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 땅굴 가는 방법

제 3 땅굴 가는 방법

   경기도 가볼만한 곳, 파주 제3땅굴
우리나라 사람들보다 외국인들이 더 많이 선택하는 여행코스가 있습니다. DMZ투어. 학창시절 수학여행으로 와본 기억이 있는것 같기도 한... 땅굴. 그 때 갔던 곳이 경기도인지 강원도인지 위치도 가물가물한데요. 현재까지 발견된 땅굴은 제1땅굴(연천 고랑포), 제2땅굴(강원 철원), 제3땅굴(경기 파주), 제4땅굴(강원 양구) 총 4개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땅굴은 개별 관람 불가, 신분증 지참후 DMZ연계 견학을 신청하셔야 하는 경기도 파주 제3땅굴입니다.

제 3 땅굴 가는 방법

제 3 땅굴 가는 방법

 DMZ견학 

DMZ견학은 도라산역 또는 임진각에서 출발합니다. A, B코스가 있으며 관광버스를 타고 단체로 이동하는데요. 투어 팀은 출발한 사람들이 모두 탑승해야 다른 장소로 이동 가능하며 비무장지대, DMZ의 분위기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투어입니다.(신분증 미소지시 투어불가.)  


    DMZ견학
· A 코스 : 임진각출발-제3땅굴-도라산전망대-도라산역-통일촌-임진각도착
가격(셔틀/도보 선택가능) 개인 일반 8,700원(셔틀트레인탑승시, 11,700원) 학생 6,700원(셔틀트레인 9,200원) 경로 5,900원(셔틀트레인 7,400원)
· B 코스 : 임진각출발-허준선생묘-해마루촌-제3땅굴-도라산전망대-임진각도착
가격(도보만 가능) 개인 일반 9,000원 학생 7,000원 경로 6,200원 
 
   DMZ연계관광 이용 절차
· 기차역(도라산역) : 임진각역도착-출입수속(매표소)-도라산역하차-연계관광(셔틀버스 이용)
· 자가용, 대중교통, 단체 : 임진각관광지-출입수속(매표소)-연계관광(셔틀버스 이용)

 

제 3 땅굴 가는 방법

제 3 땅굴 가는 방법

 제3땅굴 

제3땅굴은 1974년 귀순한 북한 김부성씨의 첩보를 근거로 시추작업을 하였으나 땅굴징후를 포착하지 못하다가 1978년 판문점 4km지점에서 발견되었습니다. 폭2m, 높이2m, 총길이 1,635m에 달하는 1시간 3만명 병력이동이 가능한 규모였습니다. 규모면에서 제2땅굴과 비슷하지만 서울에서 52km거리에 있었기에 이전 땅굴보다 훨씬 위협적인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제 3 땅굴 가는 방법

 셔틀트레인 vs 도보 

임진각에서 서북쪽 4km, 통일촌 민가에서 3.5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서울에서 승용차로 45분 거리에 있는 제3땅굴은 셔틀트레인과 도보 코스를 선택하실 수 있는데요. 건강한 사람이라면 무리 없이 도보코스를 걸을 수 있습니다. 내부 입장시, 가방과 카메라는 사물함에 넣어야 하며, 사진촬영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광장에는 제3땅굴 제1호 경시형 셔틀승강기 통일호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제 3 땅굴 가는 방법
제 3 땅굴 가는 방법


기념품가게
 

땅굴을 보고 나오면 기념품 가게에서 우리에게 생소한 북한 제품들은 볼수도 있구요. 늠름한 국군 캐릭터기념품들을 구입할 수 도 있습니다.

제 3 땅굴 가는 방법

제 3 땅굴 가는 방법

■ 공동경비구역 JSA

 

우리나라와 북한이 서로 대면하고 있는 지역 공동경비구역 JSA를 테마로 한 제품들도 있습니다. 1953년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으로 인해 판문점이 형성되어 2004년 이후 경비 업무는 대한민국 군에 이양되었으나 지휘 통제권은 계속 UN사령부가 가지고 있기에 주한미군과 중립국 감독위원회(스위스, 스웨덴 대표)도 주둔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멀지 않은 경기도 파주에 이렇게 땅굴이 있었다는 사실이 놀라운데요. 안보의 중요성을 체감할 수 있는 곳이기에 학생들이 있는 가정에서 방문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파주 안보관광 제3땅굴
주소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제3땅굴로210-358
전화번호 031-940-8526(관광안내소)
이용시간 9:20-15:30
※ 개별방문불가, DMZ연계견학코스임.
신분증 필수 지참!

파주 문산자유시장에서 만원 이상을 쇼핑하면 DMZ투어(DMZ안보관광)가 무료입니다.

임진각에 가서 DMZ투어를 하더라도 1인당 만원 이상을 들여 티켓팅 후 투어를 하는데, 무료로 투어를 할 수 있어서 너무 좋죠.

그래서 시장에서 쇼핑을 하고 DMZ투어를 다녀왔는데요.

문산자유시장에서 DMZ투어(DMZ 안보관광)을 무료로 떠나보세요

그 첫번째 방문지는 제3땅굴입니다.

DMZ 안보관광 운행코스 임진각 - 제3땅굴(1시간) - 도라산전망대(15분) - 도라산역(15분) - 통일촌마을(20분) 입니다.

DMZ투어(DMZ안보관광) - 도라산 전망대

DMZ투어(DMZ안보관광) - 도라산역

DMZ투어(DMZ안보관광) - 통일촌 마을(장단콩 마을)

통일대교를 건너 남북출입사무소를 지나면 제3땅굴로 가는 표지판이 보입니다.

이 지역은 DMZ(비무장지대) 지역으로 마음대로 돌아다닐 수 없고, 단체로만 이동을 해야 합니다.

또한 곳곳에 엄청난 양의 각종 지뢰들이 매설되어 있다고 하네요.

제3땅굴 등의 DMZ 관광지는 개별방문이 불가능하고, 관광버스나 기차를 타고 관광해야 합니다.

(이용시간 09:20 ~ 15:30, 동절기는 15:00까지, 월요일과 공휴일(토/일과 추석과 설연휴는 정상운영)은 휴무)

제 3 땅굴 가는 방법

제3땅굴 관광지로 들어왔습니다.

DMZ 조형물이 비무장지대에 들어왔다는 걸 실감나게 해 주네요.

이곳에서의 관광시간은 대략 1시간 입니다.

북한에서 남침을 위해 판 땅굴은 대략 20여개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그 중에서 지금까지 4개의 땅굴이 발견된 상태라네요.

(아래는 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제1땅굴1974년 11월 15일에 경기도 연천군 고랑포 북동쪽 8km지점인 군사분계선 남방 1.2km 부근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너비 90cm, 깊이가 지하 45m, 길이가 3.5km에 달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1시간에 1개 연대의 무장병력이 통과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제2땅굴 1975년 3월 24일 강원도 철원 북쪽 13km 지점인 군사분계선 남방 900m 지점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너비 2.1m, 깊이 지하 50~160m, 길이 3.5km에 달하는 암석층 아치형 구조물로 1시간에 3만명의 병력과 야포 등 중화기가 통과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방문한 제3땅굴1978년 10월 17일 판문점 남쪽 4km 지점인 군사분계선 남방 435m 지점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너비 1.95m, 깊이 지하 73m, 길이 1.6km에 달하는 암석층 아치형 구조물로 1시간에 3만명의 병력과 야포 등 중화기가 통과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제4땅굴1990년 3월 3일 강원도 양구 북동쪽 26km 지점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너비 1.7m, 깊이 지하 145m, 길이 2.1km에 달하는 암석층 굴진 구조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도착하자마자 제3땅굴에 모노레일을 타고 내려갔는데요.

땅굴에서는 사진촬영 등이 일절 금지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무료물품보관함에 휴대폰을 비롯한 소지품 전부를 보관하고 이동해야 합니다.

모노레일은 단체로 미리 예약해서 탈 수 있는데요.

문산자유시장 DMZ안보관광은 사전에 예약되어 있는지 단체로 도착하자마자 무료로 탈 수 있었습니다.

참고로 임진각에서 유료로 DMZ투어를 신청하면 제3땅굴 모노레일 타는 요금이 12,200원, 타지 않는 요금은 9,200원입니다.

깊이가 73미터로 제법 내려가야 하므로 몸이 불편하면 모노레일로 끊으시면 되고, 정상인이라면 걸어내려갔다 돌아오는 것도 좋습니다.

(첫 번째 DMZ 투어에서는 도보로 다녀왔음)

모노레일을 타고 천천히 내려가면 5분 정도 소요됩니다.

걸어서 땅굴의 끝 지점까지 돌아 오는데에는 7~8분이면 족합니다.

땅굴 내부에는 깊이가 있어서 쌀쌀합니다.

여름에 오면 피서지로 최고가 될 듯...

제3딸굴을 관람하고 모노레일을 타고 올라오면 아곳 영상실에서 영상관람을 실시합니다.

모노레일을 타서 다녀오는 곳과 도보로 다녀오는 곳이 구분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양상실에서는 DMZ에서의 북한의 도발, 그리고 현재까지의 무력남침 사건들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상영시간은 5분 내외 입니다.

제1땅굴에서 제4땅굴은 발견된 순서에 따라 명칭이 정해졌다고 합니다.

땅굴을 둘러보니 깊이도 깊이지만 바윗덩어리로 만들어진 지하공간을 그렇게 넓게 뚫었다는 데에 놀랐습니다.

얼마나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 바위를 뚫고 공사를 했는지 정말 대단해 보이더라구요.ㅎㅎ

땅굴에서 사진을 찍을 수 없어서 아쉬웠는데 입구에 제3땅굴 모형이 만들어져 포토존을 만들어 뒀네요.

제3땅굴 총 길이 1,635m, 지하 73m에 위치하고 있으며, 높이 2m, 폭 2m의 둥근 아치형 땅굴입니다.

군사분계선 기준으로 북으로 1,200m, 남으로 435m를 파 내려오다가 관통위치에서 발견되었으며, 현재 265m만 도보로 견학할 수 있습니다.

265m 지점부터 군사분계선까지는 차단벽을 설치하여 더 이상 견학을 할 수 없네요.

당시 제3땅굴은 귀순한 김부성씨에 의해 땅굴공사 첩보를 근거로 추척했으나 발견을 못하다가 땅굴에서 폭발하는 소리를 듣고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남북이 정상회담을 세 번이나 하고 종전선언이 가까워져 오고 있는데, 이젠 화해모드로 바뀌어 남북이 함께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