다.

다음, 다수의 보스볼트(241)에 우선 첫 번째 열의 이격볼트(242)들을 조립해 두고,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 중에서 최상단의 소켓형 방열판(210a)을 배 치한 후, 다시 두 번째 열의 이격볼트(242)들을 이용하여 최상단의 소켓형 방열판(210a)을 첫 번째 열의 이격볼트(242)들에 조립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나머지 소켓형 방열판(210b~210d)을 이격볼트(242)들을 이용하여 차례차례 조립한다.

그런 다음, 최종적으로 다수의 체결볼트(215)를 다수의 볼트공(214a~214d)으로 삽입하여 함체(100)의 배면에 체결시킴으로써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함체(100)에 결합시키면 간단하게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더미 방열유닛(200)의 조립을 완료한 후,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중계기를 전주에 매달아 사용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장부품(101)의 방열량에 따른 원하는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중계기의 소형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전주의 기울어짐, 운반 및 설치 작업의 난해함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지지판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8의 B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의 더미 방열유닛(200)과 다른 구조의 더미 방열유닛(300)을 사용하고 있을 뿐, 함체(100), 함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내장부품(101), 그리고 함체(100)의 배면에 마련된 방열판부(110)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 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에 적용되는 더미 방열유닛(300)은, 2개의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과,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 사이에 마련되어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상호간 이격시키면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320)와, 제2 소켓형 방열판(310b)의 하부에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제2 소켓형 방열판(310b)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판(330)과,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과 지지판(330)을 함체(10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3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더미 방열유닛(300)에 적용되고 있는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은, 전술한 실시예의 도 7에 도시된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과 동일한 것이다. 즉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 모두는 골부와 정부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상을 갖는 몸체부(311a,311b)와, 몸체부(311a,311b)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313a,313b)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수의 연결부재(320)는,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 사이에 마련되어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상호간 이격시키면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이 마련되고 있으므로 그 사이에만 다수의 연결부재(320)가 마련되나 만약 3개 이상의 소켓형 방열판이 사용된다면, 그들 사이사이에 다수의 연결부재(320)가 마련되면 된다.

이러한 다수의 연결부재(320) 모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바디(321)와, 바디(321)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제1 소켓형 방열판(310a)의 정부가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끼움홈부(322)와, 바디(321)의 하단부를 이루되 제2 소켓형 방열판(310b)의 골부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끼움돌출부(323)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로 미루어 볼 때, 연결부재(320)들 모두는 종방향 단면 시,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문자 Y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연결부재(320)들은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이 좀 더 많은 영역에서 외기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상호간 이격시키면서 또한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상호 연결하여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외기와의 접촉면적 증대를 이유로,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상호간 이격시키기만 한다면, 실질적으로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열을 방열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상호간 이격시켜 외기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는 하되, 이들이 상호간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열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이 경로를 연결부재(320)들이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연결부재(320)들 외에도 결합부(340) 역시 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기도 한다.

지지판(3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30)의 바로 위쪽 상부에 배치된 제2 소켓형 방열판(310b)의 골부가 부분적으로 끼워지도록 다수의 홈부(331a)가 형성된 판스프링 본체(331)와, 판스프링 본체(331)의 양단부에 형성되 는 한 쌍의 플랜지부(332)를 구비한다.

이러한 지지판(330)은 제2 소켓형 방열판(310b)의 하부에서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이에 더하여 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여 방열량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더미 연결유닛(300)의 구조에서, 함체(100), 방열판부(110),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 다수의 연결부재(320) 및 지지판(330)은, 다수의 연결부재(320)가 위치된 영역에서 상호간 접촉되게 마련됨으로써 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게 되고, 이 후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과 지지판(330)에 의한 방열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결합부(340)는,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과 지지판(330)을 함체(1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합부(340)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의 결합부(340)는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의 플랜지부(313a,313b)에 형성된 다수의 제1 볼트공(314a,314b)과, 지지판(330)의 플랜지부(332)에 형성된 다수의 제2 볼트공(332a)과, 다수의 제1 볼트공(314a,314b) 및 제2 볼트공(332a)으로 삽입되어 함체(100)의 배면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볼트(341, 도 9 참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9 및 도 10과 같이, 함체(100)의 배면으로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배치하면서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 사이로 연결부재(320)를 끼우고, 이어 제2 소켓형 방열판(310b)의 하부에 지지판(330)을 배치하여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하부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한 후, 결합부(340)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과 지지판(330)을 함체(100)에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은 간편하게 완료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더미 방열유닛(300)의 조립을 완료한 후,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중계기를 전주에 매달아 사용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장부품(101)의 방열량에 따른 원하는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중계기의 소형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전주의 기울어짐, 운반 및 설치 작업의 난해함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