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 양적 연구 방법 철학 배경

환경교육 분야에서 질적 연구 등장 배경

환경교육 연구 초기에 책임있는 환경행동(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과 관련된 연구들은 양적 연구에 해당하는 사례가 우세했다.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을 설정하고 독립변인과 종속 변인을 설정하여 환경 교육 활동 등의 유사 실험을 진행한 뒤 집단 간 비교나 사전 사후 비교를 하는 연구는 여전히 많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주된 관심은 환경교육 활동으로 인해서 학습자 개인들에게 일어난 지식, 태도, 가치, 지식, 행동의 변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후에 연구의 관심이 학습자()가 겪은 환경/교육적 경험의 의미를 참여자가 놓인 사회문화적 맥락까지 고려하여 깊이 이해하고자 하거나 환경교육과 관련된 사건과 과정에 대한 탐색과 이해 및 변화로 옮겨가면서 연구 참여자가 있는 현장에서 오랜 시간 동안의 참여 관찰과 심층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 초점에 따라 현상학, 내러티브, 문화기술지 등의 분석 방법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질적 연구의 철학적 배경과 특징

질적 연구는 인간과 사회 현상이 자연 과학의 대상과 다른 측면을 지니므로 자연 과학의 방법론과 다른 방법으로 탐구되어야 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했다. 현재 매우 다양한 연구 전통과 갈래가 생겨나서 한 문장으로 정의하기 어렵지만, 주로 양적 연구와 대비되는 개념과 특징으로 이해된다.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는 연구 방법론(methodology)으로서 구분된다. 연구방법론이란 연구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논리, 어째서 그러한 방법을 그렇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논리 또는 근거를 의미한다. 양적 연구는 실증주의(positivist) 패러다임에, 질적 연구는 주로 해석주의(interpretive) 패러다임에 뿌리를 두고 있다.

질적 연구의 철학적 배경과 특징1

실증주의

해석주의

사회적 실재의 속성

측정 가능하며 묘사 가능한

고정된 사회적 실재

인간 경험에 따른

다양한 사회적 실재

연구 목적

사회적 세계를 관장하는

보편 법칙 발견

사람들이 저마다의 세계를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발견

방법론

추론을 통해 사회적 사실을 발견

풍부한 맥락적 기술을 통해

사회적 실재 이해

실증주의는 객관주의에 따른 일반화와 인과적 설명에, 해석주의는 상대주의 철학과 이해에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차이에 따라 실증주의는 핵심 변인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가설 검증 방법을 활용하며, 해석주의 패러다임은 주로 두터운 기술과 심층적인 이해를 위하여 해석학적 탐구를 수행한다. 따라서 양적 연구는 주로 연역적인 절차를, 질적 연구는 귀납적 절차를 따른다.

질적 연구의 철학적 배경과 특징2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절차

연역적

귀납적

측정

객관적 사실의 측정

사회적 실재, 구성된 의미

초점

변수에 초점

심층적 의미에 초점

맥락 관련

맥락 독립적

맥락의 중요성

사례

많은 사례 수, 연구 대상

적은 사례 수, 참여자

자료 수집

객관적 자료 수집 도구

자료 수집의 핵심 도구는 연구자

연구 절차

매우 구조화된 연구 과정

느슨하게 구조화된 연구 과정

연구자의 역할

연구자는 외부 관찰자

연구자는 외부 관찰자이자 참여자

질적 연구의 강점

연구자들은 통계 분석이나 양적 수단만으로 자신의 연구 질문을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 질적 연구를 선택하게 된다. 연구 참여자가 관여하고 있는 문제나 사안의 맥락을 이해하고자 할 때, 문제나 사안을 탐색하고자 할 때, 사안에 대해서 복합적이고도 상세하게 이해하고자 할 때, 개인들의 이야기를 공유하여 그 집단의 목소리를 드러내어 힘을 실어주고자 할 때는 질적 연구를 선택하게 된다.

질적 연구의 절차

같은 질적 연구라도 해도 연구 초점(개인의 삶, 경험, 이론 개발, 집단의 문화, 사례 등), 분석 단위(1-2명의 개인, 과정, 집단, 사건 등), 자료 수집 기법(참여 관찰, 면담, 포커스그룹인터뷰, 문서 분석 등), 자료 분석 방법(오픈코딩, 축코딩, 선택적 코딩, 이야기의 재구성 등)에 따라 현상학, 내러티브, 사례연구, 근거이론, 문화기술지 등으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더 세세하게 구분되어 명명되고 있다.

자료 수집 방법이나 자료의 성격만을 가지고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구분하는 것은 주의가 필요하다. 흔히 관찰, 텍스트 분석, 인터뷰, 면담 및 전사 등의 기법을 활용하면 질적 연구라고 하지만 그러한 자료 수집 기법들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가 정성적인지 정량적인지만을 가지고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구분하기도 어렵다. 정성적 자료에 대한 양적 분석이 가능하고, 정량적 자료에 대한 정성적 분석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Gough, A. (2013) The Emerg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 A “History” of the field. in Robert, S. et al.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in Environmental Educ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by Routledge Publishers.

Creswell, J. (2007) Qualitative Inquiry of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2nd). SAGE Publications, Inc.